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Ántonia Shimerda
1. Ántonia의 상징성
2. 기존문화와 이민 문화
Ⅲ. Jim Burden
1. Jim Burden의 역할
2. 모성갈망에 따른 회귀
Ⅳ. 결론
(참고자료는 BIBLIOGRAPHY의 1. Primary sources, 2. Secondary Sources에 자세히 다루어 놓았음)
Ⅱ. Ántonia Shimerda
1. Ántonia의 상징성
2. 기존문화와 이민 문화
Ⅲ. Jim Burden
1. Jim Burden의 역할
2. 모성갈망에 따른 회귀
Ⅳ. 결론
(참고자료는 BIBLIOGRAPHY의 1. Primary sources, 2. Secondary Sources에 자세히 다루어 놓았음)
본문내용
있지만, Antonia는 미국인이, 열등문화라고 편훼하는 이민문화의 대변자 역할을 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개척하고 있다. 이 소설의 3부에서 Antonia가 등장하지 않는 것, Antonia가 연인에게서 버림받고 사생아를 임신하는 것, Wick Cutter의 집에서 봉변을 당할 뻔한 것 등은 모두 기존 문화에 도전하고 갈등을 일으킨 벌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Jim Burden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Jim은 이야기를 풀어 가는 화자로서 짐(burden)을 짊어진 중요한 인물로, 그는 이 소설 속에 산재해 있는 여러 사람들을 하나로 모아서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변화사가 되어 사회적으로는 성공했지만 불모와 같은 가정생활과 도시에서의 공허한 삶 속에 묻혀 있던 Jim은 20년 후에 Nebraska의 대자연으로 돌아오는데, 철도 개발회사 변호사로서의 Jim의 역할은 어머니에 비유되는 자연을 파괴하는 일을 돕고 있는 셈이므로, 도시에서의 그의 생활은 모성갈망을 더욱 촉진시키는 구실을 한다.
또한 Jim은 Antonia를 연인, 아내, 어머니, 또는 누나로 소유하고 싶어하는데, 이 역시 Nebraska의 대자연과 마찬가지로 Antonia의 품에 안기고 싶어하는 모성갈망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 두 사람이 결합하지 못하는 이유는 단지 Antonia의 성적 경험과 미혼모의 처지 때문만이 아니다. 그보다도 그들 두 사람은 의식의 측면에서 각각 받은 교육수준과 사회적 계급의 차이를 느끼기 때문이다. 이는 곧 Jim이 대변하는 기존문화의 가치관과 Antonia가 속해있는 이민문화의 가치관과 의식구조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BIBLIOGRAPHY
1. Primary sources
Cather, Willa. My Antonia Boston: Houghton Mifflin, 1988.(Originally published in 1918).
, Willa Cather On Writing. New York: Alfred A. Knopf, 1949.
2. Secondary Sources
1) Books
Ambrose, Jamie. Willa Cather: Writing at the Frontier. Oxford: Berg Publishers, 1988.
Bennet, Mildred R. The world of Willa Cather. New York: Dodd, Mead, 1951.
Bloom. Harold, ed.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 Willa Cather's My Antonia.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7.
Daiches, David. Willa Cather: A Critical Introduction. Ithaca: Cornell UP, 1951.
,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The Claims of History ed.
Fisher-wirth, Ann. "Womanhood and Art in My Antonia," Willa Cather: Family, Community, and History ed. John J. Murphy. Utah: Brigham Young UP, 1990.
Martin, Terence.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The Drama of Memory in My Antonia, ed. Harold Bloom.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Murphy, John J. "The Virginian and Antonia Shimerda: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Women and Western American Literature. eds. Helen Winter Stauffer and Susan J. Rosowski. Troy: Whitson, 1982.
Randall III, Hohn H. The Landscape and the Looking Glass. Boston: Houghton Mifflin, 1960.
Stegner, Wallace. "Willa Cather: My Antonia." The American Novel. (ed.) Wallace Stegner. New York: Basic Books, Inc., 1965.
Woodress, James. Willa Cather: Her Life and Art. New York: Pegasus, 1970.
Zabel, Morton D.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Willa Cather: The Tone of Time ed. Harold Bloom.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르메르, 아니카, 이미선 역, 자크 라캉, 서울:문예출판사, 1994.
볼진, 진 시노다, 조주연 역,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992.
정상준,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외국문학 43(여름호:1995), 서울:열음사.
2) Periodicals
Gelfant, Blanche. "The Forgotten Reaping-Hook: Sex in My Antonia," Amerioan Literature 153(March 1971): 60-82.
Lambert, Deboarah G. "The Defat of a Hero: Autonomy and Sexuality in My Antonia," American Literature 53 (January 1982): 676-89.
Martin, Terence. "The Drama of Memory in My Antonia," PMLA 84 (March 1969): 304-11.
Stuckey, William J., ed. Modern Fiction Studies 36 (Sping 1990): 3-129.
