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복음과 인간의 문화
1. 선교와 인류학
2. 복음과 문화
제 2부 문화적 차이와 선교사
3. 문화적 차이와 새 선교사
4. 성육신적인 선교사
5. 서방 선교사의 문화적 추정
제 3부 문화적 차이와 메세지
6. 문화적 차이와 메세지
7. 비판적 상황화
8. 제 4의 자아제
4부 문화적 차이와 이중 문화적 단체
9. 이중 문화적 가교
10. 선교사의 역할
11. 미완성의 과업
1. 선교와 인류학
2. 복음과 문화
제 2부 문화적 차이와 선교사
3. 문화적 차이와 새 선교사
4. 성육신적인 선교사
5. 서방 선교사의 문화적 추정
제 3부 문화적 차이와 메세지
6. 문화적 차이와 메세지
7. 비판적 상황화
8. 제 4의 자아제
4부 문화적 차이와 이중 문화적 단체
9. 이중 문화적 가교
10. 선교사의 역할
11. 미완성의 과업
본문내용
살 것인가를 배워 나가야 한다. 우리는 이중 문화를 창조해 나가야 한다. 이중 문화를 창출하는데 안내하는 선은 동일화이다. 우리는 섬기는 백성과 동일화할 필요가 있을 때 이중 문화적인 가교를 가로질러 복음을 더 멀리 전파할 수 있다. 선교의 효과는 크게 단체의 질과 그 안의 관계 형성에 달려 있음을 기억하자.
10. 선교사의 역할
선교사가 된다는 것은 많은 다른 환경가운데 사람들과 내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교사는 다른 종류의 사람들 즉, 비기독인, 본국인, 기독인, 동료선교사들, 선교행정가, 선교사를 보내는 교회 사람들, 그리고 선교사 가족의 성원들과 관계한다.
선교사와 비기독인과의 관계 :
1. 초기의 선교사들은 대부분 유럽국가들로부터 왔기 때문에 식민지 통치자들로 오해받아 왔다.
2. 선교사들의 노력은 경제적 선택권을 통하지 않고는 도울 수 없다고 여겼다.
선교사와 현지 기독인 :
1. 경찰의 역할 - 교회의 순수성에 방해되는 것들을 막아주고, 회심자들의 안전한 신앙생 활을 도와준다.
2. 성자의 역할
3. 영적 부모의 역할
4. 현지인들은 선교사들을 봉급받는 설교자로 본다.
선교사와 다른 선교사들 :
1. 그들은 서로 동료이다.
2. 행정 자체가 주인이 되어서는 않된다.
선교사와 선교 행정가와의 관계 :
선교사와 파송하는 교회 : 휴가중의 선교사의 삶은 가시방석이다. 가족과 자신을 위하여 스케쥴을 마련하라.
선교사와 그의 아내 : 아무런 역할을 못하고 있는 아내의 위치를 남편은 이해하며 인정해야 한다.
선교사와 그의 자녀 : 자녀와의 시간을 가진다는 것은 기독교 가정의 삶의 모델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11. 미완성의 과업
미래를 향하여 현대는 선교의 장이다. 거대한 변화가 우리의 주위를 두루고 있다.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세계 어디를 가도 초만원이지만 그만큼 비기독인의 숫자는 늘어나는 셈이다. 도시화가 일어나고 있다. 도시에는 시골보다 복음화가 덜 된것은 부인치 못할 것이다. 우리는 갑작스런 문화의 위기와 그리고 점증하는 사회적인 혼란의 시대에 살고 있다. 폭력이 난무하고 가난과 기근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을 강타하고 있고, 압박과 불평등이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 그리고 비기곡교 종교들이 부흥을 하고 있는데, 유럽에 모슬렘교도, 독일과 영국에 불교도, 미국에 힌두교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이러한 실정 가운데 다원주의적 노선을 선택하지 않을수 없다.
10. 선교사의 역할
선교사가 된다는 것은 많은 다른 환경가운데 사람들과 내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교사는 다른 종류의 사람들 즉, 비기독인, 본국인, 기독인, 동료선교사들, 선교행정가, 선교사를 보내는 교회 사람들, 그리고 선교사 가족의 성원들과 관계한다.
선교사와 비기독인과의 관계 :
1. 초기의 선교사들은 대부분 유럽국가들로부터 왔기 때문에 식민지 통치자들로 오해받아 왔다.
2. 선교사들의 노력은 경제적 선택권을 통하지 않고는 도울 수 없다고 여겼다.
선교사와 현지 기독인 :
1. 경찰의 역할 - 교회의 순수성에 방해되는 것들을 막아주고, 회심자들의 안전한 신앙생 활을 도와준다.
2. 성자의 역할
3. 영적 부모의 역할
4. 현지인들은 선교사들을 봉급받는 설교자로 본다.
선교사와 다른 선교사들 :
1. 그들은 서로 동료이다.
2. 행정 자체가 주인이 되어서는 않된다.
선교사와 선교 행정가와의 관계 :
선교사와 파송하는 교회 : 휴가중의 선교사의 삶은 가시방석이다. 가족과 자신을 위하여 스케쥴을 마련하라.
선교사와 그의 아내 : 아무런 역할을 못하고 있는 아내의 위치를 남편은 이해하며 인정해야 한다.
선교사와 그의 자녀 : 자녀와의 시간을 가진다는 것은 기독교 가정의 삶의 모델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11. 미완성의 과업
미래를 향하여 현대는 선교의 장이다. 거대한 변화가 우리의 주위를 두루고 있다.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세계 어디를 가도 초만원이지만 그만큼 비기독인의 숫자는 늘어나는 셈이다. 도시화가 일어나고 있다. 도시에는 시골보다 복음화가 덜 된것은 부인치 못할 것이다. 우리는 갑작스런 문화의 위기와 그리고 점증하는 사회적인 혼란의 시대에 살고 있다. 폭력이 난무하고 가난과 기근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을 강타하고 있고, 압박과 불평등이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 그리고 비기곡교 종교들이 부흥을 하고 있는데, 유럽에 모슬렘교도, 독일과 영국에 불교도, 미국에 힌두교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이러한 실정 가운데 다원주의적 노선을 선택하지 않을수 없다.
추천자료
한스 큉의 교회
하나님 나라와 교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마태복음에 나타난 교회공동체
세속화 한국교회에 적용
신앙성숙에 미치는 교회음악의 영향
간추린 한국교회의 역사 -김인수 를 읽고
왜 그들의 교회는 성장하는가 시험 답안지
해방 이후 한국교회의 재형성
도시형 소형교회 (지역사회선교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복지프로그램)
청소년을 위한 교회 교육지침에 관한 연구
목회자 - 한국교회의 이상적 목회자 상
<성경 무오와 교회> 성경의 권위와 스콜라 신학 (중세시대의 이성과 계시, 아리스토텔레스의 ...
“교회 하나만 주고 가이소” [서평, 요약] _ 낙도 선교회 저
[초대교회사] 속 사도들 (續使徒 The Apostolic Fathers )- 속 사도들의 글들, 속 사도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