목차
1. 들어가며
2. 텍스트 분석
<1> 인물분석
<2> 소설 속 상징
(1)진실을 보기 위한 ‘창’
(2)진실의 실체가 보이지 않음, 단절감으로서 ‘창’
(3)왜곡, 거짓의 ‘창’
3. 텍스트 밖 살펴보기
4. 나가며,
2. 텍스트 분석
<1> 인물분석
<2> 소설 속 상징
(1)진실을 보기 위한 ‘창’
(2)진실의 실체가 보이지 않음, 단절감으로서 ‘창’
(3)왜곡, 거짓의 ‘창’
3. 텍스트 밖 살펴보기
4. 나가며,
본문내용
글을 쓸 시간도, 읽을 시간도 없다'는 뜻으로 받아들여 감탄하고, 소련 대사는 챈스가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고 착각한다. .....마침내 챈스는 미합중국의 부통령 후보로까지 거론이 된다
-챈스는 대중 매스컴이 좌우하는 현대사회의 현대판 영웅이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허상이고 만들어낸 이미지이다. 댈러웨이의 창에서 신드롬까지 일으키며 그에게 열광하던 사람들의 모습과 이 작품의 사람들과는 상당히 닮아 있다. 매스컴의 조종에 의해 좌우되는 사람들의 모습은 우리와도 닮아 있다. 지금 세상에 보여지는 모든 사건들이 댈러웨이 사진의 눈동자 속에 비추어지는 사건과 같은 것들은 아닐까?
③ 정미경 -장밋빛 인생
나'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이 입는 건 청바지가 아니라 리바이스의 자유로움이며, 들이마시는 건 담배가 아니라 말보로의 마초 이미지다"이다.
- '조작된 환상'이란 포스트모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존재감을 표현하는 데 적절하다. 광고 문화, 이미지 문화, 메이크업, 요리 등의 소재는 실재 아닌 실재를 구현한다. 이들은 모든 실재의 인위적인 대체물이며 바로 시뮬라크르이다. 시뮬라크르, 이미지, 환상에 의해 구성된 세계가 상상 세계이다. 그런데, 이미지가 모방할 혹은 재현할 실체가 없고 이미지가 실체인 세계에서는 상상 세계는 존재를 상실한다.
4. 나 가 며,
박성원의 <댈러웨이의 창>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굳게 믿고 있는 진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조작될 수 있음을, 혹은 이미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이 조작된 것일 수도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작품 속에서 허상의 인물인 댈러웨이는 ‘창은 진실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라고 말했지만 소설 속의 창은 우리를 진실로 이끌기보다 우리를 현혹하고 기만하며 실체를 알 수 없게 하는 이중창으로써, 진실을 보기 위해 우리가 건너다본 창 너머에는 그 어떤 인위적인 변형도 가하지 않은 순수한 진실 자체가 아닌 만들어진 진실, 조작된 진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작가는 진실이 조작되어 만들어지고 왜곡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으며 그가 배경으로 설정한 디지털 시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서 이런 현상은 보다 넓고 깊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소설은 대중, 영상, 소비 자본주의 문화를 배경으로 빠르게 생성되고 상품화되며 그만큼 빠른 속도로 폐기되고 있는 현대 문화의 모습과, 그 속에 난무하는 댈러웨이 같은 허상을 비판하고 있다. 작가는 이것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는 않지만 집단적으로 가짜를 찬양하고 있는 다소 우스운 상황을 설정하고 작중 인물의 입을 통해 ‘세상은 허위, 거대한 거짓에 중독 되어 있다.’라고 말함으로써 이야기 안에 그의 메시지를 숨겨놓고 있다.
즉 이 소설에서 문제되고 있는 것은 진실의 모습을 띤 진실 같은 허위이며, 이런 허위가 남발되는 거대한 거짓에 중독된 세상, 실체를 알 수 없는 세상, 상품을 필요로 하는 세상에서(이런 사회에서는 모방, 짜깁기, 패러디, 표절과 같은 빈곤한 창조가 성행하며, 소설 속 댈러웨이의 사진과 같이 진실을 조작하고 사람들을 속이는 가짜가 만연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과연 예술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야하는 지에 대해 의문을 던질 수 있다. 그리고 독자에게 그런 문제를 인식시키고 생각하게 함으로써 작가는 디지털 시대의 예술의 존재양식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확대해석해 볼 수도 있다.
