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본 개념
2. 수분
3. 전해질
4. 수분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전해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수분
3. 전해질
4. 수분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전해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문내용
과다
울혈성 심부전,
간/신장질환, 영양결
핍, 과도한 fluid 투여
체중증가, 부종, 복수, 혼돈,
weakness, Hct↓
이뇨제 투여
수분제한
Hypokalemia
설사, 구토, 이뇨제사
용, Diabetic acidosis
부적절한 potasium섭
취
근육긴장 손상, 심장
부정맥, 구토, 복부팽
만, Serum K ↓
IV,
구강으로 potasium
섭취
Hyperkalemia
신장 질병의 진전
심한 화상, 조직 손상
과도한 potassium 섭
취
불규칙한 심박동, 오
심, 설사, weakness,
불안정, Serum K ↑
potasium-free fluid
IV, 투석, potassium
-removing resin
Hyponatremia
이뇨제, 설사, GI
suction, 전해질 없는
fluid IV, 수분섭취 증
가에 따른 과도한 발
한
복부경련
핍뇨
Convulsion
serum Na/SG ↓ ↓
NaCl이 함유된 fluid
IV, 식이섭취
Hypernatremia
요붕증
과도한 NaCl fluid IV
건조하고 딱딱한 점
막, 핍뇨, 단단한 조직
탄력성, 마른 혀,
serum Na/SG ↑
저염식이
Na free fluid IV
Hypocalcemia
부갑상선 절제
전해질 없는 fluid IV
사지 떨림, 경련
tetany, convulsion
IV, 구강으로 calcium 교정
Hypercalcemia
부갑상선기증항진증, 부동, 과도한 Ca와
Vit D 섭취
옆구리통, Deep bone pain, 근육긴장저하
우선적인 문제 교정
후 수분섭취 증가
울혈성 심부전,
간/신장질환, 영양결
핍, 과도한 fluid 투여
체중증가, 부종, 복수, 혼돈,
weakness, Hct↓
이뇨제 투여
수분제한
Hypokalemia
설사, 구토, 이뇨제사
용, Diabetic acidosis
부적절한 potasium섭
취
근육긴장 손상, 심장
부정맥, 구토, 복부팽
만, Serum K ↓
IV,
구강으로 potasium
섭취
Hyperkalemia
신장 질병의 진전
심한 화상, 조직 손상
과도한 potassium 섭
취
불규칙한 심박동, 오
심, 설사, weakness,
불안정, Serum K ↑
potasium-free fluid
IV, 투석, potassium
-removing resin
Hyponatremia
이뇨제, 설사, GI
suction, 전해질 없는
fluid IV, 수분섭취 증
가에 따른 과도한 발
한
복부경련
핍뇨
Convulsion
serum Na/SG ↓ ↓
NaCl이 함유된 fluid
IV, 식이섭취
Hypernatremia
요붕증
과도한 NaCl fluid IV
건조하고 딱딱한 점
막, 핍뇨, 단단한 조직
탄력성, 마른 혀,
serum Na/SG ↑
저염식이
Na free fluid IV
Hypocalcemia
부갑상선 절제
전해질 없는 fluid IV
사지 떨림, 경련
tetany, convulsion
IV, 구강으로 calcium 교정
Hypercalcemia
부갑상선기증항진증, 부동, 과도한 Ca와
Vit D 섭취
옆구리통, Deep bone pain, 근육긴장저하
우선적인 문제 교정
후 수분섭취 증가
추천자료
월경전 증후군의 증세와 원인
수술 전.중.후 간호
혈액투석의 전.후 간호
NSD 정상분만기전
전세계적인 변화의 흐름과 신노사관계 구축
잠들기 전 10분이 나의 내일을 결정한다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방통대 전학과 4학년 한국사회 문제 B형] 먹거리의 결핍 문제와 과잉 현상이 서로 어떻게 연...
흉곽수술 환자 수술 전 후 간호관리 검토
김학준의 100년전 한국을 읽고
월경전증후군, 생리전증후군, PMS
[차세대 자동차]수소연료전지차, 수소연료자동차, 수소자동차 완벽정리
질병의 발생기전과 위험요인, 질병에 대한 면역반응, 질병원인이론, 질병의 분류와 주요 증상
[간호학] 수술 전 간호 (신체적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