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덜레스는 다섯가지 교회 모델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현대 교회론에 적용하여 비교 및 장.단점을 비교적 정확히 지적하였다. 필자는 여기서 "종으로서의 교회" 모델을 제시하고 싶다. 한국 교회의 상황은 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지니지 못하고 현시대의 사회문제와 인간 개인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모델은 덜레스의 주장처럼 성서적 근거가 약할 수 있다. 그 보안책으로 "사신으로서의 교회" 개념을 덧붙이면 어떨까? 교회는 내적으로 말씀에 의해서 언제나 말씀 사건(Ereignis)이 일어나며(사신으로서의 교회), 그 사건을 통한 복음의 능력을 사회에, 국가에 적용시킨다(종으로서의 교회)면,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 교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상당히 해결되리라 여겨진다.
이상으로 덜레스는 다섯가지 교회 모델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현대 교회론에 적용하여 비교 및 장.단점을 비교적 정확히 지적하였다. 필자는 여기서 "종으로서의 교회" 모델을 제시하고 싶다. 한국 교회의 상황은 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지니지 못하고 현시대의 사회문제와 인간 개인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모델은 덜레스의 주장처럼 성서적 근거가 약할 수 있다. 그 보안책으로 "사신으로서의 교회" 개념을 덧붙이면 어떨까? 교회는 내적으로 말씀에 의해서 언제나 말씀 사건(Ereignis)이 일어나며(사신으로서의 교회), 그 사건을 통한 복음의 능력을 사회에, 국가에 적용시킨다(종으로서의 교회)면,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서 교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상당히 해결되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