* 목 차
1. 들어가며
2. 텍스트 분석
<1> 인물분석
<2> 소설 속 상징
(1)진실을 보기 위한 ‘창’
(2)진실의 실체가 보이지 않음, 단절감으로서 ‘창’
(3)왜곡, 거짓의 ‘창’
3. 텍스트 밖 살펴보기
4. 나가며,
-챈스는 대중 매스컴이 좌우하는 현대사회의 현대판 영웅이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허상이고 만들어낸 이미지이다. 댈러웨이의 창에서 신드롬까지 일으키며 그에게 열광하던 사람들의 모습과 이 작품의 사람들과는 상당히 닮아 있다. 매스컴의 조종에 의해 좌우되는 사람들의 모습은 우리와도 닮아 있다. 지금 세상에 보여지는 모든 사건들이 댈러웨이 사진의 눈동자 속에 비추어지는 사건과 같은 것들은 아닐까?
③ 정미경 -장밋빛 인생
나'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이 입는 건 청바지가 아니라 리바이스의 자유로움이며, 들이마시는 건 담배가 아니라 말보로의 마초 이미지다"이다.
- '조작된 환상'이란 포스트모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존재감을 표현하는 데 적절하다. 광고 문화, 이미지 문화, 메이크업, 요리 등의 소재는 실재 아닌 실재를 구현한다. 이들은 모든 실재의 인위적인 대체물이며 바로 시뮬라크르이다. 시뮬라크르, 이미지, 환상에 의해 구성된 세계가 상상 세계이다. 그런데, 이미지가 모방할 혹은 재현할 실체가 없고 이미지가 실체인 세계에서는 상상 세계는 존재를 상실한다.
4. 나 가 며,
박성원의 <댈러웨이의 창>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굳게 믿고 있는 진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조작될 수 있음을, 혹은 이미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이 조작된 것일 수도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작품 속에서 허상의 인물인 댈러웨이는 ‘창은 진실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라고 말했지만 소설 속의 창은 우리를 진실로 이끌기보다 우리를 현혹하고 기만하며 실체를 알 수 없게 하는 이중창으로써, 진실을 보기 위해 우리가 건너다본 창 너머에는 그 어떤 인위적인 변형도 가하지 않은 순수한 진실 자체가 아닌 만들어진 진실, 조작된 진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작가는 진실이 조작되어 만들어지고 왜곡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으며 그가 배경으로 설정한 디지털 시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에서 이런 현상은 보다 넓고 깊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소설은 대중, 영상, 소비 자본주의 문화를 배경으로 빠르게 생성되고 상품화되며 그만큼 빠른 속도로 폐기되고 있는 현대 문화의 모습과, 그 속에 난무하는 댈러웨이 같은 허상을 비판하고 있다. 작가는 이것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는 않지만 집단적으로 가짜를 찬양하고 있는 다소 우스운 상황을 설정하고 작중 인물의 입을 통해 ‘세상은 허위, 거대한 거짓에 중독 되어 있다.’라고 말함으로써 이야기 안에 그의 메시지를 숨겨놓고 있다.
즉 이 소설에서 문제되고 있는 것은 진실의 모습을 띤 진실 같은 허위이며, 이런 허위가 남발되는 거대한 거짓에 중독된 세상, 실체를 알 수 없는 세상, 상품을 필요로 하는 세상에서(이런 사회에서는 모방, 짜깁기, 패러디, 표절과 같은 빈곤한 창조가 성행하며, 소설 속 댈러웨이의 사진과 같이 진실을 조작하고 사람들을 속이는 가짜가 만연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과연 예술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야하는 지에 대해 의문을 던질 수 있다. 그리고 독자에게 그런 문제를 인식시키고 생각하게 함으로써 작가는 디지털 시대의 예술의 존재양식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확대해석해 볼 수도 있다.
* 목 차
1. 들어가며
2. 텍스트 분석
<1> 인물분석
<2> 소설 속 상징
(1)진실을 보기 위한 ‘창’
(2)진실의 실체가 보이지 않음, 단절감으로서 ‘창’
(3)왜곡, 거짓의 ‘창’
3. 텍스트 밖 살펴보기
4. 나가며,
추천자료
삼국지 조조 인물분석 보고서
이광수의 '무정' - 인물분석과 기독교사상을 중심으로
지구를 지켜라를 보고 현대사회의 비판과 각인물분석, 작품감상평.
아메리칸뷰티인물성격분석/가족구조/경계선/심리분석
레싱의 문학이론, 레싱의 비극론, 레싱의 시민비극이론, 레싱의 시민비극 Miß Sara Sampson, ...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등장인물분석
[한국현대문학] 이청준 『소문의 벽』작가소개와 작품분석 및 등장인물분석
[한국현대문학A+] 정미경 작가소개와 주요작품분석 및 등장인물분석
[우수평가자료A+]파이트클럽감상문[파이트클럽영화감상문][파이트클럽 인물분석 및 작품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