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어교육전공에 가장 적절한 수업이론을 설명하고, 그 타당성을 밝히시오.
1.1. 수업이론의 특징
1.2. 수업이론을 위한 준거
1.3. 수업이론의 결정요인(TTTI 모형)
1.4. 영어교육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수업이론 및 그 타당성
1.4.1. J. B.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1) Carroll의 모형
(2) 기본명제(3가지)
(3) 학교학습모형의 5가지 변인
① 개인차변인
② 수업변인ㅡㅡㅡ>(표로 작성)
1.4.2. 영어과목에 J. B. Carroll의 수업이론이 적합하다고 피력한 근거
1.1. 수업이론의 특징
1.2. 수업이론을 위한 준거
1.3. 수업이론의 결정요인(TTTI 모형)
1.4. 영어교육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수업이론 및 그 타당성
1.4.1. J. B.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1) Carroll의 모형
(2) 기본명제(3가지)
(3) 학교학습모형의 5가지 변인
① 개인차변인
② 수업변인ㅡㅡㅡ>(표로 작성)
1.4.2. 영어과목에 J. B. Carroll의 수업이론이 적합하다고 피력한 근거
본문내용
방정식이 제시하는 학습요건과 일맥상통한다. 영어의 효과적인 학습은 많은 시간투자와 반드시 비례관계를 맺는데, 여기서 한 과목의 학습을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은, 다시 말해 지구력이 요구된다는 뜻으로, Carroll 이 제시한 5가지 변인 중 하나이다.
2) 강조점이 과거 쓰기중심에서 현재 듣기말하기 중심으로 전환된 영어의 실질적 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적인 측면에서 소집단 형성 수업이 많은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 역시 Carroll이 제시한 5가지 변인 중 한 가지 방법이 되며, 소그룹별 영어 수업을 통한 파급효과로 수준별 지도의 길이 열리고, 활동과업 중심의 주제를 완성케 하는 수업운영체계 또한 활성화 할 수 있는 좋은 방법론이라 하겠다.
영어학습에 왕도는 없다. 지구력을 바탕으로 오랜 시간을 영어에 투자하는 것만이, 현재 방향잡고 있는 의사소통 중심의 7차 영어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의 방법이다. 본인은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이 왕도없는 영어과목의 실질적 습득에 있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파악제안한 것으로 보고, 위와 같이 이 수업이론을 영어과목에 접목시켜야 할 필요성과 타당성을 제언해 보았다.
2) 강조점이 과거 쓰기중심에서 현재 듣기말하기 중심으로 전환된 영어의 실질적 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적인 측면에서 소집단 형성 수업이 많은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 역시 Carroll이 제시한 5가지 변인 중 한 가지 방법이 되며, 소그룹별 영어 수업을 통한 파급효과로 수준별 지도의 길이 열리고, 활동과업 중심의 주제를 완성케 하는 수업운영체계 또한 활성화 할 수 있는 좋은 방법론이라 하겠다.
영어학습에 왕도는 없다. 지구력을 바탕으로 오랜 시간을 영어에 투자하는 것만이, 현재 방향잡고 있는 의사소통 중심의 7차 영어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의 방법이다. 본인은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이 왕도없는 영어과목의 실질적 습득에 있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파악제안한 것으로 보고, 위와 같이 이 수업이론을 영어과목에 접목시켜야 할 필요성과 타당성을 제언해 보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과목에 있어서 창의력과 협동학습의 적용-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의 특징,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의 목표,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
초등영어(초등 영어교육) 의미와 성격, 초등영어(초등 영어교육) 판토마임, 초등영어(초등 영...
Mother Teresa, Angel of the Poor 수업계획안
영어동화지도(동화활용 영어교육) 필요성, 영어동화지도(동화활용 영어교육) 교재, 영어동화...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목적,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기본 ...
영어(영어과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영어과교육) 이야기중심학습(...
다중지능의 개념, 다중지능의 선별 준거, 다중지능의 원리, 다중지능의 지능 영역과 특징, 다...
청화식(Audio-Lingual Method)‧상황식(Situational Language Teaching) 교수학습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2017공통)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