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도시교통문제 연구의 필요성
Ⅱ.도시교통문제
1.도시교통문제의 근본적 원인
2.도시교통문제의 유형
Ⅲ.국내외 사례 분석
1.한국 - 서울
2.브라질 - 꾸리찌바
3.콜롬비아 - 보고타
4.미국
5.북유럽
Ⅳ.사례 요약 및 시사점
-외국 도시와 서울시의 비교분석
Ⅴ.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도시교통문제 연구의 필요성
Ⅱ.도시교통문제
1.도시교통문제의 근본적 원인
2.도시교통문제의 유형
Ⅲ.국내외 사례 분석
1.한국 - 서울
2.브라질 - 꾸리찌바
3.콜롬비아 - 보고타
4.미국
5.북유럽
Ⅳ.사례 요약 및 시사점
-외국 도시와 서울시의 비교분석
Ⅴ.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위한 정책만이 우선시 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브라질의 꾸리찌바 시와 비교해볼 때, 1970년도 경에 실시된 정책이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시행됨으로써 매우 늦은 감을 보이고 있다. 또한 다른 외국의 도시들에서 대중교통수단 이용 증가 정책과 함께 실시된 친 환경적 정책이나 사회적 불평등 해소하는 정책 등이 서울시에서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외국의 도시들과 서울시의 가장 큰 차이는 보행자 우선정책에서 나타난다. 서울시는 도로에 차가 주차되어 있는 등 보행자 보다는 자동차 중심으로 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이 때문에 어린이 교통사고율이나 보행자 교통사고의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도 빨리 마련되어야 될 듯하다. 그리고 강제성이라는 측면에서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교통법칙금은 너무나도 작은 액수다. 이에 따라 강제성이 덜 하게 되었다. 승용차 자율요일제와 같은 정책은 보다 강제적으로 이루어져야 그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Ⅴ. 결론
우리나라의 도시교통문제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외국의 사례 및 이러한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토대로 경제적인 면과 삶의 질적인 면을 고려해야한다.
철도나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는 교통 혼잡과 주차난으로 인한 비용절감과 에너지 절약이라는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통 혼잡과 비용절감 측면에 있어서는 정보통신을 이용해 교통 수요를 흡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사회가 발전해 갈수록 교통의존도도 낮아진다고 하지만 사회기반시설이 뒷받침 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리고 보행자를 위협하는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해 안전성의 확보와 교통사고 발생률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위에도 언급한 것과 같이 자전거 도로를 확충하고 외국의 사례처럼 자전거를 대여하거나 대중교통과 연결하는 시스템은 오염원의 배제라는 측면에서 환경친화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라나 시 단위로 행해지는 정책 면에 있어서는 대중교통의 체계 개편이나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승용차 자율 요일제도 중요하지만 좀 더 장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지속가능한 교통체계를 위한 정책들의 마련도 시급하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문제의 해결책을 위해서는 우선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체계의 확립과 교통사고 우발지역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도로 교통 체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학교차원의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우리나라 도시의 교통 문제점과 정책을 정확히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얻어 현대 도시에 있어서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경제적인 효과는 물론이고 도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도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쾌적한 도시교통 한국자동차공업협회[편], 서울 : 한국자동차공업협회, 1994
▶김세호, 도시교통정책 : 수요관리정책을 중심으로, 서울 : 21세기한국연구재단, 1996
