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백제의 비밀, 사비성 목간 31자의 비밀
1. 비디오 내용
1) 사비성 2) 목간 3) 궁남지
2. 느낀점
Ⅱ. 평양성, 난공 불락의 비결
1. 비디오 내용
1) 평양성
2) 적군의 공격을 막기 위한 시설물
(1) 치(雉) (2) 옹성(甕城)
2. 느낀점
Ⅲ. 참고문헌
1. 비디오 내용
1) 사비성 2) 목간 3) 궁남지
2. 느낀점
Ⅱ. 평양성, 난공 불락의 비결
1. 비디오 내용
1) 평양성
2) 적군의 공격을 막기 위한 시설물
(1) 치(雉) (2) 옹성(甕城)
2. 느낀점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큰 특징은 아마도 서민들의 사는 공간이 평양성 안에 있다는 점일 것이다. 평양성 이전에는 왕궁과 산성, 서민들이 거주하는 공간이 각기 따로 나뉘어 있었는데, 평양성이 최초로 성안에 모든 시설을 포함하게 되었다. 서민들이 거주하는 외성에는 사비성에서 보았듯이 신도시처럼 바둑판 모양으로 체계적으로 건설된 도로가 나있고 외성 가운데로는 운하까지 건설된, 당대 최대의 수도였다. 이로서 평양성이 한나라의 수도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도성의 모습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성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고 이것이 평양성의 가장 큰 의미라 생각한다. 역사상 가장 강성했던 우리의 자랑스러운 국가 고구려, 이 고구려의 역사를 중국이 자기네 역사로 편입 시키려고 하는 동북공정의 의도를 들어내고 있으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고구려족은 중국 동북지방의 소수 민족이며, 고구려는 중국역사의 일부이다." 라고 주장하며 고구려뿐만 아니라 고조선, 부여, 발해는 물론 현재의 한국까지 연구하는 『동북공정』이라는 프로젝트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과거 수나라 양광, 당나라 이세민 등이 못 잡아먹어서 안달하던 고구려가 자기들의 역사라니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고구려사가 우리나라 역사라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중국의 철저한 계획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의 역사라 주장만 할 것이 아니라 고구려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 우리가 고구려사를 살려내지 못하면 '반만년 유구한 역사표현은 영원히 사라지고 결국 우리나라의 역사가 한반도 안으로 고정되고 역사의 연원도 2000년으로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가 고구려사뿐만 아니라 부여 발해의 역사를 잃는 다는 것은 수많은 외세의 침입을 막아낸 우리 조상님들의 피와 숭고한 의지 모두를 잃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고구려의 역사는 남과 북 어느 하나의 역사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역사이므로 북한에 있는 유적들이 UNESCO에 등록될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함께 협력하여 대응하는 모습의 남북공조를 통해 고구려의 역사가 지켜졌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Ⅲ. 참고문헌
1. 단행본
1)송영만, 역사스페셜4, 호형출판사, 2002년, 9~27page
2. 그림
1)그림 1~3. http://blog.naver.com/myunggyu/60018850891
오늘 우리가 고구려사를 살려내지 못하면 '반만년 유구한 역사표현은 영원히 사라지고 결국 우리나라의 역사가 한반도 안으로 고정되고 역사의 연원도 2000년으로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가 고구려사뿐만 아니라 부여 발해의 역사를 잃는 다는 것은 수많은 외세의 침입을 막아낸 우리 조상님들의 피와 숭고한 의지 모두를 잃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고구려의 역사는 남과 북 어느 하나의 역사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역사이므로 북한에 있는 유적들이 UNESCO에 등록될 수 있도록 남과 북이 함께 협력하여 대응하는 모습의 남북공조를 통해 고구려의 역사가 지켜졌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Ⅲ. 참고문헌
1. 단행본
1)송영만, 역사스페셜4, 호형출판사, 2002년, 9~27page
2. 그림
1)그림 1~3. http://blog.naver.com/myunggyu/60018850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