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혈압의 정의
2. 고혈압의 분류
3. 고혈압 환자의 증상/합병증
4. 고혈압 증상에 대한 오해
5. 생활 속에서 고혈압의 관리
6. 식이요법
7. 약재를 이용한 고혈압 관리.
8. 또 다른 방법들
9. 기타 주의사항
2. 고혈압의 분류
3. 고혈압 환자의 증상/합병증
4. 고혈압 증상에 대한 오해
5. 생활 속에서 고혈압의 관리
6. 식이요법
7. 약재를 이용한 고혈압 관리.
8. 또 다른 방법들
9. 기타 주의사항
본문내용
욕조 밖으로 나와 있거나 찬물을 끼얹어 주고 다시 들어가면 된다.
▶반신욕을 하는 도중에 현기증이 나는 사람은 중증의 고혈압 혹은 심장병 환자일 경우가 많으므로 발물요법으로 적응을 한 후 아랫도리, 배꼽아래, 명치 아래 순으로 서서히 단련하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반신욕 후에는 아랫도리를 따뜻하게 하여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반신욕이 힘들 경우에는 본 사이트에 있는 발물요법을 시행하시면 되는데, 이때 발물에 죽염을 한 숟가락 정도 타서 하시면 크게 도움이 된다. 발물하는 요령은 [자연요법]의 <자연요법의 실제> 코너를 참조하되 주의사항을 꼭 유념하여 실천하여야 한다.
⊙ 뜸치료
족삼리혈 ; 무릎을 90도로 굽혔을 때 무릎마디로부터 3치 내려가서 정강이뼈의 앞기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한 손가락 너비 되는 곳에 매해 봄마다 뜸을 한번에 3~5장씩 한 달 동안 뜬다.
고혈압점 ; 발등쪽 첫째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따라 발목쪽으로 올라가면서 제일 높은 뼈마디를 지난 다음 우묵한 곳에 팥알 크기의 뜸봉으로 한번에 3~5장씩 10일 동안 뜬다.
⊙ 부항치료
등골 양옆을 따라 첫날은 부항을 쭉 내리붙이고 제 2일에는 팔과 다리에서 살이 많은 곳, 제 3일에는 심장부위를 제외한 가슴 부위에 붙인다. 한번에 8~12개씩 10~15분 동안 붙여준다. 15~20번 하여주면 효과를 본다.
⊙ 수기치료
백회혈 : 머리의 정중선에서 앞 머리카락이 난 경계로부터 5치 올라가 오목한곳을 손가락 끝으로 세게 2~3번 누른다. 고혈압병으로 머리가 아플 때 효과가 있다. 목이 뻣뻣하고 어깨가 무거울 때에는 제7경추 아래(대추혈)와 어깨마루뼈 끝을 연결한 선의 중간점(견정혈)을 세게 1~2분 동안 누른다.
인영혈 ; 목젖에서 양 옆으로 1치 5푼 되는 곳(맥이 뛰는 곳)을 첫째와 둘째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른다. 오래 누르거나 지나체게 세게 누르면 안된다.
9. 기타 주의사항
고혈압의 치료에서의 생활요법은 혈압약의 부작용을 피할수 있고 고혈압의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하므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경증고혈압뿐 아니라 중증고혈압의 치료에서도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① 염분섭취제한
우리나라 사람의 하루 평균 식염 소비량은 10-20g인데 3-5g으로 제한한다.
( 1g Na = 2.5g Nacl, 1teaspoonful= 6g Nacl )
이렇게 2-3개월간 섭취제한하면 수축기혈압 8-15mmHg, 이완기혈압 5-8mmHg 정도의 혈압이 내려가고, 약물의 용량을 줄일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시 소금과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각종 튀김, 저린음식, 인스턴트식품을 피하고 대용 소금을 쓸수 있다.
② 비만자의 체중감소
체중1kg감소시에 2.5/1.5mmHg 혈압이 내려간다.
③ 규칙적인 운동
심호흡, 산보 (1km에 15분의 속도, 하루 2-3km), 체조, 줄넘기(50회), 조깅(매일 일정코스), 자전거타기 수영을 20-30분씩 주3회 한다.
