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결사
① 也, 矣 : 평이한 서술 내지 단정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이는 종결사
- 身體髮膚는 受之父母니 不敢毁傷이 孝之始也니라
(신체와 머리털과 피부는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것이니 감히 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다)
- 溫故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월
1) P+S
A)宜乎 百姓之謂我愛也 (당연하도다! 백성들이 나를 아낀다고 이르는 것이)
A\') 百姓之謂我愛 宜乎
B) 甚矣汝之不惠 (심하구나! 그대가 슬기롭지 못함이)
B\') 汝之不惠 甚矣
C) 宜乎 衆矣 (당연하도다! 많은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건은 자신의 판단, 의지이기 때문에 과거형이나 제 3자와 같은 객관적인 내용은 쓸 수 없다.
① 전건에 대한 화자의 행동, 의지, 의견, 조언, 판단을 서술
その話なら、もう知っています。(그 이야기라면 이미 알고 있습니다.)
そんなに痛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91. ⑤
주어+서술어+목적어
92. ③
今(금) 이제
93. ④
문장 완성하기
종결사 ‘~이다’
94. ③
1919년-기미년
95. ③
① 正北
② 正東
④ 正西
⑤ 北北西
96. ①
天干 : ~己庚辛壬癸
地支 : ~午未申酉戌亥
97. ⑤
‘~하면 곧’으로 해석되는 한자
|
- 페이지 6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사(終止詞;끗)의 9품사를 설정하였으며, 또 명사는 대명사·수사를 포괄하는 명칭으로 쓰고, 형용사·동사는 그 어간 부분만을 가리키고, 어미는 독립한 단어로서 종결 어미가 종지사, 연결 어미가 접속사인 것으로 본다. 체언에 연결되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