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리는 왜 아타나시우스를 배우는가?
Ⅱ. 아타나시우스의 삶과 인격에 대한 정리
Ⅲ. 신학사상
Ⅳ. 저서들
Ⅱ. 아타나시우스의 삶과 인격에 대한 정리
Ⅲ. 신학사상
Ⅳ. 저서들
본문내용
스에게 보낸 서간>
■ 고린토의 주교 에삑테뚜스로부터 역사의 예수와 영원한 초월성을 지닌 예수와의 관계에 관한 질의를 받고 보낸 서간
□ 강생하신 주님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
□ 천주성과 육신의 관계
□ 성부와 그리스도와의 관계
■ 기본적인 신앙을 피력
2. 역사 논쟁적 작품들
1) <아리우스이단을 반박하는 변론>
■ 두 번째 유배지에서 돌아 온 348년경에 저술
■ 90장으로 되어있는 이 저서에서 자신의 정통 신앙을 피력
■ 339년 ~ 357년까지의 아리우스 이단논쟁에 관한 지역회의 결정과 문서 그리고 이에 관련한 서간들을 폭넓게 수록
■ 이 문헌은 아리우스이단의 형성과정과 논쟁사에 대한 중요한 사료
2) <아리우스 이단 역사>
■ 3차 유배지인 에집트에서 358년 수도자들의 요청에 의해 저술
■ 335년 ~ 357년까지의 아리우스이단 논쟁에 관한 폭 넓은 자료 수록
■ 단편만 전해오고 있음
3. 성서 주석 작품들
1) <시편 해석에 대해 미르첼리누스에게 보낸 서간>
■ 메시아적 사상과 특성을 설명
■ 시편의 보편성과 윤리적 영적 의미를 부각시키면서 시편을 찬양
2) <시편 주석>
■ 단편만 전해짐
■ 우의적 및 예형적 주석방법을 선호
4. 수덕 실천 작품들
1) 수도생활에 대한 관심과 3차 유배 시 에집트 수도자와 6년간 생활
2) <성안또니우스의 전기>
■ “은수자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성 안또니우스에 대한 전기문
■ 하느님께 봉헌된 이상적인 삶의 형태 제시
■ 성인의 구체적인 삶과 모범을 통해 완덕에 이를 수 있다는 점 제시
■ 375년 에바그리우스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 서방교회 수도생활에 영향
■ 우리나라 말로도 번역 <사막의 성인 안또니오, 크리스챤 출판사>
3) <동정론 1>
■ 그리스도교적 동정관의 원칙과 규범을 제시
■ 수덕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저서
4) <동정론 2>
■ 자기 집에서 지킬 수 있는 동정의 삶에 대해 언급
■ 동정녀들을 “천사적 삶”을 사는 사람이라고 언급
5. 서간들
1) 사적 서간은 없음
2) 공식 문서적인 서간
■ 축일서간
■ 지역회의의 결정사항을 타 교회에 알리는 서간
■ 총 주교 좌 내에 발생환 현안문제에 대해 주교들에게 알리는 회람서간
■ 교의적 성격을 띤 특별서간
■ <루피아누스에게 보낸 서간>
□ 362년 이후에 쓰여진 서간
□ 아리우스 이단에 속한 사람이 정통 교회에 들어오는 방법 설명
□ 그런 사람이 교회 성직에 오를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
■ 고린토의 주교 에삑테뚜스로부터 역사의 예수와 영원한 초월성을 지닌 예수와의 관계에 관한 질의를 받고 보낸 서간
□ 강생하신 주님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
□ 천주성과 육신의 관계
□ 성부와 그리스도와의 관계
■ 기본적인 신앙을 피력
2. 역사 논쟁적 작품들
1) <아리우스이단을 반박하는 변론>
■ 두 번째 유배지에서 돌아 온 348년경에 저술
■ 90장으로 되어있는 이 저서에서 자신의 정통 신앙을 피력
■ 339년 ~ 357년까지의 아리우스 이단논쟁에 관한 지역회의 결정과 문서 그리고 이에 관련한 서간들을 폭넓게 수록
■ 이 문헌은 아리우스이단의 형성과정과 논쟁사에 대한 중요한 사료
2) <아리우스 이단 역사>
■ 3차 유배지인 에집트에서 358년 수도자들의 요청에 의해 저술
■ 335년 ~ 357년까지의 아리우스이단 논쟁에 관한 폭 넓은 자료 수록
■ 단편만 전해오고 있음
3. 성서 주석 작품들
1) <시편 해석에 대해 미르첼리누스에게 보낸 서간>
■ 메시아적 사상과 특성을 설명
■ 시편의 보편성과 윤리적 영적 의미를 부각시키면서 시편을 찬양
2) <시편 주석>
■ 단편만 전해짐
■ 우의적 및 예형적 주석방법을 선호
4. 수덕 실천 작품들
1) 수도생활에 대한 관심과 3차 유배 시 에집트 수도자와 6년간 생활
2) <성안또니우스의 전기>
■ “은수자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성 안또니우스에 대한 전기문
■ 하느님께 봉헌된 이상적인 삶의 형태 제시
■ 성인의 구체적인 삶과 모범을 통해 완덕에 이를 수 있다는 점 제시
■ 375년 에바그리우스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 서방교회 수도생활에 영향
■ 우리나라 말로도 번역 <사막의 성인 안또니오, 크리스챤 출판사>
3) <동정론 1>
■ 그리스도교적 동정관의 원칙과 규범을 제시
■ 수덕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저서
4) <동정론 2>
■ 자기 집에서 지킬 수 있는 동정의 삶에 대해 언급
■ 동정녀들을 “천사적 삶”을 사는 사람이라고 언급
5. 서간들
1) 사적 서간은 없음
2) 공식 문서적인 서간
■ 축일서간
■ 지역회의의 결정사항을 타 교회에 알리는 서간
■ 총 주교 좌 내에 발생환 현안문제에 대해 주교들에게 알리는 회람서간
■ 교의적 성격을 띤 특별서간
■ <루피아누스에게 보낸 서간>
□ 362년 이후에 쓰여진 서간
□ 아리우스 이단에 속한 사람이 정통 교회에 들어오는 방법 설명
□ 그런 사람이 교회 성직에 오를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