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核武器)] 핵무기의 출현, 핵무기체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핵무기 (核武器)] 핵무기의 출현, 핵무기체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핵무기

Ⅰ. 서론

Ⅱ. 핵무기의 출현

Ⅲ. 핵무기체제

본문내용

각기 수도사령부 지역과 전략적 지역을 방어할 수 있는 방어용 미사일체제를 2개소씩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 1974년 미소는 방어미사일체제를 1개소씩으로 축소하였다. 그러나 공격용 핵미사일이 다수의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개별 목표 조준형 다탄두 미사일'(MIRV: The Multiple Independently-Targeted Reentry Vehicle System)로 발전하게 되자, 방어용 미사일체제의 효율성이 줄어들면서 양쪽 모두 자진해서 해체하였다.
1983년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전략방위구상이라는 새로운 방어용 핵무기체제를 발표하면서 핵공격으로부터 자국의 인구, 산업시설, 군사력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방어용 무기체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 동안 미국은 핵전쟁이 발생하면 상대방을 완전히 파괴함으로써 감히 전쟁을 생각할 수 없도록 만드는 핵억지이론(The Nuclear Deterrence Theory)에 입각하여 공격적 능력의 향상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덧붙여 핵공격능력은 방어능력보다 빠르게 발전하였으므로 미소 양측은 모두 방어용 핵무기보다 공격용 무기에 역점을 두었던 것이다. 그러나 레이건 대통령은 공격용 핵무기 발전에 소요되는 엄청난 비용을 감안하여 적의 공격으로부터 미국을 보호할 수 있는 방어용 무기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전략방위구상은 방어용 무기이기는 하지만 상대방이 발사한 미사일을 우주공간에서 파괴하게 되므로 현존 억지이론적 전략무기체제에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소지가 많았다. 소련 대통령 고르바초프는 전략방위구상에 대하여 현존하는 미소간의 핵전력 균형에 심각한 불안정을 초래하여 미소간 새로운 군비경쟁을 야기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였던 것이다. 반면 미국은 전략방위구상이 방어용 무기에 불과하므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뿐만 아니라 미소간 핵전쟁 발발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1980년대에 들어와 미소양국은 공격능력에 중점을 두었던 핵전략 개념을 방어능력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고, 방어용을 늘리고 공격용 핵무기를 감축하여 핵전쟁 발발 가능성과 핵전쟁 발생시 초래될 파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경주하게 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초부터 미국은 미사일 방어체제(MD)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위해 2001년 12월 방어용 미사일(ABM) 협정을 파기하고, 2004년부터 미사일 방어체제의 구축을 시작하였다.
한편 천체현상을 이용한 '천체무기'의 가능성도 오래 전부터 모색되고 있다. 천체무기란 대규모 태풍이나 홍수 등을 인위적으로 일으켜서 상대방 국가를 파괴하는 방법이다. 사실상 지구상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태풍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 현상은 놀랄 만한 파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핵폭발에 의한 파괴보다도 강한 경우가 많다. 천체현상을 전쟁무기로 이용하게 되면 인류문명이 파괴될 가능성은 더 한층 커지게 될 것이다. 아직은 가뭄이 심한 경우 한정된 지역에 적은 규모의 비를 내리게 하는 정도로 천체무기는 일천한 수준에 있을 뿐이며, 실용화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