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문화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성된 학교 교육과정을 공부한 결과, 학생들은 종종 정치적인 침묵에 이르게 되고, 현존하는 권력 관계와 합법성을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관점을 수용하게 된다.
⑶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갈등의 기본규칙을 학습하는 방식은 갈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배움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교과내용에서 지적 및 규범적 갈등이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을 나타내주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배제를 통 해서이다. 즉, 갈등의 긍정적 측면을 교육내용에서 배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갈등이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⑷ 여기서 애플의 잠재적 교육과정은 아이스너(E. Eisner)가 언급한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⑸ 지배집단은 겉으로 드러나는 공식적인 지배의 機制(mechanism)를 사용하지 않고도, 문화를 보존 분배하는 학교와 같은 기관을 통하여 사람들의 의식구조에 작용함으로써 사회통제를 지속시켜 갈수 있다. 학교가 상징체계, 즉 지식, 가치, 규범 등의 문화적 자본의 배분과 보존을 통하여 사회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7. 문화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⑴ 교육이 문화의 전달을 그 본질적 기능으로 한다는 점에서 교육과 문화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교육은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가치관 등을 가르치는 일이며, 그것은 바로 문화전달의 기능인 것이다.
⑵ 문화가 교육목표와 내용의 자원이 된다는 점이다. 교육의 기능을 문화전달로 규정할 때, 교육의 목표와 내용의 자원일 수밖에 없다.
⑶ 교육의 과정은 문화과정이라는 점이다. 교육의 과정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학습과정으로서, 한편으로는 그 사회의 문화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며, 동시에 다른 문화 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문화인류학에서는 두 가지 다른 용어로 이 과정을 설명한다.
① 전자는 문화계승(enculturation)이라고 하여 한 문화 안에 태어난 개인이 그 사회의 문화를 내면 화하는 과정이다.
② 후자는 문화접변(acculturation)이라 하여 둘 이상의 문화가 서로 만나서 한쪽 또는 그 양쪽이 변화되는 과정을 말한다.
⑷ 교육은 문화기대를 갖고 문화기대에 어울리는 평균인을 만드는 과정이다.
⑸교육의 발전에 의해서 문화적인 주체성을 확립 할 수 있다. 후진국 또는 발전 도상에 있는 국가는 발전을 위해 외래문화의 이입이 불가피하다. 교육을 통하여 선진문화의 급 속한 수용을 하게 된다. 이때 교육을 통한 문화적 주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 하에서 문화이입은 외래 문화에 무조건 탐닉하거나 문화적인 노예를 가져온다.
⑹문화의 변화나 지체의 문제에 있어서 물질적 문화, 비물질적 문화, 기술적 문화, 정신 문화, 규범적 문화 등이 상호 의존적 관계가 잘 형성되어야 된다. 일부의 문화만 강조 하는 사회분위기는 병적인 사회다.
⑺문화 지체 현상은 어느 사회에서나 일어날수 있다. 문화지체연상은 복합적 현상을 띠기 마련이기 때문에, 불안, 무질서, 부적응, 문화적 분해 등을 조정, 해소하는 기능과 임무 가 교육에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1.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