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화의 개념
2. 사회화의 의미
(1) 문화동질화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2) 역할훈련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3) 충동의 통제능력 형성과정으로서의 사회화
3. 사회화에 관한 이론들
(1) 쿠울리
(2) 미이드
(3) 프로이드
(4) 에릭슨
(5) 피아제
(6) 콜버어그
*결론
2. 사회화의 의미
(1) 문화동질화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2) 역할훈련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3) 충동의 통제능력 형성과정으로서의 사회화
3. 사회화에 관한 이론들
(1) 쿠울리
(2) 미이드
(3) 프로이드
(4) 에릭슨
(5) 피아제
(6) 콜버어그
*결론
본문내용
것과 비 타율적인 것)
(6) 콜버어그 (Lanvener Kolberg) - 도덕성 형성과정
- 피아제의 도덕성발달이론을 경험조사를 통해서 더 발전 -> 발달단계를 크게는 세 단 계, 세부적으로는 여섯 단계로 나눔
1. 전도덕단계
① 처벌과 복종
② 단순한 수단적 쾌락주의
2. 통상적 규범의 도덕단계
③ 타자의 긍정적 반응을 위한 준율
④ 권위순종적 도덕관
3. 자율적 도덕단계
⑤ 계약적. 민주적 도덕관
⑥ 자신의 양심에 입각한 도덕성
* 결론 - 쿠울리, 미이드 ->사회화에 있어서 후천적으로 이루어지는 인간??의 중요성 강조
프로이드, 에릭슨 -> 인간이 타고난 생리적인 욕구가 사회규범을 내면화하면서 어떻게 다스려지는가 하는 면에 초점
피아제, 콜버어그 -> 인지발달 과정을 위주로 해서 사회화를 이해
(6) 콜버어그 (Lanvener Kolberg) - 도덕성 형성과정
- 피아제의 도덕성발달이론을 경험조사를 통해서 더 발전 -> 발달단계를 크게는 세 단 계, 세부적으로는 여섯 단계로 나눔
1. 전도덕단계
① 처벌과 복종
② 단순한 수단적 쾌락주의
2. 통상적 규범의 도덕단계
③ 타자의 긍정적 반응을 위한 준율
④ 권위순종적 도덕관
3. 자율적 도덕단계
⑤ 계약적. 민주적 도덕관
⑥ 자신의 양심에 입각한 도덕성
* 결론 - 쿠울리, 미이드 ->사회화에 있어서 후천적으로 이루어지는 인간??의 중요성 강조
프로이드, 에릭슨 -> 인간이 타고난 생리적인 욕구가 사회규범을 내면화하면서 어떻게 다스려지는가 하는 면에 초점
피아제, 콜버어그 -> 인지발달 과정을 위주로 해서 사회화를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