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1. 한자의 쓰임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91. ⑤
주어+서술어+목적어
92. ③
今(금) 이제
93. ④
문장 완성하기
종결사 ‘~이다’
94. ③
1919년-기미년
95. ③
① 正北
② 正東
④ 正西
⑤ 北北西
96. ①
天干 : ~己庚辛壬癸
地支 : ~午未申酉戌亥
97. ⑤
‘~하면 곧’으로 해석되는 한자를 찾는다.
98. ②
見危授命 → 조국이 위태할 때 목숨을 바친다.
99. ⑤
㉠ 減 : 빠짐
㉡ 怒 : 心
㉢ 鼻 : 鼻
㉣ 勸 : 欠
㉤ 喜 : 口
㉥ 哀 : 口
㉦ 病 :
㉧ 悅 : (心)
100. ③
① 減(감) 덜다
② 悅(열) 기쁘다
③ 樂(요) 좋아하다
④ 乘(승) 타다
101. ③
身言書判 : 풍채, 언사, 글씨, 판단
102. ④
①②③⑤ : 병렬 관계
④ : 수식관계
103. ②
生老病死 : 삶과 늙음과 병듦과 죽음(四苦)
104. ①
利(리) 이롭다
날카롭다
105. ②
한자의 쓰임
사람이 충성스럽지 못하고 미덥지 못하면 일이 다 진실성이 없다.
106. ⑤
한자의 활용과 쓰임
然(연) 그러하다
107. ②
한자 성어의 이해
‘見危授命’은 ‘조국애’를 뜻함
108. ④
한자 성어의 풀이
必生則死 : 반드시 살기를 각오하면 죽는다.
109. ①
② 硯 : 石
③ 老 : 빠짐
④ 乘 :
⑤ 死 :
110. ⑤
① 鼻祖(비조)
② 硯石(연석)
③ 悲哀(비애)
④ 梅花(매화)
111. ③
①② : 대등관계
④⑤ : 수식관계
112. ④
①②③⑤ : 대등관계
④ : 대립관계
113. ⑤
①②③④ : 대등관계
⑤ : 수식관계
114. ④
見利思義 ⇒ 利 → 見 → 義 → 思
115. ⑤
116. ②
耳目口鼻 : 귀눈입코
117. ⑤
118. ②
┌(락) 즐겁다
樂 ─┤(악) 풍류
└(요) 좋아하다
1. ‘崇禮門’의 또 다른 이름을 한자로 쓰시오. (동북, 동명)
2. 다음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숙명여중, 여의도)
嚴冬□去 : 추운 겨울이 이미 지나다.
3. 다음에서 기본 구조에 해당하는 한자를 차례대로 쓰시오. (이수, 하계)
百花滿開
4. ‘數’의 음 세 가지를 쓰시오. (수서, 양동)
5. 다음 한자 성어에 공통으로 들어갈 글자를 쓰라. (동덕여중, 서라벌)
頂門( )針聞( )知十千篇( )律
6. 다음 한자들의 공통적인 부수를 쓰시오. (성내, 아현)
財, 貨, 買, 賣
7. 다음 분장에서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일신여중, 아현)
온갖 꽃들이 가득(활짝) 피었다. → 百花( )開
8. 다음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서일, 신서)
子欲養□親不待 :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리지 않는다.
9. 다음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도곡, 건대사대부속)
書
名 □ 家
室
10.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서운, 신상)
鄕歌는 한자를 사용하여 표 한 노래이다.
11.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차례대로 쓰시오. (잠신, 천일)
이번 회의의 주제가 ‘사춘기 靑少年의 갈등에 대한 處方’이라 그 런지 부모님들의 關心 이 많았다.
12.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서문여중, 신목)
百行□源, 五倫□首也
13. ‘必死□生’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대치, 서연)
14.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보성, 영도)
仁은 人心□요, 義는 人路□라. 인은 사람의 마음이요,
의는 사람의 길이다.
