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게 되었다.
조선 순조 시대에 기록된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는 힘겨운 농사일과 관련이 깊다. 뜨거운 뙤약볕 아래에서 일을 하다 보면 배는 고프고 땀으로 옷이 흠뻑 젖는데 그럴 때 개장국을 끓여 먹으면서 더위를 물리치고 몸보신을 했다고 한다. 개고기를 다양하게 요리하여 즐겼던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리하여 개와 관련된 다양한 세시풍속도 형성되었다. 삼복은 하지(夏至) 후 셋째 경일(庚日)이 초복, 넷째 경일이 중복이고 입추(立秋)를 지낸 첫 경일이 말복이 되는데 그 사이는 모두 10일 간격이다. 복날에는 닭이나 개장을 먹거나 그외 다른 음식도 푸짐하게 장만하여 들놀이를 나가 하루를 즐겼다. 개를 끌고서 한적한 숲속의 냇가로 가서 포식하고 즐기는 풍속을 이르러 이를 ‘복놀이’, ‘복달임(복다림)’이라 했고, 특히 모래찜을 하는 세시풍속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개고기를 즐기는 백중날(음력 칠월 보름)은 우리의 전통속에서머슴의 생일이자, 두레의 호미 씻는 날이기도 하다. 그래서 백중날은 온동네 사람들이 다모여 동네 정자나무 밑에 큰 솥을 걸어 놓고 개를 잡아 나눠 먹는 것이 우리의 풍속이었다. 정월의 첫 술일을 \'개날\'이라 하여, 이날 일을 하면 개가 텃밭에 해를 끼친다며 하루를 쉬었고, 개가 먹은 것을 토한다며 풀을 쑤지 않았다. 경남지방에서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개의 먹이를 볶아 주었고, 이날 칼질을 하면 집에서 키우는 개에게 해롭다 하여 금했다. 정월 대보름날에는 개의 살이 오르지 않을 뿐 아니라 집안에 파리가 들끓
조선 순조 시대에 기록된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는 힘겨운 농사일과 관련이 깊다. 뜨거운 뙤약볕 아래에서 일을 하다 보면 배는 고프고 땀으로 옷이 흠뻑 젖는데 그럴 때 개장국을 끓여 먹으면서 더위를 물리치고 몸보신을 했다고 한다. 개고기를 다양하게 요리하여 즐겼던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그리하여 개와 관련된 다양한 세시풍속도 형성되었다. 삼복은 하지(夏至) 후 셋째 경일(庚日)이 초복, 넷째 경일이 중복이고 입추(立秋)를 지낸 첫 경일이 말복이 되는데 그 사이는 모두 10일 간격이다. 복날에는 닭이나 개장을 먹거나 그외 다른 음식도 푸짐하게 장만하여 들놀이를 나가 하루를 즐겼다. 개를 끌고서 한적한 숲속의 냇가로 가서 포식하고 즐기는 풍속을 이르러 이를 ‘복놀이’, ‘복달임(복다림)’이라 했고, 특히 모래찜을 하는 세시풍속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개고기를 즐기는 백중날(음력 칠월 보름)은 우리의 전통속에서머슴의 생일이자, 두레의 호미 씻는 날이기도 하다. 그래서 백중날은 온동네 사람들이 다모여 동네 정자나무 밑에 큰 솥을 걸어 놓고 개를 잡아 나눠 먹는 것이 우리의 풍속이었다. 정월의 첫 술일을 \'개날\'이라 하여, 이날 일을 하면 개가 텃밭에 해를 끼친다며 하루를 쉬었고, 개가 먹은 것을 토한다며 풀을 쑤지 않았다. 경남지방에서는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개의 먹이를 볶아 주었고, 이날 칼질을 하면 집에서 키우는 개에게 해롭다 하여 금했다. 정월 대보름날에는 개의 살이 오르지 않을 뿐 아니라 집안에 파리가 들끓
추천자료
한국인에게 종교의 의미 - 한국의 교회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의 특별활동 비교를 통한 한국 고등학교 특별활동의 문제점및 해결방안
한국의 종교 상황과 특징 - 다종교의 정의, 한국의 다종교 상황과 특징, 다종교현상의 배경
한국기업의 조직과 한국형 팀제 전략
한국문화유산을 찾아서-한국의범종
[한국음악][미국음악][독일음악][러시아음악][로마음악][선사시대음악][삼국시대음악]한국의 ...
한국어교원을 위한 한국어강사1과정 요약
한국자본주의의 역사(한국현대사레포트)
한국 가족치료의 전망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한국 가족치료의 문제점이나 발전방안에 대한 자...
한국 전쟁 이후 외원기관으로 한국에 들어와 사회복지활동을 펼친 기관은 어떠한 곳이 있는지...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자신이 생각하기에 가장 중요한 교사의 역할 두 가지와 이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