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대중음악이란
▶본론Ⅰ
1.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의 대중가요
2.1960년대 대중가요
3.1970년대 대중가요
4.1980년대 대중가요
5.1990년대 대중가요
6.2000년대 대중가요
▶본론 Ⅱ
1.변형된 대중가요
▶나오는 말
※자료출처
1.대중음악이란
▶본론Ⅰ
1.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의 대중가요
2.1960년대 대중가요
3.1970년대 대중가요
4.1980년대 대중가요
5.1990년대 대중가요
6.2000년대 대중가요
▶본론 Ⅱ
1.변형된 대중가요
▶나오는 말
※자료출처
본문내용
존에 비하면 엽기적이다. 기존의 대중음악들이 사랑, 실연, 인생역정 등의 소재에 국한된 것에 비해서 엽기송은 그 다양함을 자랑한다. 젊은이들의 ‘튀어 보이기’ 문화가 일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몇 가지의 엽기송 가사이다.
「에그송」
탱글탱글 노른자가 최고 매력이에요 알러뷰 에그
껍질 안에 뽀얀 속살 눈이 부실지경이에요 알러뷰
단백질도 비타민도 미네랄도 빵빵해 아~ 빵빵해
인기 절정 퍼펙트해요 완전식품이네요 알러뷰 에그에그
내 볼에도 있어 내 맘에도 있어 톡톡톡 껍질을 깨고 내게로 다가와
(달걀 잡수와~) 사랑해 (계란) 사랑해 (달걀) 정말정말 사랑해
계란 달걀 달걀 계란 에그에그 좋아 하늘만큼 사랑해
난 계란이 정말 좋아.
사랑해 (계란) 사랑해 (달걀) 정말정말 사랑해
계란 달걀 달걀 계란 일년 삼백육십오일 너만을 사랑해
너만을 사랑해 (맛있다~)
「숫자송」
원~엔 투~엔 쓰리~엔 포~예!
원~엔 투~엔 쓰리~엔 포~엔!
(1) 일초라도 안보이면
(2) 이렇게 초조한데
(3) 삼초는 어떻게 기다려
(이야이야이야이야)
(4) 사랑해 널 사랑해
(5) 오늘은 말할거야
(6) 육십억 지구에서 널만난건
(7) 럭키야!
사랑해 요기조기 한눈팔지 말고 나를봐
좋아해 나를향해 웃는미소 매일 매일 보여줘
(8) 팔딱팔딱 뛰는 가슴
(9) 구해줘 오! 내 마음
(10)십년이 가도 너를 사랑해 언제나 이맘 변치 않을게
「라면송」
뽀글뽀글 GoGo! 끓는물에
뽀글뽀글 GoGo! 면발을 넣고
뽀글뽀글 GoGo! 스프도 넣고
뽀글뽀글 GoGo! 삼분이면
아싸라 비아 라면 천국
뽀글뽀글 GoGo! 기호 따라
뽀글뽀글 GoGo! 고춧 가루
뽀글뽀글 GoGo! 파도 송송
뽀글뽀글 GoGo! 아 여유 있으면 계란을 넣어 드시던지
라면의 매력이 무엇이냐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맛
뼛속까지 스며드는 국물에 빠져
나는 야 라면이 좋아 (좋아)
뽀글뽀글 Go Go! 입맛 따라
뽀글뽀글 Go Go! 얼큰한 맛
뽀글뽀글 Go Go! 시원한 맛
뽀글뽀글 Go Go! 골라서 먹어봐요!
밥이나 말아 드시던지 라면에 종류도 가지가지
쫄깃쫄깃 보들보들 오동통통
목으로 넘어가는 면발의 행진
나는 야 라면이 좋아 (좋아)
정말로 라면이 좋아
위의 가사들을 보면 엽기송의 인기의 비결은 사소한 일상에서 소재를 구해왔다는 점일 것 같다.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오늘날 이 같이 가벼운 소재의 경쾌한 리듬감은 현대인의 또 다른 활력소가 될 수 있을 듯하다. 그것이 엽기송의 인기비결이기도 하고 말이다.