▶박수영, 서울의 교통문제와 교통발전정책, 대한국토계획학회, 國土計劃 57호, 1990
▶김광식, 수도권 5개 신도시 교통부문 계획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國土計劃 75 호, 1995
▶원제무, (알기쉬운) 도시교통, 서울 : 博英社, 2000
▶원제무, 도시교통론 제2전정판, 서울 : 博英社, 1999▶이상용, 지속 가능한 도시교통체계 구축 연구 : 에너지 절감형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의 모색』1단계, 교통개발연구원, 2004 ▶이옥진, ‘삶의 질' 을 높인 세계의 '생태혁명' : 브라질 꾸리찌바, 자동차보다 우선하는 보행자 도로망, 경향신문사, 뉴스메이커 제11권 제34호 통권488호, 2002
▶김진순, 이제는 어메니티(Amenity)가 도시경쟁력이다, 시사평론 제2권 제3호 통권15호, 2003
▶소네 사도루 지음 ; 김양모 옮김, 새로운 철도 시스템 : 교통문제 해결의 신기술, 서울 : 電波科學社, 1992
▶박수영, 서울의 교통문제와 교통발전정책, 國土計劃, 57호, 1990
▶김광식, 수도권 5개 신도시 교통부문 계획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國土計劃, 75 호, 1995
▶서선덕, 한국철도의 르네상스를 꿈꾸며,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2001▶박용남, 꿈의 도시 꾸리찌바 : 재미와 장난이 만든 생태도시 이야기, 서울 : 이후, 2000
▶김종준, 생태도시 이야기, 리드앤리더
▶서울특별시 교통국 - http://traffic-app.seoul.go.kr/
▶교통안전공단 - http://www.kotsa.or.kr/
▶철도기술정보포탈 - http://www.irail.net/
▶환경운동연합 생태도시 만들기 -http://ecocity.or.kr/
▶한국의 지방자치 - http://www.jachi.co.kr/
▶인간중심의 교통 환경 개선방안
- http://www.knia.or.kr/ClipFile%5CIns_Mag%5C0102%5C03.pdf
▶북유럽 자전거 정책 - http://www.kotsa.or.kr/kotsa_info/down_load/2003_10/12.pdf
▶교통신문 - http://www.gyotongn.com/
▶한국 지방자치 국제화재단 - http://www.klafir.or.kr/
▶경향신문 - http://www.khan.co.kr/main.html/
▶꾸리찌바 시 - http://www.viaje.curitiba.pr.gov.br/
▶몽그니의 여행이야기 - http://www.welovetravel.net/
▶푸른부천만들기21(부천의제 21) - http://www.puchon.com/news18.htm
* 목 차
Ⅰ.서론
-도시교통문제 연구의 필요성
Ⅱ.도시교통문제
1.도시교통문제의 근본적 원인
2.도시교통문제의 유형
Ⅲ.국내외 사례 분석
1.한국 - 서울
2.브라질 - 꾸리찌바
3.콜롬비아 - 보고타
4.미국
5.북유럽
Ⅳ.사례 요약 및 시사점
-외국 도시와 서울시의 비교분석
Ⅴ.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Ⅴ. 결론
우리나라의 도시교통문제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외국의 사례 및 이러한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토대로 경제적인 면과 삶의 질적인 면을 고려해야한다.
철도나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는 교통 혼잡과 주차난으로 인한 비용절감과 에너지 절약이라는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통 혼잡과 비용절감 측면에 있어서는 정보통신을 이용해 교통 수요를 흡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사회가 발전해 갈수록 교통의존도도 낮아진다고 하지만 사회기반시설이 뒷받침 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리고 보행자를 위협하는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해 안전성의 확보와 교통사고 발생률 감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위에도 언급한 것과 같이 자전거 도로를 확충하고 외국의 사례처럼 자전거를 대여하거나 대중교통과 연결하는 시스템은 오염원의 배제라는 측면에서 환경친화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라나 시 단위로 행해지는 정책 면에 있어서는 대중교통의 체계 개편이나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승용차 자율 요일제도 중요하지만 좀 더 장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지속가능한 교통체계를 위한 정책들의 마련도 시급하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문제의 해결책을 위해서는 우선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체계의 확립과 교통사고 우발지역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도로 교통 체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학교차원의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우리나라 도시의 교통 문제점과 정책을 정확히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얻어 현대 도시에 있어서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경제적인 효과는 물론이고 도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도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쾌적한 도시교통 한국자동차공업협회[편], 서울 : 한국자동차공업협회, 1994
