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조직풍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조직풍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학교조직풍토의 개념

제 2절 학교조직풍토의 중요성

제 3절 학교조직풍토와 교육행정

제 4절 학교조직풍토 이론

제 5절 학교조직풍토의 개선

제 6절 학교조직건강론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e)
① 능률성(efficiency) :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학교조직의 지적기술적인 능력
② 혁신성(innovativeness) : 새로운 지식정보아이디어 등을 받아들여 학교조직의 능력을 개선하려는 노력.
③ 적응성(cohesiveness) : 교직원 사이의 인간관계와 사기
④ 지도성(leadership) : 학교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과 민주적으로 장학하는 학교장의 능력
다. 왕기항(1983)의 학교조직건강척도
① 권력배분의 적절성(optimal power equalization) :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에서 부여된 공적인 권리로 의사결정권과 책임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② 자원활용의 적절성(resource utilization adequacy) : 조직의 설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원의 역할배분의 적절성, 업무분담의 적절성 및 시설설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③ 응집성(cohesiveness) : 한 집단이 구성원을 잡아매고(머무르게 하고) ‘나’보다 ‘우리’라는 조직체의 아교(organizational glue)로서 긍지, 소속감, 애착심, 상호협조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④ 신뢰성(trust) : 조직생활에 있어서 구성원 상호간의 능력, 인품, 진실, 지력 등을 얼마나 받아들이느냐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⑤ 적응성(adaptation) : 조직이 생존하기 위하여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얼마나 신축적으로 적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⑥ 의사소통의 적절성(communication adequacy) : 조직의 규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절차상의 정보로서 수직적수평적 정보교환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⑦ 혁신성(innovativeness) : 조직의 성장발전을 위하여 새로운 아이디어 및 절차를 도입하여 새로운 산물과 서비스를 수락하는데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⑧ 동조성(conformity) :조직구성원이 소속하고 있는 부서, 의사결정자, 업무수행에 관련되어 있는 조직시스템의 행동과정을 얼마나 소망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가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⑨ 자율성(autonomy) : 조직구성원이 업무를 수행할 때 외적인 권위나 통제를 받지 않는 자율적 행위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⑩ 지도성(leadership) : 보다 효과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는 인화중심적 지도성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⑪ 기획성(planning) :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최상의 이용 가능한 미래의 방법 절차를 개발하는 지적과정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⑫ 생산성(productivity) : 구성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의 기능 및 제 지원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⑬ 목표지향성(goal focus) : 조직의 규정된 목표를 명료성, 타당성, 달성 가능성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정도
※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준거 변인 : 직무만족과 조직증후(symoptom, 불평, 부정적 감정, 결근, 헌신도)
학교조직건강개념 모형
측정요인
권력 배분의 적절성
자원활용의 적절성
의사소통의 적절성
목표지향성
응집성
신뢰성
동조성
혁신성
지도성
기획성
자율성
생산성
준거변인
목표
달성
기능
직무만족증후변인
조직
유지
기능
환경
적응
기능
<참고 문헌>
조성일안세근,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서울 : 재동문화사, 2001
이성은, 학교변화와 열린 행정,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남정걸, 교육조직 행위론, 서울 : 교육과학사
곽대섭임규진, 최신 교육행정학, 서울 : 도서출판 보성, 2000
권기욱조남두유현숙오영재조남근최창섭신현석, 교육행정의 이해, 원미사, 2000
주삼화 외,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지사
[부록]
학교 조직의 성격
1. 관료적 성격
Weber : 분업전문화(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몰인정성(impersoanl orientation), 권위의 계층(hierarchy of authority), 규칙과 규정(rules and regulations), 경력지향성(career orientation)
가. 학교 규모의 대형화 추세
나. 학교의 조직과 기능의 복잡화
다. 행정 업무의 계속적 증가
라. 상급 기관의 개개 학교에 대한 압력 증가와 학교의 획일화 경향
마. 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학교정책의 수립과 학교가 달성해야 할 책임성에 대한 평가에의 깊은 참여경향
2. 전문적 성격
Lierman : 독특한 사회적 봉사 기능 수행, 고도의 지적 기술에의 의존, 장기간의 준비기간 소요, 광범한 자율권 행사, 취해진 판단과 행위에 대한 책임, 봉사 우선, 자치조직의 결성, 윤리 강령의 준수
가. 교사들이 학생의 이익을 위해서 발휘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자율성
나. 자율성 : 학생에 대한 이타적 봉사를 위해서만 사용
다.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도의 전문지식(이론체계를 가져야 함)
라. 장기간의 직전교육(preservice education), 계속적인 현직교육(inservice education)
마. 자격증제도에 의해 보장
바. 윤리 강령
사. 전문적 단체 결성 : 보다 분명한 자율성 발휘, 권익보호(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원노조연합회)
3. 조직화된 무질서 상태의 성격
가. 김창걸 : 조직내에 강한 개성과 전문성으로 인하여 자율적 견제와 조정으로 의도적 통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나. Cohen
⑴ 목표의 모호성 : 추상적인 단어로 진술된 목표. 조직내의 교사행정가학부모학생 사이의 갈등
⑵ 불분명한 과학적 기법 : 교사행정가 장학요원들이 사용하는 기술이 명확치 않고 개인차가 있음.
⑶ 유동적 참여 : 학생교사행정가는 일정기간 머물다가 떠나므로 유동적이고 간헐적임.
4. 이완결합체제의 성격(loosely coupled system)
Weik : 서로 연결은 되어 있으나 각자가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어느 정도 분리되어 있는 모습
가. 학교 : 자율성과 자유재량권 있음.
나. 교사 : 학급 내에서는 형식적인 교장의 지시와 통제를 받을 뿐 자율성이 있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5.0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