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일단 그 학생들에게 가깝게는 고등학교 진학에서부터 길게는 대학입시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사라지지 않는 한 수행평가는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다고 본다. 질적인 평가라 함은 정말 개인적 계발을 가져와야 하는 것인데 그게 선발의 도구로서 전락했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그나마 좋은 수행평가의 환경을 가져오려면 일단 학급의 인원부터 많이 줄여야 한다고 느꼈다. 내가 있던 학교는 학급마다 37~39명 정도였는데 이건 너무 많은 인원이라고 본다. 그래도 나중에는 먼 훗날의 얘기일수도 있고 먼 훗날에도 오지 않는 이야기 일수도 있지만 나름대로 자신의 발전을 자기가 비춰보면서 그리고 느끼면서 그러면서 부담은 가지지 않고 자기만족 혹은 기쁨을 가질 수 있는 쪽으로의 평가분위기가 진전되었으면 하는 바램뿐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ICT 활용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과 수행평가도구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와 제안
[교육평가] 교과별 수행평과 유형 및 방법
현대사회의 청소년교육와 학교교육의 쟁점들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 정의, 특징, 기반,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과 독서교육(독서지도), ...
영어말하기듣기지도(영어말하기듣기교육)의 필요성과 중점, 영어말하기듣기지도(영어말하기듣...
[ 교육] 수준별 교육과정과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주제탐구체험학습프로그램 사례, 집단학습프로그램 사례, 봉사체험학습프로그램 사례, 독서학...
2학년) 배드민턴 지도안(스트로크. 클리어)
200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교육과정 이론으로서의 성리학
수학 독후감 [세상을 움직이는 수학개념 100] (제목 : 세상을 이해하는 열쇠, 수학)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