▶김세호, 도시교통정책 : 수요관리정책을 중심으로, 서울 : 21세기한국연구재단, 1996
▶박수영, 서울의 교통문제와 교통발전정책, 대한국토계획학회, 國土計劃 57호, 1990
▶김광식, 수도권 5개 신도시 교통부문 계획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國土計劃 75 호, 1995
▶원제무, (알기쉬운) 도시교통, 서울 : 博英社, 2000
▶원제무, 도시교통론 제2전정판, 서울 : 博英社, 1999▶이상용, 지속 가능한 도시교통체계 구축 연구 : 에너지 절감형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의 모색』1단계, 교통개발연구원, 2004 ▶이옥진, ‘삶의 질' 을 높인 세계의 '생태혁명' : 브라질 꾸리찌바, 자동차보다 우선하는 보행자 도로망, 경향신문사, 뉴스메이커 제11권 제34호 통권488호, 2002
▶김진순, 이제는 어메니티(Amenity)가 도시경쟁력이다, 시사평론 제2권 제3호 통권15호, 2003
▶소네 사도루 지음 ; 김양모 옮김, 새로운 철도 시스템 : 교통문제 해결의 신기술, 서울 : 電波科學社, 1992
▶박수영, 서울의 교통문제와 교통발전정책, 國土計劃, 57호, 1990
▶김광식, 수도권 5개 신도시 교통부문 계획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國土計劃, 75 호, 1995
▶서선덕, 한국철도의 르네상스를 꿈꾸며,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2001▶박용남, 꿈의 도시 꾸리찌바 : 재미와 장난이 만든 생태도시 이야기, 서울 : 이후, 2000
▶김종준, 생태도시 이야기, 리드앤리더
▶서울특별시 교통국 - http://traffic-app.seoul.go.kr/
▶교통안전공단 - http://www.kotsa.or.kr/
▶철도기술정보포탈 - http://www.irail.net/
▶환경운동연합 생태도시 만들기 -http://ecocity.or.kr/
▶한국의 지방자치 - http://www.jachi.co.kr/
▶인간중심의 교통 환경 개선방안
- http://www.knia.or.kr/ClipFile%5CIns_Mag%5C0102%5C03.pdf
▶북유럽 자전거 정책 - http://www.kotsa.or.kr/kotsa_info/down_load/2003_10/12.pdf
▶교통신문 - http://www.gyotongn.com/
▶한국 지방자치 국제화재단 - http://www.klafir.or.kr/
▶경향신문 - http://www.khan.co.kr/main.html/
▶꾸리찌바 시 - http://www.viaje.curitiba.pr.gov.br/
▶몽그니의 여행이야기 - http://www.welovetravel.net/
▶푸른부천만들기21(부천의제 21) - http://www.puchon.com/news18.htm
* 목 차
Ⅰ.서론
-도시교통문제 연구의 필요성
Ⅱ.도시교통문제
1.도시교통문제의 근본적 원인
2.도시교통문제의 유형
Ⅲ.국내외 사례 분석
1.한국 - 서울
2.브라질 - 꾸리찌바
3.콜롬비아 - 보고타
4.미국
5.북유럽
Ⅳ.사례 요약 및 시사점
-외국 도시와 서울시의 비교분석
Ⅴ.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추천자료
우리나라 교통문제 해결방안
교통문제
재래시장의 변화와 동대문 패션 쇼핑몰의 재조명
새터민아동의 교육적 적응(새터민아동에 대하여
인터넷마케팅 개념,역할,특성, 인터넷마케팅 유형,장점, 외국 기업, 한국 기업 인터넷 활용 ...
[주5일제수업]주5일제수업(주5일수업제)의 개념, 유형, 영향, 실태와 주5일제수업(주5일수업...
[교장임용제도][교장상]우리나라, 외국의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 비교와 교장임용제도(...
[남북통일정책][남북한 통일정책 비교][남북통일][외국 통일 사례][남북통일 방안]역대정권의...
[갯벌][갯벌관리][해양생태계][뻘][서해안][외국 갯벌관리 정책]갯벌의 의미, 갯벌의 기능, ...
[에코투어리즘][그린투어리즘]그린투어리즘(관광농원, 에코)의 개념, 유형, 실태와 외국 그린...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정의와 유형,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필요성과...
정부조직개편의 유형과 특징, 정부조직개편의 필요성, 정부조직개편의 법률 개정안, 정부조직...
뉴타운사업지구내 주거선호에 따른 사업추진 방향에 관한 연구
[A+] 가스 고의 사고 사례 및 분석 조사보고서 문제점 대책 개선방안 도시가스 LPG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