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중앙인사위원회
2.중앙인사위원회란?
3.연혁
4.중앙인사위원회 주요 업무
5~11. 공무원채용제도
12.정책목표와 인사혁신
13~17.책목표및 과제
18.인사혁신
2.중앙인사위원회란?
3.연혁
4.중앙인사위원회 주요 업무
5~11. 공무원채용제도
12.정책목표와 인사혁신
13~17.책목표및 과제
18.인사혁신
본문내용
1999.5.24 중앙인사위원회 발족
○ 5급 공채 : 행정고등고시(행정·공안직, 기술직), 외무고등고시
○ 7급 공채 : (행정·공안·기술직 등 전직렬)
○ 9급 공채 : (행정·공안·기술직 등 전직렬)
- 주요내용
< 제 1차 시험 >
공직적성평가(PSAT) 제도의 도입 - 2007년 이후 PSAT 100% 반영
* 2007년도부터 제1차시험은 언어논리영역,자료해석영역,상황판단영역,
영어(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로 시행됨.
* 영어과목을 TOEFL 등의 성적제출로 대체 (응시자격화)
1. 목적
- 해당기관의 문제점과 과제 해결에 적합하고 과거 업무성과가 있는 자를 선발할 수 있는 선임시스템 구축(목표관리제, 성과관리제를 내실있게 운영)
ㅇ 다면평가제 도입 등 공정하고 객관적 평가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인사운영․성과관리 등에 활용
○ 5급 공채 : 행정고등고시(행정·공안직, 기술직), 외무고등고시
○ 7급 공채 : (행정·공안·기술직 등 전직렬)
○ 9급 공채 : (행정·공안·기술직 등 전직렬)
- 주요내용
< 제 1차 시험 >
공직적성평가(PSAT) 제도의 도입 - 2007년 이후 PSAT 100% 반영
* 2007년도부터 제1차시험은 언어논리영역,자료해석영역,상황판단영역,
영어(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로 시행됨.
* 영어과목을 TOEFL 등의 성적제출로 대체 (응시자격화)
1. 목적
- 해당기관의 문제점과 과제 해결에 적합하고 과거 업무성과가 있는 자를 선발할 수 있는 선임시스템 구축(목표관리제, 성과관리제를 내실있게 운영)
ㅇ 다면평가제 도입 등 공정하고 객관적 평가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인사운영․성과관리 등에 활용
추천자료
신국정관리와 인사개혁의 방향
전자인사관리제도에 대한논의
공무원교육훈련의 실태와 개선방안
공기업의 인사관리제도와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공무원 보수에 관한 레포트
공무원 승진에 관한 레포트
[인사제도]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인사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일본의 공무원제도
공무원 교육훈련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인사행정][인사행정개혁]인사행정제도의 변천, 인사행정제도의 정의, 인사행정제도의 특징, ...
직업공무원제의 확립방안 및 비판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대표관료제와 균형인사제
경찰행정 (경찰공무원의 개념, 분류, 경찰채용제도의 의의, 유형 및 특성, 외국의 경찰채용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