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통 베이스 증폭기
<미리생각해보는 실험목적>
<공통 베이스 증폭 회로를 보자>
<이론 공부>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
<궁금한 점>
공통 컬렉터 증폭기
<미리생각해보는 실험목적>
<공통 컬렉터회로를 보자>
<이론 공부>
<궁금한 점>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
<미리생각해보는 실험목적>
<공통 베이스 증폭 회로를 보자>
<이론 공부>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
<궁금한 점>
공통 컬렉터 증폭기
<미리생각해보는 실험목적>
<공통 컬렉터회로를 보자>
<이론 공부>
<궁금한 점>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
본문내용
스는 입력임피던스에 비해서 작아서 입·출 력임피던스가 다른 두 개의 증폭기를 무리 없이 연결할 수 있는 임피던스 정 합이나 완충증폭기용으로 사용된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는 전압 증폭이 되지 않는다. 전압 증폭도는 1에 가깝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의 전류 증폭도와 전력 증폭도는 크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에서 컬렉터는 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적으 로는 접지와 같다.
㉦ 이미터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위상은 베이스신호와 동위상이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는 베이스단자로 입력 신호가 인가되며, 출력신호는 이미 터단자로 출력된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의 이미터단자는 교류적으로 바이패스되지 않는다.
<궁금한 점>
공통 컬렉터 증폭기에서 입,출력 파형이 동위상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출력측 콘덴서는 직류전압을 차단한다. 출력측 콘덴서는 동위상 교류에미터 전 압을 부하저항으로 결합시킨다. 콘덴서는 직류에 대해 개방되고 교류에대해 단 락되므로.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
▶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 저항 , 직류전원 , 교류전원, 분압용 가변저항 ,전류계 (DC), 전압계 (DC, AC), 1:1 트랜스포머, 가청주파수발진기, 오실로스코프, DMM
㉣ 컬렉터 공통 증폭기는 전압 증폭이 되지 않는다. 전압 증폭도는 1에 가깝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의 전류 증폭도와 전력 증폭도는 크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에서 컬렉터는 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적으 로는 접지와 같다.
㉦ 이미터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위상은 베이스신호와 동위상이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는 베이스단자로 입력 신호가 인가되며, 출력신호는 이미 터단자로 출력된다.
㉨ 컬렉터 공통 증폭기의 이미터단자는 교류적으로 바이패스되지 않는다.
<궁금한 점>
공통 컬렉터 증폭기에서 입,출력 파형이 동위상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출력측 콘덴서는 직류전압을 차단한다. 출력측 콘덴서는 동위상 교류에미터 전 압을 부하저항으로 결합시킨다. 콘덴서는 직류에 대해 개방되고 교류에대해 단 락되므로.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
▶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 저항 , 직류전원 , 교류전원, 분압용 가변저항 ,전류계 (DC), 전압계 (DC, AC), 1:1 트랜스포머, 가청주파수발진기, 오실로스코프, DM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