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사] 속 사도들 (續使徒 The Apostolic Fathers )- 속 사도들의 글들, 속 사도들의 신학, 속 사도들의 사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대교회사] 속 사도들 (續使徒 The Apostolic Fathers )- 속 사도들의 글들, 속 사도들의 신학, 속 사도들의 사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속 사도들의 글들
 1) Clement of Rome
 2) Ignatius of Antioch
 3) Polycarp
 4) The Epistle of Barnabas
 5) 헐마스의 목자(The Shepherd of Hermas)
 6) The Didache
 7) Papias of Heriapolis
 8) 익명의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낸 서신
 9) 클레멘트의 두 번 째 서신, (가짜 클레멘트)

2. 속 사도들의 신학

3. 속 사도들의 사역

참고문헌

본문내용

in mind that they were attempting to counter rampant antinomianism(rejection of law and commandments) among Christians...However, their prescribed antidote to the poison of antinomianism seems at times as bad or worse than the poison itself." 한편으로, 속 사도들은 사도들과 정통, 보편적 기독교 사이에 다리를 놓았고 비교적 통일되고 신학적으로 건전한 교회를 보존하고 설립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어느 정도 행위가 아닌,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로서의 구원의 순수한 복음을 그들 전통에서 전수하는 데 훨씬 미치지 못했다.
기독론은 일반적으로 명백하고 볼 수 있다. 그리스도는 인간인 동시에 하나님이시고 선재하신 분으로 주장된다. 그리스도는 죄를 정결케 하고 구속을 이루시는 중보자로 간주되지만 이것을 거의 설명하고 있지 않다. 죄 용서는 세례와 연결되어 있고 세례 후에 규범은 순종과 선행이다. 바울의 용어가 사용될 때조차도 믿음과 행위의 관계를 모호하게 하는 경향이 있고 복음을 순종해야 할 "새 법"으로 비유한다. 몇 몇 속 사도들은 천년왕국론자이며 그들 중 일부는 이 교리를 물질적이고 감각적인 요소들로 주장하는 것처럼 보인다.
3. 속 사도들의 사역
대부분의 글들을 분석하면 서방교회의 견해가 신학에서 발견되는 교회 직분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익나시우스는 로마에게 보낸 편지를 제외한 그의 모든 서신에서 시리아와 소아시아에서 발전되었던 상황을 방영한다.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각 교회에 한 감독과 그 아래 장로들이 있었다고 추측된다. 감독과 그의 권위를 위해 지나친 주장을 하고 있다. 감독의 장로들에 대한 관계는 마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관계와 같다. 중요한 것은 감독과 일치하는 일이며 그가 없이는 세례나 성찬을 베푸는 것이 불법이었다. 하지만 익나시우스는 주교구의 감독의 감독이 아닌 회중의 감독에 대해서 말하고 있으므로 이 점에서 오늘날 목사와 거의 차이가 없다. 그는 감독이 사도를 계승한다는 이론을 이야기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사제적 혹은 제사장적인 기능들에 대한 개념이 없다. 2세기 말엽 전까지 세 직분과 군주적인 감독 제도가 전 교회에 퍼진 것 같다. 군주적인 감독은 보다 영구적인 기반에서 뛰어난 지도자들로 하여금 교회업무와 예배를 주관하게 하고 설교하게 함으로서 점차적으로 지역의 장로회로부터 발전된 것 같다.(군주적인 감독과 사도적 계승의 두 가지 개념이 결합될 때 교회 계급을 형성하는 기반을 놓는다)
2세기에 감독은 그의 권위가 지역 공동체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 회중의 직분이었다. 그의 권위가 어떻든 여전히 장로들과 함께 공유했으나 더 이상 단순히 주관하는 장로는 아니었다.
대[군주적인] 감독이 일어나는 데 공헌한 된 몇 가지 요소들:
(1) 더욱 지도자의 위신과 권위를 차지하려는 개인 장로들의 야심을 들 수 있겠다.
(2) 위기에 처했을 때 빨리 결정할 수 있도록 단일 지도자를 갖는 명백한 이점.
(3) 회중예배와 주의 만찬을 잘 인도하고 설교와 가르치는 일에 능숙한 한 사람을 고양시키는 자연스런 경향.
(4) 교회가 분열과 이단에 의해 괴롭힘을 당할 때 일치와 충실한 교리를 위한 분명하고 권위적인 목소리의 필요.
참고문헌
후스토 L. 곤잘레스 저, 초대교회사, 은성 2012
브루스 셸리 저,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1
박용규 저, 초대교회사, 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김기홍 저, 이야기 교회사, 두란노 2010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