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종교와 정치
1)정치와 종교의 개념 정의
2)종교와 정치의 관계
2.세계의 종교
1)유대교 신자 수
2)크리스트교 신자 수
3)이슬람교 신자 수
4)힌두교 신자수
3.정치가 종교에 영향을 준 사례
1)십자군전쟁
2)9.11테러
3)중동전쟁
4)유태인 학살
4.종교가 정치에 영향을 준 사례
1)카노사의 굴욕
2)평화와 인권
3)유태인의 보이지 않는 손
5.결론
참고문헌
1)정치와 종교의 개념 정의
2)종교와 정치의 관계
2.세계의 종교
1)유대교 신자 수
2)크리스트교 신자 수
3)이슬람교 신자 수
4)힌두교 신자수
3.정치가 종교에 영향을 준 사례
1)십자군전쟁
2)9.11테러
3)중동전쟁
4)유태인 학살
4.종교가 정치에 영향을 준 사례
1)카노사의 굴욕
2)평화와 인권
3)유태인의 보이지 않는 손
5.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 대표들은 국경분쟁의 중재자로서 활동해왔는데 요한 바오로 2세는 비글운하 지역을 둘러싼 칠레와 아르헨티나 사이의 분쟁을 평화조약으로 직접 중개하기도 하였다.
LA에 본부를 둔 미국 최대 유태인 인권단체 사이먼비젠탈센터(Simon Wiesenthal Center)는 2004년에 9월 13일을 `북한인권의 날`로 선포하고 국제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자유연합과 공동으로 `양심과 연대책임(Conscience and Solidarity)`이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가졌다. 사이먼비젠탈센터의 랍비 쿠퍼 회장은 "북한 정권이 자국민의 기본적인 인권을 조직적이고 무자비하게 탄압하는 것에 대해 세계가 너무도 오랫동안 침묵해 왔다. 우리는 고통 받는 북한주민을 잊지 않을 것이며 이제 행동에 나설 것이다"라면서 행사의 취지를 설명했다.
3) 유태인의 보이지 않는 손
유태인은 전 세계에 1천 3백만 명이 살고 있다고 한다. 이는 60억 세계인구의 0.2%정도이다. 그렇지만 유태인은 노벨상에서 경제학상 65%, 의학상 23%, 물리학상 22%, 화학상 12%,문학상 8%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또한 유대인은 미국 인구의 2%에 불과하지만 부호 상위 400가족 중 24%, 최상위 40가족인 경우는 42%를 차지한다고 한다.
미국 유태인이 권력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보다는 미국 각 분야의 군력을 어떻게 유기적으로 잘 연결하고 활용하여 유태인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빈틈없는 조직력을 통해 이 영향력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관리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유태 권력의 특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미국의 정치 분야에서 아리 플라이셔 전 백악관 대변인을 비롯해,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 올해 대통령선거의 민주당 경선후보로 출마했던 조셉 리버만 상원의원 등이 있다. 국방과 외교 분야에선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폴 울포위츠 국방부 부장관 등이 유태인이다. 그리고 유태인은 AP, 로이터, 뉴욕타임즈 등 각종 언론사의 자본을 소유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유태인은 정치, 경제, 언론 등 각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보이지 않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5. 결론
평화로운 국제질서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는 쉽게 답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는 21세기의 종교가 끊임없이 추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종교는 앞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함께 살아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몇 개의 원칙은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매우 추상적이고 도덕적이지만 현실에서는 강대국의 세계질서 원칙이나 유엔헌장과 유사하게 정치적이다. 이 원칙들은 종교와 지역을 뛰어넘어 보편적으로 통용될 것을 요청한다.
근대의 길을 지나며 종교와 정치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인식의 기회를 가졌다. 그리고 이제는 그 인식을 기반으로 서로의 위치를 정립하고 조화를 이루어 보다 인류 전반에 있어 보다 낳은 단계로 진화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시기가 온 듯하다. 일상의 사회현상 속에서 통치의 기술을 행사하는 정치에 있어, 그 가치판단과 선택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 종교라는 것이다.