드라마, 영화, 만화 음악
드라마나 영화 만화의 내용 못지 않게 이기를 구가하고 있는 것이 그들 의 주제곡이다. 최고의 시청률을 자랑하는 드라마는 그 주제곡도 최고 의 인기 순위를 차지하는 것이다. 최근에 가장 인기를 누린 것은 드라 마 ‘대장금’의 주제곡인 ‘오나라’이다. 특히 국악가요의 형태를 띄고 있 는 곡이어서 그 선풍적인 인기에 대한 평가가 한 층 더 돋보인다. ‘대장금’이라는 드라마 자체의 재미가 인기의 큰 몫이었겠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오나라’라는 주제곡이 ‘대장금’의 인기몰이 한 몫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조는 후자의 평가에 더 의의를 두고 싶다. 드라마라는 장르 역시 대중가요의 교집합임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의 영화 주제곡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그녀를 믿지 마세요’이 다. 김하늘, 강동원 주연인 그 영화의 흥행에 한 몫을 한 곡이다. 만화 주제곡은 주로 어린이 만화에서 그 효과를 발하고 있다. 여러 세대가 공 유하고 있는 ‘은하철도 999’, ‘태권브이’, ‘신데렐라’ 등의 만화주제곡이 그것이다. 우리는 그 만화들을 기억할 때 그 주제곡의 멜로디를 떠올리 게 된다. 이것이 만화 주제곡이 하나의 대중음악으로서 자리할 수 있는 근거일 것이다.
휴대폰 멜로디 연결음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이다. 그런 휴대폰의 변화는 우리에게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된다. 휴대폰은 전화기 이상의 의미이다. 일종의 악세사리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는 휴대폰에 열쇠고리, 휴대폰 전용줄 등을 달기도 하고 스티커를 붙이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휴대폰 벨소리이다. 유행에 민감한 사람들은 일주일에 한 번씩 바꾸기조차 한다. 최근에는 휴대폰 연결음이 등장했다.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대중가요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위에서 말한 엽기송도 이 휴대폰 멜로디, 연결음에 사용되고 있다. 사실 엽기송은 인터넷에서 못지 않게 휴대폰에 의해서도 대중에게 많이 알려졌다.
이렇게 대중가요는 그 범주의 테두리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대중가요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타문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세계가 지구촌화 된 현실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퓨전문화를 주변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퓨전문화처럼 대중가요 역시 정통가요에서만 머물지 않고 타음악적 요소들과 결합을 하는 것이다.
▶ 나오는 말
이전에 존재했고 오늘날 보여지는 대중가요에 대해 두루 살펴보았다. 얼마나 가요가 우리 가까이 있고 우리의 변화와 함께 해 왔는 지를 분명히 알게 해주는 과정이었다. 다소는 생소하게 느껴지고 웃음이 날 만큼 촌스러운 느낌이 나는 시대의 가요도 있었지만 그것들 역시 우리 가요의 한 장르이다. 대중가요 전반을 살펴보고 아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앞으로의 대중가요가 나아갈 길을 살피고 닦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대중가요에 대해 우리 생각이 나아가야 할 다음 단계는 미래에 대한 설계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 중간에는 현재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자료출처
http://www.yangheeun.co.kr/
http://www.kpopdb.com/
http://www.naver.com/
「한국 대중가요사」 1998, 시공사, 이영미
*목 차
▶들어가는 말
1.대중음악이란
▶본론Ⅰ
1.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의 대중가요
2.1960년대 대중가요
3.1970년대 대중가요
4.1980년대 대중가요
5.1990년대 대중가요
6.2000년대 대중가요
▶본론 Ⅱ
1.변형된 대중가요
▶나오는 말
※자료출처
「에그송」
탱글탱글 노른자가 최고 매력이에요 알러뷰 에그
껍질 안에 뽀얀 속살 눈이 부실지경이에요 알러뷰
단백질도 비타민도 미네랄도 빵빵해 아~ 빵빵해
인기 절정 퍼펙트해요 완전식품이네요 알러뷰 에그에그
내 볼에도 있어 내 맘에도 있어 톡톡톡 껍질을 깨고 내게로 다가와
(달걀 잡수와~) 사랑해 (계란) 사랑해 (달걀) 정말정말 사랑해
계란 달걀 달걀 계란 에그에그 좋아 하늘만큼 사랑해
난 계란이 정말 좋아.
