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살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자살의 정의

B.자살의 실태 및 현황

C.자살의 진실과 특징

D.자살 이론

E.자살의 예방

F.자살위험이 있는 내담자의 심리치료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친 나머지 차라리 먼저 세상을 떠난 부모, 형제를 따라 고통이 가득 찬 이세상 보다 저세상으로 가서 죽은 사람과 재회를 하려는 의도로 자살하는 경우이다. 청소년의 경우 친구의 죽음 혹은 유명 연예인의 자살에 영향을 받는다. 대개 정신적으로 의지할 만한 대상을 상실한 소외된 청소년으로서 결손 가정 청소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H.청소년의 자살 가능성 및 징후로는 무엇이 있는가?
청소년 자살이 충동적이고 우발적이어서 예측이 불가능하더라도 자살 징조를 파악해서 미연에 방지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부모들은 그들의 자살신호를 단순한 10대들 특유의 정상적인 정서적 현상으로 과소 평가하거나, 무시해 버리고 만다. 즉 감수성이 강한 그들에게 비해 부모는 너무 둔하거나 무심하기 때문에 10대들의 자살신호를 놓치고 자살을 묵인했다는 비난과 자책을 받는다. 자녀를 유심히 살핀다면 자살을 예고하는 다음과 같은 징후들을 발견할 수 있다.
1)자살하겠고 위협하거나 혹은 과거에 자살을 시도한 일이 있었던 경우, 다시 자살을 기도할 가능성이 크다.
2)부모나 다른 가족구성원이 자살을 시도한 경우 또는 자살시도를 했거나 자살에 성공한 친구가 있는 경우에 가족은 조심해야 한다.
3)죽음과 관련된 행동을 하는 경우는 주의를 해야 한다. 일기장이나 친구에게 죽음에 관한 내용을 이야기하는 경우 또는 자살이나 죽음에 대해서 자주 이야기할 때, 먼저 이 세상을 떠난 주위 친지나 친구에 관한 이야기를 자주 하거나, 자살에 관한 책을 읽거나 글을 씀, 자살을 시도한 일이 있는 사람들을 찾는 경우, 자살이나 죽음을 자주 이야기하는 등 이런 활동을 통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점차 의지를 다져가는 것이다.
4)청소년 스스로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거나 심한 열등의식에 사로잡혀있는 경우에 주의해야 한다. 자신이 신체적 결함을 가지고 있거나 이상과 현실간에 심각한 차이를 가질 때 자살 가능성이 높다.
5)가정기능이 붕괴되어 청소년 자녀들에 대한 보호, 양육, 교육기능을 다하지 못할 때 아이들은 절망에 빠진다.
6)학교 등교 등 평상시 해오던 일상활동을 거부하거나, 학업성적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거나, 낙제, 장기결석, 가출 등을 보일 때 주의를 해야 한다.
7)행동에 큰 변화가 있을 때 주의해야 한다. 평소에 순종하던 아기가 사소한 일로 부모에게 짜증을 내고 비난하며 도전적 발언을 하거나, 무모한 행동을 하거나, 평상시와 다른 반항과 파괴적 행동 및 급격한 성격변화를 보일 때 자살의 위험성을 생각하여야 한다.
8)상당기간 지속되는 우울증상이 있을 때 특히 조심하여야 한다.
9)부모 몰래 약을 사 모의거나 위험한 물건을 감춘 것이 발견되는 경우 또는 향정신성 약물, 담배, 혹은 알콜 섭취가 증가되는 경우
10)마음의 상처를 받았거나 자신이 귀중하다고 생각하던 것을 잃었을 때
11)갑작스러운 가족의 죽음, 친구의 죽음 또는 갑작스러운 사고에 의해서 심각한 정신적인 충격을 받았을 때
12)오랫동안 불안정하고 침울해 있던 아이가 뚜렷한 이유도 없이 갑자기 평화스럽게 보이며 자기 주변을 정리하고, 평소 아끼던 소유물을 다른 사람들에게 줄 때
13)입시 실패 전후
14)자살을 모험적이고 로맨틱하게 생각하는 청소년들은 특히 주의하라. TV에서 방영되는 자살 뉴스에서 자살충동을 받는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뉴스를 통해 10대의 자살소식이 나간 후에는 예외 없이 타지방에서도 평균 자살통계 이상의 자살소동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들의 충동 자살을 막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보이는 "자살의 징후들"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 징후들로 첫째, 자살을 결심한 청소년이 일반적으로 평소 "세상이 싫다"는 말을 하거나 장난처럼 친구의 호출기에 이 같은 메시지를 남기기도 하는데 이는 자신의 의사를 남에게 알리는 일반적인 과정이다. 둘째, 수면제 등 약물을 소지하거나 약을 먹고 잠을 잠이 든다. 이는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어하는 심적 상태를 말한다. 셋째, 세상에 초연해지거나 심하게 우울해지는 등 감정이 급변하고, 아끼는 물건을 남에게 주는 등 자신의 신변을 정리한다. 넷째, 밥을 안 먹거나 잠을 못 자거나 너무 많이 자는 등 생리적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다섯째, 남인 듯한 인상을 줄 정도로 가족을 멀리한다. 여섯째, 청소년끼리 어른이 없는 집에서 밤을 지새는 등 '보호 부재 상황'에서 청소년들은 쉽게 친구들의 의견에 공감하고 '집단 판단'을 내려 '집단 행동'을 할 가능성이 크다.
I.청소년 자살문제 해결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
청소년의 자살 문제는 단순한 개인적 차원의 대책으로부터 총체적 사회 관리 대책으로 전환하여 다루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입시를 위한 점수 따기에 치중하고 있는 학교 교육을 정상화해 강인함과 절제력도 함양하는 인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 학교는 학생 지도 상담의 비중을 높이고 부모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가정의 화목에 애를 쓰며 특히 자녀들과 대화를 많이 하도록 해야 한다. 청소년들의 좌절감이나 고립감은 주로 대화 부족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식의 입장에서 서 보려는 노력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청소년 스스로도 환경을 탓하거나 자신을 비하시켜 스스로의 굴레를 만드는 나약함에서 벗어나 우리 주위의 소년, 소녀 가장 등이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꿋꿋이 자신을 세워 가는 사례를 본받아 정신적으로 강인함을 키워야 하겠다. 어른들도 그들 나름대로 이유가 있는 청소년을 어른의 입장에서 섣불리 평가하지 말고 청소년의 입장을 고려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중요한 것은 끊임없는 대화로 자녀들의 고민과 희망 사항을 챙기고 우울증 등 이상증세를 보일 경우 주저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조언과 치료를 받는 일이다.
[참 고 문 헌]
원호택(1997). 이상심리학. 서울: 법문사.
유순형, 김일순(1981). 한국조흥지방(강화군)의 自殺에 대한 역학 및 精神醫學的 硏究. 神經精神醫學 20년.
趙斗英(1985). 臨床行動科學. 서울: 一湖社.
Durkheim, E(1897). Suicide. New York: Free Press of Clecoe.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5.02
  • 저작시기200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