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문선(東文選)이란?
2. 서거정(徐居正)의 생애
3. 동문선의 성립
4. 동문선의 체계 및 주요내용
5. 동문선의 주요판본
6. 동문선의 역사적 가치
7. 참고문헌
2. 서거정(徐居正)의 생애
3. 동문선의 성립
4. 동문선의 체계 및 주요내용
5. 동문선의 주요판본
6. 동문선의 역사적 가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관료귀족의 미의식에 맞는 화려하고 호부(豪富)·숭엄(崇嚴)한 미, 우아·온유의 미에 지배되어 있으며, 비장미(悲壯美)나 골계미(滑稽美)의 범주에 드는 것은 드물다. 거의 철저하게 상층 지배층 중심의 시문을 포괄적으로 망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이 완성되어 유포되자 성현(成俔)은 “이것은 정선(精選)한 것이 아니고 유취(類聚)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이수광(李邈光)도 “≪동문선≫의 채선(採選)은 범위는 넓으나 주선자(主選者)의 좋아하고 싫어함에 따라 취사(取捨)되었다.”며 공평성이 부족함을 비평하였다.
후대의 이러한 비난은 정치적인 안정에 만족하는 관학적인 분위기 속에서 형성된 ≪동문선≫의 전집적(全集的)인 성격을 못마땅해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풍부한 양을 남겨 당시의 문학뿐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한 인식까지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후세에 커다란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이다.
삼국시대 이래 조선 초까지의 우리나라의 문학자료를 나름대로 집대성하였다는 의의와 함께 우리의 문학전통을 중국의 그것과 병행하는 독자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후대에 주자학적 문학관에 의해 경직된 선집보다는 훨씬 다양하고 다채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신라·고려 시대의 기록과 도교·불교 관계자료의 중요성은 지대한 것이다.
7.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서울: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4.
· 김종철. 「동문선의 편찬과정에 대하여」, 『대동한문학』제 12권. 237-264.
이 책이 완성되어 유포되자 성현(成俔)은 “이것은 정선(精選)한 것이 아니고 유취(類聚)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이수광(李邈光)도 “≪동문선≫의 채선(採選)은 범위는 넓으나 주선자(主選者)의 좋아하고 싫어함에 따라 취사(取捨)되었다.”며 공평성이 부족함을 비평하였다.
후대의 이러한 비난은 정치적인 안정에 만족하는 관학적인 분위기 속에서 형성된 ≪동문선≫의 전집적(全集的)인 성격을 못마땅해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풍부한 양을 남겨 당시의 문학뿐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한 인식까지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후세에 커다란 혜택을 주고 있는 것이다.
삼국시대 이래 조선 초까지의 우리나라의 문학자료를 나름대로 집대성하였다는 의의와 함께 우리의 문학전통을 중국의 그것과 병행하는 독자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후대에 주자학적 문학관에 의해 경직된 선집보다는 훨씬 다양하고 다채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신라·고려 시대의 기록과 도교·불교 관계자료의 중요성은 지대한 것이다.
7.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서울: 한국브리태니커회사, 2004.
· 김종철. 「동문선의 편찬과정에 대하여」, 『대동한문학』제 12권. 237-264.
추천자료
유엔무역개발기구(UNCTAD)의 성립배경과 조직, 기구, 성과, 내용 및 UNCTAD 주요 활동
누리과정 교육 과정 변경 사항 및 주요 내용
G20의 주요 내용과 G20 서울정상회담 성과 평가 및 향후 과제
성격이론 중 1가지를 선택하여 주요개념 및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현 사회문제(예를 들면...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충청북도종합사회복지센터(청주시 흥덕구) - 기관소개(설립근거, ...
[유아교육과정]몬테소리 - 몬네소리의 생애와 업적,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주요 개념과 교육목...
한국 FTA사례 연구-한·페루 FTA,페루 경제 동향,한·페루 주요 FTA 내용,한·페루 교역 및 경제...
장기요양보험법 레포트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목적 및 주요특징, 법적 근...
「아동복지(兒童福祉)」 아동복지의 범위 및 정책유형, 아동복지의 환경변화와 새로운 패러다...
의료기관醫療機關인증제도의 이해 -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도입 배경과 의의, 의료기관인증제도...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의 개념 및 필요성, 아동복지법 및 아동복지관련법의 주요목적과 내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일반체계이론 및 생태체계이론 ( 체계이론의 등장배경, 일반체계이론,...
국제통상론 - 커피, 원산지 판정 기준 ( 서론, 원산지 판정의 세부내용, 협상의 주요 내용, ...
[아동복지] 아동복지법에 대한 법의 필요성 및 목적 이념 법의 주요 내용 한계 및 보완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