사랑해 (계란) 사랑해 (달걀) 정말정말 사랑해
계란 달걀 달걀 계란 일년 삼백육십오일 너만을 사랑해
너만을 사랑해 (맛있다~)
「숫자송」
원~엔 투~엔 쓰리~엔 포~예!
원~엔 투~엔 쓰리~엔 포~엔!
(1) 일초라도 안보이면
(2) 이렇게 초조한데
(3) 삼초는 어떻게 기다려
(이야이야이야이야)
(4) 사랑해 널 사랑해
(5) 오늘은 말할거야
(6) 육십억 지구에서 널만난건
(7) 럭키야!
사랑해 요기조기 한눈팔지 말고 나를봐
좋아해 나를향해 웃는미소 매일 매일 보여줘
(8) 팔딱팔딱 뛰는 가슴
(9) 구해줘 오! 내 마음
(10)십년이 가도 너를 사랑해 언제나 이맘 변치 않을게
「라면송」
뽀글뽀글 GoGo! 끓는물에
뽀글뽀글 GoGo! 면발을 넣고
뽀글뽀글 GoGo! 스프도 넣고
뽀글뽀글 GoGo! 삼분이면
아싸라 비아 라면 천국
뽀글뽀글 GoGo! 기호 따라
뽀글뽀글 GoGo! 고춧 가루
뽀글뽀글 GoGo! 파도 송송
뽀글뽀글 GoGo! 아 여유 있으면 계란을 넣어 드시던지
라면의 매력이 무엇이냐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맛
뼛속까지 스며드는 국물에 빠져
나는 야 라면이 좋아 (좋아)
뽀글뽀글 Go Go! 입맛 따라
뽀글뽀글 Go Go! 얼큰한 맛
뽀글뽀글 Go Go! 시원한 맛
뽀글뽀글 Go Go! 골라서 먹어봐요!
밥이나 말아 드시던지 라면에 종류도 가지가지
쫄깃쫄깃 보들보들 오동통통
목으로 넘어가는 면발의 행진
나는 야 라면이 좋아 (좋아)
정말로 라면이 좋아
위의 가사들을 보면 엽기송의 인기의 비결은 사소한 일상에서 소재를 구해왔다는 점일 것 같다.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오늘날 이 같이 가벼운 소재의 경쾌한 리듬감은 현대인의 또 다른 활력소가 될 수 있을 듯하다. 그것이 엽기송의 인기비결이기도 하고 말이다.
드라마, 영화, 만화 음악
드라마나 영화 만화의 내용 못지 않게 이기를 구가하고 있는 것이 그들 의 주제곡이다. 최고의 시청률을 자랑하는 드라마는 그 주제곡도 최고 의 인기 순위를 차지하는 것이다. 최근에 가장 인기를 누린 것은 드라 마 ‘대장금’의 주제곡인 ‘오나라’이다. 특히 국악가요의 형태를 띄고 있 는 곡이어서 그 선풍적인 인기에 대한 평가가 한 층 더 돋보인다. ‘대장금’이라는 드라마 자체의 재미가 인기의 큰 몫이었겠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오나라’라는 주제곡이 ‘대장금’의 인기몰이 한 몫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조는 후자의 평가에 더 의의를 두고 싶다. 드라마라는 장르 역시 대중가요의 교집합임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의 영화 주제곡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그녀를 믿지 마세요’이 다. 김하늘, 강동원 주연인 그 영화의 흥행에 한 몫을 한 곡이다. 만화 주제곡은 주로 어린이 만화에서 그 효과를 발하고 있다. 여러 세대가 공 유하고 있는 ‘은하철도 999’, ‘태권브이’, ‘신데렐라’ 등의 만화주제곡이 그것이다. 우리는 그 만화들을 기억할 때 그 주제곡의 멜로디를 떠올리 게 된다. 이것이 만화 주제곡이 하나의 대중음악으로서 자리할 수 있는 근거일 것이다.