고혈압환자의 경우 운동시 혈압상승이 정상인에 비해 더 올라가고, 확장기혈압도 정상인과는 다르게 올라가지만 상당시간 신체단련후에는 혈압이 내려간다.
1주일에 2일간 6개월 운동을 하면 13/12mmHg정도의 혈압이 내려간다.
1주일에 3일간 3개월 운동을 하면 13/14mmHg정도의 혈압이 내려간다.
④ 음주
과음은 혈압을 올라가게 할 뿐 아니라 고혈압의 약물효과를 저해하므로 1일 먹을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30ml이하로 제한한다. 이는 양주 40ml, 소주 80ml, 포도주 160ml, 맥주 480ml에 해당한다.
⑤ 금연
흡연은 심장질환의 위험을 2배 이상 증가 시키고 혈압을 3/5-12/12mmHg 정도 올린다. 그러므로 고혈압 환자는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⑥ 카페인
카페인은 혈압을 올리므로 커피를 마시지 말거나 하루 2잔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⑦ 좋은 음식
잡곡, 현미, 보리밥, 콩, 율무, 두부
돼지고기나 쇠고기의 살부위, 닭고기의 가슴살
생선회, 소금을 뿌리지 않고 구운 생선
(먹기 직전에 간장을 살짝 뿌림)
과일, 신선한 야채와 채소, 버섯, 가지, 호박, 감자, 무, 마늘, 파, 물김치, 겉절이
⑧ 나쁜 음식은
백미, 팥, 강낭콩
돼지고기의 비계, 내장, 간, 콩팥, 햄, 베이컨, 소시지, 어묵, 계란노른자(하루 한 개 이내)
젓갈, 통조림, 소금에 절이거나 조린 생선, 삼치, 조개류, 정어리, 오징어
버터, 마아가린, 치즈
김, 김치, 장아찌, 단무지
흰설탕, 케이크, 베이킹파우더를 넣은 빵
▶반신욕을 하는 도중에 현기증이 나는 사람은 중증의 고혈압 혹은 심장병 환자일 경우가 많으므로 발물요법으로 적응을 한 후 아랫도리, 배꼽아래, 명치 아래 순으로 서서히 단련하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반신욕 후에는 아랫도리를 따뜻하게 하여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반신욕이 힘들 경우에는 본 사이트에 있는 발물요법을 시행하시면 되는데, 이때 발물에 죽염을 한 숟가락 정도 타서 하시면 크게 도움이 된다. 발물하는 요령은 [자연요법]의 <자연요법의 실제> 코너를 참조하되 주의사항을 꼭 유념하여 실천하여야 한다.
⊙ 뜸치료
족삼리혈 ; 무릎을 90도로 굽혔을 때 무릎마디로부터 3치 내려가서 정강이뼈의 앞기슭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한 손가락 너비 되는 곳에 매해 봄마다 뜸을 한번에 3~5장씩 한 달 동안 뜬다.
고혈압점 ; 발등쪽 첫째발가락과 둘째발가락 사이를 따라 발목쪽으로 올라가면서 제일 높은 뼈마디를 지난 다음 우묵한 곳에 팥알 크기의 뜸봉으로 한번에 3~5장씩 10일 동안 뜬다.
⊙ 부항치료
등골 양옆을 따라 첫날은 부항을 쭉 내리붙이고 제 2일에는 팔과 다리에서 살이 많은 곳, 제 3일에는 심장부위를 제외한 가슴 부위에 붙인다. 한번에 8~12개씩 10~15분 동안 붙여준다. 15~20번 하여주면 효과를 본다.
⊙ 수기치료
백회혈 : 머리의 정중선에서 앞 머리카락이 난 경계로부터 5치 올라가 오목한곳을 손가락 끝으로 세게 2~3번 누른다. 고혈압병으로 머리가 아플 때 효과가 있다. 목이 뻣뻣하고 어깨가 무거울 때에는 제7경추 아래(대추혈)와 어깨마루뼈 끝을 연결한 선의 중간점(견정혈)을 세게 1~2분 동안 누른다.
인영혈 ; 목젖에서 양 옆으로 1치 5푼 되는 곳(맥이 뛰는 곳)을 첫째와 둘째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른다. 오래 누르거나 지나체게 세게 누르면 안된다.
