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선(東文選)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문선(東文選)이란?

2. 서거정(徐居正)의 생애

3. 동문선의 성립

4. 동문선의 체계 및 주요내용

5. 동문선의 주요판본

6. 동문선의 역사적 가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관료귀족의 미의식에 맞는 화려하고 호부(豪富)·숭엄(崇嚴)한 미, 우아·온유의 미에 지배되어 있으며, 비장미(悲壯美)나 골계미(滑稽美)의 범주에 드는 것은 드물다. 거의 철저하게 상층 지배층 중심의 시문을 포괄적으로 망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이 완성되어 유포되자 성현(成俔)은 “이것은 정선(精選)한 것이 아니고 유취(類聚)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이수광(李邈光)도 “≪동문선≫의 채선(採選)은 범위는 넓으나 주선자(主選者)의 좋아하고 싫어함에 따라 취사(取捨)되었다.”며 공평성이 부족함을 비평하였다.
후대의 이러한 비난은 정치적인 안정에 만족하는 관학적인 분위기 속에서 형성된 ≪동문선≫의 전집적(全集的)인 성격을 못마땅해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풍부한 양을 남겨 당시의 문학뿐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한 인식까지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후세에 커다란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이다.
삼국시대 이래 조선 초까지의 우리나라의 문학자료를 나름대로 집대성하였다는 의의와 함께 우리의 문학전통을 중국의 그것과 병행하는 독자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후대에 주자학적 문학관에 의해 경직된 선집보다는 훨씬 다양하고 다채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신라·고려 시대의 기록과 도교·불교 관계자료의 중요성은 지대한 것이다.
7.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서울: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4.
· 김종철. 「동문선의 편찬과정에 대하여」, 『대동한문학』제 12권. 237-264.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