휴대폰 멜로디 연결음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이다. 그런 휴대폰의 변화는 우리에게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된다. 휴대폰은 전화기 이상의 의미이다. 일종의 악세사리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는 휴대폰에 열쇠고리, 휴대폰 전용줄 등을 달기도 하고 스티커를 붙이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휴대폰 벨소리이다. 유행에 민감한 사람들은 일주일에 한 번씩 바꾸기조차 한다. 최근에는 휴대폰 연결음이 등장했다.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대중가요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위에서 말한 엽기송도 이 휴대폰 멜로디, 연결음에 사용되고 있다. 사실 엽기송은 인터넷에서 못지 않게 휴대폰에 의해서도 대중에게 많이 알려졌다.
이렇게 대중가요는 그 범주의 테두리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대중가요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타문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세계가 지구촌화 된 현실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퓨전문화를 주변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퓨전문화처럼 대중가요 역시 정통가요에서만 머물지 않고 타음악적 요소들과 결합을 하는 것이다.
▶ 나오는 말
이전에 존재했고 오늘날 보여지는 대중가요에 대해 두루 살펴보았다. 얼마나 가요가 우리 가까이 있고 우리의 변화와 함께 해 왔는 지를 분명히 알게 해주는 과정이었다. 다소는 생소하게 느껴지고 웃음이 날 만큼 촌스러운 느낌이 나는 시대의 가요도 있었지만 그것들 역시 우리 가요의 한 장르이다. 대중가요 전반을 살펴보고 아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앞으로의 대중가요가 나아갈 길을 살피고 닦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대중가요에 대해 우리 생각이 나아가야 할 다음 단계는 미래에 대한 설계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 중간에는 현재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자료출처
http://www.yangheeun.co.kr/
http://www.kpopdb.com/
http://www.naver.com/
「한국 대중가요사」 1998, 시공사, 이영미
*목 차
▶들어가는 말
1.대중음악이란
▶본론Ⅰ
1.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의 대중가요
2.1960년대 대중가요
3.1970년대 대중가요
4.1980년대 대중가요
5.1990년대 대중가요
6.2000년대 대중가요
▶본론 Ⅱ
1.변형된 대중가요
▶나오는 말
※자료출처
키워드
추천자료
새로움에 대한 기대감,2000년대 뮤지컬
[의류] 2000년대 사회문화현상과 패션과의 관계
2000년대 패션
“2000년대 지구동향”을 읽고
2000년대 한국의 시사만화
2000년대 한국사회 모성 인식: 영화, 드라마 분석을 통해
[현대문학사]1990~2000년대 평론개관-평론, 비평-
2000년대 사이버문학 평론
2000년대 연애사조
1960~70년대 산아제한 광고와 2000년대 출산장려 광고를 통한 가족관의 변화 비교 조사분석
1910년대 정부수립운동, 1920년대 농민운동, 1930년대 재일조선인운동, 1940년대 통일운동세...
1910년대의 독립운동, 1920년대의 여성단체운동, 1930년대의 아나키즘운동, 1940년대의 통일...
1세대 아이돌과 2세대 아이돌의 팬덤문화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일본영화사 - 초창기 (서양기술과 전통극의 융합), 1920~30년대 ~ 1990~20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