9. 기타 주의사항
고혈압의 치료에서의 생활요법은 혈압약의 부작용을 피할수 있고 고혈압의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하므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경증고혈압뿐 아니라 중증고혈압의 치료에서도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① 염분섭취제한
우리나라 사람의 하루 평균 식염 소비량은 10-20g인데 3-5g으로 제한한다.
( 1g Na = 2.5g Nacl, 1teaspoonful= 6g Nacl )
이렇게 2-3개월간 섭취제한하면 수축기혈압 8-15mmHg, 이완기혈압 5-8mmHg 정도의 혈압이 내려가고, 약물의 용량을 줄일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시 소금과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각종 튀김, 저린음식, 인스턴트식품을 피하고 대용 소금을 쓸수 있다.
② 비만자의 체중감소
체중1kg감소시에 2.5/1.5mmHg 혈압이 내려간다.
③ 규칙적인 운동
심호흡, 산보 (1km에 15분의 속도, 하루 2-3km), 체조, 줄넘기(50회), 조깅(매일 일정코스), 자전거타기 수영을 20-30분씩 주3회 한다.
고혈압환자의 경우 운동시 혈압상승이 정상인에 비해 더 올라가고, 확장기혈압도 정상인과는 다르게 올라가지만 상당시간 신체단련후에는 혈압이 내려간다.
1주일에 2일간 6개월 운동을 하면 13/12mmHg정도의 혈압이 내려간다.
1주일에 3일간 3개월 운동을 하면 13/14mmHg정도의 혈압이 내려간다.
④ 음주
과음은 혈압을 올라가게 할 뿐 아니라 고혈압의 약물효과를 저해하므로 1일 먹을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30ml이하로 제한한다. 이는 양주 40ml, 소주 80ml, 포도주 160ml, 맥주 480ml에 해당한다.
⑤ 금연
흡연은 심장질환의 위험을 2배 이상 증가 시키고 혈압을 3/5-12/12mmHg 정도 올린다. 그러므로 고혈압 환자는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⑥ 카페인
카페인은 혈압을 올리므로 커피를 마시지 말거나 하루 2잔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⑦ 좋은 음식
잡곡, 현미, 보리밥, 콩, 율무, 두부
돼지고기나 쇠고기의 살부위, 닭고기의 가슴살
생선회, 소금을 뿌리지 않고 구운 생선
(먹기 직전에 간장을 살짝 뿌림)
과일, 신선한 야채와 채소, 버섯, 가지, 호박, 감자, 무, 마늘, 파, 물김치, 겉절이
⑧ 나쁜 음식은
백미, 팥, 강낭콩
돼지고기의 비계, 내장, 간, 콩팥, 햄, 베이컨, 소시지, 어묵, 계란노른자(하루 한 개 이내)
젓갈, 통조림, 소금에 절이거나 조린 생선, 삼치, 조개류, 정어리, 오징어
버터, 마아가린, 치즈
김, 김치, 장아찌, 단무지
흰설탕, 케이크, 베이킹파우더를 넣은 빵
추천자료
임상영양학-심장혈관계질환
성인병과운동처방 등...
성인병과 예방을 위한 다이어트
심맥관계 환자의 재활
저혈압의 정의와 종류 원인과 증상 치료
질환별 건강관리
방문간호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의 원인(요인)과 분류(종류-아테롬경화,중막경화,세동맥경화), 동맥경...
[신경계 질환] 신경계 질환의 종류(유형)와 치료방법 - 뇌졸중(뇌출혈,뇌경색), 간질, 치매, ...
[뇌졸중] 뇌졸중의 분류(종류) 및 증상(뇌출혈,뇌혈전,뇌경색), 뇌졸중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
[심장병] 심장질환의 종류(분류)와 증상, 심장병의 치료와 식사관리(식단관리), 허혈성 심질...
[뇌졸중] 뇌졸중의 종류와 증상, 뇌졸중 위험인자 및 예방, 뇌졸중의 진단과 치료방법(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허혈성 심질환의 정의와 분류, 허혈성 심장질환(허혈성심질환)의 원인(위...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의 원인(요인)과 증상, 동맥경화증의 정의와 종류(분류), 동맥경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