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불화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불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장탱화의 형식에는 지장보살 단독으로 표현된 지장독존도,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이 협시한 지장삼존도 그리고 지장솜존에 명부시왕과 그 권속들을 모두 표현한 지장시왕도 등이 있다.
③시왕도(十王圖)
중생이 죽은 뒤 염라대왕 앞에 끌려가 생전에 지은 죄를 심판 받게 되는 장면을 묘사한 불화다.
시왕도에는 지장보살도를 중심으로 왼쪽에 1,3,5,7,9의 홀수 대왕이, 오른쪽에 2,4,6,8,10의 수 대왕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림의 내용은 상단부분에는 대왕을 중심으로 시녀(侍女),판관(判官),외호신장(外護神將)들이 둘러 서 있고, 그림의 하단에는 구름으로 구별하여 형벌을 받는 죄인과 형벌을 주는 사자(使者),귀졸(鬼卒),죄인에게 죄를 열거하며 읽어주는 판관 등이 그려져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6.05.0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