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 조건표현의 활용
2. 「と」「ば」「たら」「なら」의 특징과 용례
3. 「と」와「ば」
4. 「たら」와「なら」의 전,후건의 시간적 관계
결 론
본 론
1. 조건표현의 활용
2. 「と」「ば」「たら」「なら」의 특징과 용례
3. 「と」와「ば」
4. 「たら」와「なら」의 전,후건의 시간적 관계
결 론
본문내용
은 자신의 판단, 의지이기 때문에 과거형이나 제 3자와 같은 객관적인 내용은 쓸 수 없다.
① 전건에 대한 화자의 행동, 의지, 의견, 조언, 판단을 서술
その話なら、もう知っています。(그 이야기라면 이미 알고 있습니다.)
そんなに痛いなら、早くったほうがいいですよ。
(그렇게 아프면 빨리 돌아가는 게 좋아요.)
納豆が嫌いなら、食べなくてもいいですよ。
(낫토가 싫으면 먹지 않아도 좋아요.)
② 시간상으로 전건보다 후건이 먼저 성립되는 경우
- 이 경우 と, ば, たら는 사용할 수 없다
明日試があるなら、今晩勉しなさい。 (내일 시험이라면 오늘 밤 공부하세요.)
明日引っ越すなら、今日はゆっくり休んだほうがいい。
(내일 이사할 거라면 오늘은 푹 쉬는 게 좋아요.)
旅行に行くのなら、カメラを持っていくといいですよ。
(여행을 갈 거라면 카메라를 가지고 가는 것이 좋겠어요.)
と ば たら의 문에서는 반드시 전후관계가 성립하지만 なら의 문은 자유롭다. 이것은 と ば たら를 사용한 조건의 문이, 상황과 상황의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なら의 문은 어떤 상황을 가정하는 것에서 이끌어 내는 화자의 판단을 후건(後件)에 서술한 것이기 때문이다.
3. 「と」와「ば」
「と」와「ば」는 용법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と」와「ば」에는 약간의 의미적인 차이가 있다.
a. 春になると、がさく。(봄이 되면 벚꽃이 핀다.)
b. 江原道は5月にならば、の花がさく。(강원도는 5월이 되면 벚꽃이 핀다.)
위의 예문과 같이「と」와「ば」는 논리적인 사실이나 진리를 가정할 때 쓰이지만, a의 경우는 전건『春になると』가 성립하면 후건『がさく』도 필연적으로 성립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b의 경우는 강원도에 꽃이 피는 것은 다른 곳과는 달리, 4월이 아니고 5월이다 라는 한정된 사실을 나타낸다. 즉,「ば」는 후건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을 한정할 때 쓰인다는 점이「と」와 다르다.
4. 「なら」와「たら」의 전,후건의 시간적 관계
a. にるなら、連絡してください。(고국에 돌아갈 거라면 연락해 주세요.)
b. にったら、連絡してください。(고국에 돌아가면 연락해 주세요.)
「なら」가 쓰인 a의 경우는 전건인『にる』보다 후건인『連絡する』가 시간상으로 먼저 성립한다. 반면, 「たら」가 쓰인 b의 경우는 후건인『連絡する』보다 전건인『にる』가 시간상으로 먼저 성립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たら」는 전후건의 시간 관계가 순차적인데 반해「なら」는 전후건의 관계가 반대이다.
① 전건에 대한 화자의 행동, 의지, 의견, 조언, 판단을 서술
その話なら、もう知っています。(그 이야기라면 이미 알고 있습니다.)
そんなに痛いなら、早くったほうがいいですよ。
(그렇게 아프면 빨리 돌아가는 게 좋아요.)
納豆が嫌いなら、食べなくてもいいですよ。
(낫토가 싫으면 먹지 않아도 좋아요.)
② 시간상으로 전건보다 후건이 먼저 성립되는 경우
- 이 경우 と, ば, たら는 사용할 수 없다
明日試があるなら、今晩勉しなさい。 (내일 시험이라면 오늘 밤 공부하세요.)
明日引っ越すなら、今日はゆっくり休んだほうがいい。
(내일 이사할 거라면 오늘은 푹 쉬는 게 좋아요.)
旅行に行くのなら、カメラを持っていくといいですよ。
(여행을 갈 거라면 카메라를 가지고 가는 것이 좋겠어요.)
と ば たら의 문에서는 반드시 전후관계가 성립하지만 なら의 문은 자유롭다. 이것은 と ば たら를 사용한 조건의 문이, 상황과 상황의 의존관계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なら의 문은 어떤 상황을 가정하는 것에서 이끌어 내는 화자의 판단을 후건(後件)에 서술한 것이기 때문이다.
3. 「と」와「ば」
「と」와「ば」는 용법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と」와「ば」에는 약간의 의미적인 차이가 있다.
a. 春になると、がさく。(봄이 되면 벚꽃이 핀다.)
b. 江原道は5月にならば、の花がさく。(강원도는 5월이 되면 벚꽃이 핀다.)
위의 예문과 같이「と」와「ば」는 논리적인 사실이나 진리를 가정할 때 쓰이지만, a의 경우는 전건『春になると』가 성립하면 후건『がさく』도 필연적으로 성립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b의 경우는 강원도에 꽃이 피는 것은 다른 곳과는 달리, 4월이 아니고 5월이다 라는 한정된 사실을 나타낸다. 즉,「ば」는 후건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을 한정할 때 쓰인다는 점이「と」와 다르다.
4. 「なら」와「たら」의 전,후건의 시간적 관계
a. にるなら、連絡してください。(고국에 돌아갈 거라면 연락해 주세요.)
b. にったら、連絡してください。(고국에 돌아가면 연락해 주세요.)
「なら」가 쓰인 a의 경우는 전건인『にる』보다 후건인『連絡する』가 시간상으로 먼저 성립한다. 반면, 「たら」가 쓰인 b의 경우는 후건인『連絡する』보다 전건인『にる』가 시간상으로 먼저 성립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たら」는 전후건의 시간 관계가 순차적인데 반해「なら」는 전후건의 관계가 반대이다.
추천자료
일본의 인터넷 마케팅 성공 조건
사례로 보는 1등 기업의 조건
성공한 사람이 되기 위한 조건
톰 피터스 초우량 기업의 조건 요약 정리글
언어, 그리고 여성의 조건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조건,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설계,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
미술치료 대상자와 미술치료에 요구되는 조건, 미술치료사의 태도와 자세
애착, 행복한 아이를 만드는 조건
가설의 정의와 설정, 가설의 조건과 측정도구, 가설과 수렴가설, 가설과 랜덤워크가설, 가설...
[프로그래밍언어]프로그래밍언어의 개념, 프로그래밍언어의 구비조건, PERL(펄 프로그래밍언...
[글의 완결성] 글의 완결성 조건, 글의 내용적 완결, 형식적 완결, 완결성 예시.PPT자료
유아기 정서발달(영유아의 정서발달조건, 정서발달의 종류)
[아동발달이론]아동발달이론의 필요성과 전제조건, 유전과 환경, 아동발달의 초기이론 및 일...
[통일인사이드] 동서독과 남북통일의 다른조건, 유사점, 한반도의 남북한 통일 및 통합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