종교와 정치는 더 이상 대립의 요소가 아니게 된다. 이제 이상이자 의미, 가치로서의 종교와, 기술이자 과정으로서의 정치가 화합의 장을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세속화 정치화 되어 지탄 받고 있는 종교계나, 소속당과 지역과 개인의 이익만을 좇으므로 인해 욕을 먹는 정치계가 한데 어우러져 보다 발전적인 사회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사고의 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한성, <유대인의 역사>, 살림, 2005
박경민, <(한 권으로 읽는)세계 종교산책>, 아세아 문화사, 1998
박재선, <제2의 가나안 유태인의 미국>, 애누리, 2002
이종민, <죽음의 역사>, 동문선, 1998
루트비히 링 아이펠, <세계의 절대권력 바티칸 제국>, 열대림, 2004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김영사, 1997
후쿠오카 마사유키, <21세기 세계의 종교분쟁>, 국일미디어, 2001
*목 차
1.종교와 정치
1)정치와 종교의 개념 정의
2)종교와 정치의 관계
2.세계의 종교
1)유대교 신자 수
2)크리스트교 신자 수
3)이슬람교 신자 수
4)힌두교 신자수
3.정치가 종교에 영향을 준 사례
1)십자군전쟁
2)9.11테러
3)중동전쟁
4)유태인 학살
4.종교가 정치에 영향을 준 사례
1)카노사의 굴욕
2)평화와 인권
3)유태인의 보이지 않는 손
5.결론
참고문헌
LA에 본부를 둔 미국 최대 유태인 인권단체 사이먼비젠탈센터(Simon Wiesenthal Center)는 2004년에 9월 13일을 `북한인권의 날`로 선포하고 국제 인권단체들의 연합체인 북한자유연합과 공동으로 `양심과 연대책임(Conscience and Solidarity)`이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가졌다. 사이먼비젠탈센터의 랍비 쿠퍼 회장은 "북한 정권이 자국민의 기본적인 인권을 조직적이고 무자비하게 탄압하는 것에 대해 세계가 너무도 오랫동안 침묵해 왔다. 우리는 고통 받는 북한주민을 잊지 않을 것이며 이제 행동에 나설 것이다"라면서 행사의 취지를 설명했다.
3) 유태인의 보이지 않는 손
유태인은 전 세계에 1천 3백만 명이 살고 있다고 한다. 이는 60억 세계인구의 0.2%정도이다. 그렇지만 유태인은 노벨상에서 경제학상 65%, 의학상 23%, 물리학상 22%, 화학상 12%,문학상 8%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또한 유대인은 미국 인구의 2%에 불과하지만 부호 상위 400가족 중 24%, 최상위 40가족인 경우는 42%를 차지한다고 한다.
미국 유태인이 권력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보다는 미국 각 분야의 군력을 어떻게 유기적으로 잘 연결하고 활용하여 유태인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빈틈없는 조직력을 통해 이 영향력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관리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유태 권력의 특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미국의 정치 분야에서 아리 플라이셔 전 백악관 대변인을 비롯해,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 올해 대통령선거의 민주당 경선후보로 출마했던 조셉 리버만 상원의원 등이 있다. 국방과 외교 분야에선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폴 울포위츠 국방부 부장관 등이 유태인이다. 그리고 유태인은 AP, 로이터, 뉴욕타임즈 등 각종 언론사의 자본을 소유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유태인은 정치, 경제, 언론 등 각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보이지 않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5. 결론
평화로운 국제질서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는 쉽게 답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는 21세기의 종교가 끊임없이 추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종교는 앞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함께 살아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몇 개의 원칙은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매우 추상적이고 도덕적이지만 현실에서는 강대국의 세계질서 원칙이나 유엔헌장과 유사하게 정치적이다. 이 원칙들은 종교와 지역을 뛰어넘어 보편적으로 통용될 것을 요청한다.
근대의 길을 지나며 종교와 정치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인식의 기회를 가졌다. 그리고 이제는 그 인식을 기반으로 서로의 위치를 정립하고 조화를 이루어 보다 인류 전반에 있어 보다 낳은 단계로 진화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시기가 온 듯하다. 일상의 사회현상 속에서 통치의 기술을 행사하는 정치에 있어, 그 가치판단과 선택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 종교라는 것이다.
종교와 정치는 더 이상 대립의 요소가 아니게 된다. 이제 이상이자 의미, 가치로서의 종교와, 기술이자 과정으로서의 정치가 화합의 장을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세속화 정치화 되어 지탄 받고 있는 종교계나, 소속당과 지역과 개인의 이익만을 좇으므로 인해 욕을 먹는 정치계가 한데 어우러져 보다 발전적인 사회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사고의 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한성, <유대인의 역사>, 살림, 2005
박경민, <(한 권으로 읽는)세계 종교산책>, 아세아 문화사, 1998
박재선, <제2의 가나안 유태인의 미국>, 애누리, 2002
이종민, <죽음의 역사>, 동문선, 1998
루트비히 링 아이펠, <세계의 절대권력 바티칸 제국>, 열대림, 2004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김영사, 1997
후쿠오카 마사유키, <21세기 세계의 종교분쟁>, 국일미디어, 2001
*목 차
1.종교와 정치
1)정치와 종교의 개념 정의
2)종교와 정치의 관계
2.세계의 종교
1)유대교 신자 수
2)크리스트교 신자 수
3)이슬람교 신자 수
4)힌두교 신자수
3.정치가 종교에 영향을 준 사례
1)십자군전쟁
2)9.11테러
3)중동전쟁
4)유태인 학살
4.종교가 정치에 영향을 준 사례
1)카노사의 굴욕
2)평화와 인권
3)유태인의 보이지 않는 손
5.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