한편, Jim Burden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Jim은 이야기를 풀어 가는 화자로서 짐(burden)을 짊어진 중요한 인물로, 그는 이 소설 속에 산재해 있는 여러 사람들을 하나로 모아서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변화사가 되어 사회적으로는 성공했지만 불모와 같은 가정생활과 도시에서의 공허한 삶 속에 묻혀 있던 Jim은 20년 후에 Nebraska의 대자연으로 돌아오는데, 철도 개발회사 변호사로서의 Jim의 역할은 어머니에 비유되는 자연을 파괴하는 일을 돕고 있는 셈이므로, 도시에서의 그의 생활은 모성갈망을 더욱 촉진시키는 구실을 한다.
또한 Jim은 Antonia를 연인, 아내, 어머니, 또는 누나로 소유하고 싶어하는데, 이 역시 Nebraska의 대자연과 마찬가지로 Antonia의 품에 안기고 싶어하는 모성갈망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 두 사람이 결합하지 못하는 이유는 단지 Antonia의 성적 경험과 미혼모의 처지 때문만이 아니다. 그보다도 그들 두 사람은 의식의 측면에서 각각 받은 교육수준과 사회적 계급의 차이를 느끼기 때문이다. 이는 곧 Jim이 대변하는 기존문화의 가치관과 Antonia가 속해있는 이민문화의 가치관과 의식구조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BIBLIOGRAPHY
1. Primary sources
Cather, Willa. My Antonia Boston: Houghton Mifflin, 1988.(Originally published in 1918).
, Willa Cather On Writing. New York: Alfred A. Knopf, 1949.
2. Secondary Sources
1) Books
Ambrose, Jamie. Willa Cather: Writing at the Frontier. Oxford: Berg Publishers, 1988.
Bennet, Mildred R. The world of Willa Cather. New York: Dodd, Mead, 1951.
Bloom. Harold, ed.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 Willa Cather's My Antonia.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7.
Daiches, David. Willa Cather: A Critical Introduction. Ithaca: Cornell UP, 1951.
,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The Claims of History ed.
Fisher-wirth, Ann. "Womanhood and Art in My Antonia," Willa Cather: Family, Community, and History ed. John J. Murphy. Utah: Brigham Young UP, 1990.
Martin, Terence.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The Drama of Memory in My Antonia, ed. Harold Bloom.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Murphy, John J. "The Virginian and Antonia Shimerda: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Women and Western American Literature. eds. Helen Winter Stauffer and Susan J. Rosowski. Troy: Whitson, 1982.
Randall III, Hohn H. The Landscape and the Looking Glass. Boston: Houghton Mifflin, 1960.
Stegner, Wallace. "Willa Cather: My Antonia." The American Novel. (ed.) Wallace Stegner. New York: Basic Books, Inc., 1965.
Woodress, James. Willa Cather: Her Life and Art. New York: Pegasus, 1970.
Zabel, Morton D. "Modern Critical Views: Willa Cather", Willa Cather: The Tone of Time ed. Harold Bloom. New York: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르메르, 아니카, 이미선 역, 자크 라캉, 서울:문예출판사, 1994.
볼진, 진 시노다, 조주연 역,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992.
정상준, “문화적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외국문학 43(여름호:1995), 서울:열음사.
2) Periodicals
Gelfant, Blanche. "The Forgotten Reaping-Hook: Sex in My Antonia," Amerioan Literature 153(March 1971): 60-82.
Lambert, Deboarah G. "The Defat of a Hero: Autonomy and Sexuality in My Antonia," American Literature 53 (January 1982): 676-89.
Martin, Terence. "The Drama of Memory in My Antonia," PMLA 84 (March 1969): 304-11.
Stuckey, William J., ed. Modern Fiction Studies 36 (Sping 1990): 3-129.
키워드
추천자료
사이버문학(인터넷문학, 온라인문학) 특징과 역사, 사이버문학(인터넷문학, 온라인문학) 대화...
문학(한국문학)의 기능, 문학(한국문학)의 근대성, 문학(한국문학)과 구술문학, 문학(한국문...
북한문학(북한의 문학), 독일문학(독일의 문학), 프랑스문학(프랑스의 문학), 영국문학(영국...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정의, 일본문학 청령일기(가게로 일기)의 저자, 일본문학 ...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10년대와 1920년대 문학,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30년대와 1940년대...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분류,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구분, 한국문학사(한국문학역사) ...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 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 할 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할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문...
가사문학(가사작품)과 개화가사, 서민가사, 가사문학(가사작품)과 전쟁가사, 의병가사, 가사...
가사문학(가사) 화전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처사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연행가 ...
시문학(시작품, 시)과 일제시대, 시문학(시작품, 시)과 8.15광복, 시문학(시작품, 시)과 사실...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한일문학(...
가사문학(가사) 원한가, 매화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월여농가, 노처녀가 작품분석, 가...
아동문학 교육과 관련한 주요이론을 반응중심 문학활동과 통합적 문학활동의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