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라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탈라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티벳고유의 신앙인 뵌(Boen)교와 혼합한 형태의 불교를 주창해, 티벳불교를 창시했다. 또한, 손첸캄포 왕은 티벳불교의 중심인 라사를 창설했고 수많은 불경번역과 티벳의 공식문자를 창제한 인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8세기 중엽 인도의 샨티락시타 (Santi-raksita)와 파드마 삼바바가 밀교(密敎)를 전해, 이후 티벳불교의 근본은 밀교(密敎)가 됐다
라마(Lama)는 덕이 높은 스승을 의미한다. 라마는 환생에 의한 계승을 원칙으로하기 때문에 어느 마을이나 환생 라마가 있다는 것은 중요하게 여겨져왔고, 그런 이유로 환생라마는 수가 많이 늘어났다. 라마앞에 붙는 접두어는 큰 라마에 대한 존칭인데, 최고 지위인 '딜라이 라마'의 딜라이(Dalai)는 몽고어로 바다를 뜻한다. 티벳 사람은 자신의 나라를 관음(觀音)의 정토(淨土)라고 생각하는데, 그 통치자인 딜라이 라마를 관음의 화신(化身)으로 믿고 있다.
티벳불교는 인도 대승불교에서 고도로 발달한 교리와 밀교수행의 최종단계를 계승한 것으로 인도의 불교가 멸망한 뒤에도 독자적인 발전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방대한 '티벳 대장경'과 티벳인이 남긴 저작에 있어서 티벳불교는 불교의 막대한 보고(寶庫)일 뿐만 아니라 엄청난 티벳불교 유적과 미술품 그리고 음악이 어우러져 인류 최대 문화유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출처: 세계를 간다 <티베트> .58p~77
티벳속으로.여동완 저.이레 출판사.144p~149p
이태훈의 뷰티풀 티베트 여행.이태훈 저. 다른세상 출판사. 44p~52p
http://www.kailash96.com/lhasa/potala_info.h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4.1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