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사성 폐기물이란
2. 방사성 폐기물 처분 안정성
3. 외국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 운영현황
4.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입지 조건
2. 방사성 폐기물 처분 안정성
3. 외국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 운영현황
4.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입지 조건
본문내용
채택하고 있습니다.
②동굴처분
스웨덴
- 수도인 스톡홀름에서 북쪽으로 160㎞ 지점에 위치한 포스마크 원전인근에 처분시설을 만들어 1988년부터 운영 중에 있습니다.
- 해안에서 1㎞ 떨어진 지점의 해저 50m에 동굴을 뚫어 폐기물을 처분하는해저동굴처분방식입니다.
독 일
- 구 동독 지역에 위치한 몰스레벤(Morsleben) 처분시설이 1981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 암염 폐광을 이용한 동굴처분 방식입니다.
핀란드
- 올키우토 원전 및 로비사 원전 부지 내 지하에 건설된 2개의 동굴처분 시설이 각각 1992년및 1997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4.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입지 조건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방사성 폐기물을 원자력발전소 내의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은 지반이 단단한 암반이나 지질학적으로 안정된 지역으로서 지하수의 흐름이 없는 곳을 택해야 한다.
처분장 부지는 지반안정, 지표수 유입 여부 등 지상조건과 지질, 수문, 암질 등 지하조건 그리고 기온차, 강우량 등 기상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지질학적으로 가장 안정된 지역으로서 지하수의 유입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근처에 항만 시설을 할 수 있고, 지하에 빈 동굴을 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충분한 규모의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부지 선정 기준
① 지상 조건안정된 지반, 큰 산체, 적은 기복, 낮은 수계 밀도, 균일심도의 풍화대, 점토분, 완충지
② 지하 조건150만평 이상의 부지면적, 격리가능의 지질, 수문조절, 10m 이상의 표토층, 균일 저투수성, 고강도의 암반, 낮은 지하 수위
②동굴처분
스웨덴
- 수도인 스톡홀름에서 북쪽으로 160㎞ 지점에 위치한 포스마크 원전인근에 처분시설을 만들어 1988년부터 운영 중에 있습니다.
- 해안에서 1㎞ 떨어진 지점의 해저 50m에 동굴을 뚫어 폐기물을 처분하는해저동굴처분방식입니다.
독 일
- 구 동독 지역에 위치한 몰스레벤(Morsleben) 처분시설이 1981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 암염 폐광을 이용한 동굴처분 방식입니다.
핀란드
- 올키우토 원전 및 로비사 원전 부지 내 지하에 건설된 2개의 동굴처분 시설이 각각 1992년및 1997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4.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입지 조건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방사성 폐기물을 원자력발전소 내의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은 지반이 단단한 암반이나 지질학적으로 안정된 지역으로서 지하수의 흐름이 없는 곳을 택해야 한다.
처분장 부지는 지반안정, 지표수 유입 여부 등 지상조건과 지질, 수문, 암질 등 지하조건 그리고 기온차, 강우량 등 기상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지질학적으로 가장 안정된 지역으로서 지하수의 유입이 없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근처에 항만 시설을 할 수 있고, 지하에 빈 동굴을 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충분한 규모의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부지 선정 기준
① 지상 조건안정된 지반, 큰 산체, 적은 기복, 낮은 수계 밀도, 균일심도의 풍화대, 점토분, 완충지
② 지하 조건150만평 이상의 부지면적, 격리가능의 지질, 수문조절, 10m 이상의 표토층, 균일 저투수성, 고강도의 암반, 낮은 지하 수위
추천자료
[일본][자위대][방위정책][군사력증강][핵무기개발]일본(자위대)의 방위정책과 군사력증강 및...
[북한군][군사정책][북한 핵무기개발][군사력]북한군의 현황, 군사정책과 전력평가 및 북한의...
[NMD체제][TMD][MTCR][ABM 조약][한반도 핵 미사일 경쟁][미사일]NMD체제, TMD, MTCR, ABM 조...
핵연료와 핵폭탄
핵핵분열 원리 및 핵분열에너지
핵전지의 정의 장점과 단점 핵전지 개발
핵보유국과 핵통제기구 현항
핵무기와_전쟁억지 (정치 정치학 사회 전쟁 핵 이란 북한 전쟁 분단 남한 군사 군사력 국가)
핵 관련 조약, 국제기구, 핵 보유 국가, PTBT, NPT, CTBT, CPPNM, IAEA, 핵 보유국, 영향, 역...
무기확산과 테러 (무기 확산의 현황, 무기 확산의 원인, 핵무기 확산, 생화학 무기 확산, 핵...
초급핵 입자 물리학 - 핵융합발전[ Nuclear fusion power generation]
핵 확산과 국제 테러리즘(Terrorism)의 위험성 (핵무기와 테러의 위험성)
[핵무기 (核武器)] 핵무기의 출현, 핵무기체제
협상론 - 성공적인 협상사례 ( 국가 간의 정치외교적인 협상 사례, 미국 vs 이란의 핵협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