15. 다음 문장을 읽고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라. (잠실, 신서)
讀書有三到니 心到 眼到 口到라. 三到之中에
( )이 最急이니라. 〈童蒙須知〉
1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을 풀이하라. (방이, 연희여중)
兄弟는 同受父母遺體니 與我로 如一身이라. 〈격몽요결〉
17. 다음 ( )안에 알맞은 글자를 본문에서 찾아 써라. (대청, 경성)
信者는 人之大寶也라. 聖人이 以兵食可去나 而信不可去라.
故로 自古로 國家將亡에 ( )義先亡이니라. 〈우암집〉
18.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방산, 자양)
1592년에 왜군이 일으킨 전란을 임진왜란이라고 한다.
19. 다음 □안에 들어갈 숫자를 차례대로 한자로 쓰시오. (정신여중, 창일)
□干과 □支가 합쳐져 □갑자가 되며, 이를 줄여서 六甲이라고도 한다.
20. ‘父母在’를 주어와 서술어로 나누어 쓰시오. (방배, 중계)
주어 서술어
( ) ( )
21.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대원, 서울여중)
孝□百行之源, 信□人之大寶也
22. 육십갑자의 순서로 보아, ( ) 안에 들어갈 간지를 한자로 쓰시오.
(반포, 정의여중)
甲子, 乙丑, ( ), 丁卯, 戊辰
23. (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중동, 신상)
則
(즉) 곧 : 必死則生
( ) 법 : 法則
24. ‘事皆無實’에서 가장 나중에 풀이하는 글자를 찾아 쓰시오.
(명일여중, 장훈)
25. 다음 문장의 □□□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대명, 공릉)
예부터 임금과 스승과 부모의 은혜는 같다고하여 ‘□□□一體’
라고 하였다.
2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관계 있는 한자어를 찾아 쓰시오.
(봉은, 장충)
㉠ 松竹梅 ㉡ 信望愛
㉢ 耳目口鼻㉣ 喜怒哀樂
㉤ 文房四友㉥ 生老病死
마임연기를 하는 배우는 소리 없는 몸짓과 얼굴 표정으로 사람 들의 기본적인 감정을 표현한다.
어려움 속에서도 쉽게 변하지 않는 지조와 절개로 자신의 의지를 지킨 사람을 우리는 존경한다.
사람이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죽기까지의 과정을 人生이라 한다.
27. 다음 문장을 풀이하시오. (청담, 환일)
非禮勿視, 非禮勿聽
28. ‘배워서 그것을 안다.’라는 뜻이 되도록 다음 문장을 완성하시오.
(보인, 장충여중)
學□知之
주관식 기출문제
1. 南大門
2. 已
3. 花 開
4. 수, 삭, 촉
5. 一
6. 貝
7. 滿
8. 而
9.
10. 漢字
11. 청소년, 처방, 관심
12. 之
13. 則
14. 也
15. 心到
16. 나와 더불어 한 몸과 같다.
17. 信
18. 壬辰
19. 十, 十二, 六十
20. 주어 : 父母, 서술어 : 在
21. 者
22. 丙寅
23. 칙
24. 無
25. 君師父
26. ㉣, ㉠, ㉥
27.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라.
28. 而
주어+서술어+목적어
92. ③
今(금) 이제
93. ④
문장 완성하기
종결사 ‘~이다’
94. ③
1919년-기미년
95. ③
① 正北
② 正東
④ 正西
⑤ 北北西
96. ①
天干 : ~己庚辛壬癸
地支 : ~午未申酉戌亥
97. ⑤
‘~하면 곧’으로 해석되는 한자를 찾는다.
98. ②
見危授命 → 조국이 위태할 때 목숨을 바친다.
99. ⑤
㉠ 減 : 빠짐
㉡ 怒 : 心
㉢ 鼻 : 鼻
㉣ 勸 : 欠
㉤ 喜 : 口
㉥ 哀 : 口
㉦ 病 :
㉧ 悅 : (心)
100. ③
① 減(감) 덜다
② 悅(열) 기쁘다
③ 樂(요) 좋아하다
④ 乘(승) 타다
101. ③
身言書判 : 풍채, 언사, 글씨, 판단
102. ④
①②③⑤ : 병렬 관계
④ : 수식관계
103. ②
生老病死 : 삶과 늙음과 병듦과 죽음(四苦)
104. ①
利(리) 이롭다
날카롭다
105. ②
한자의 쓰임
사람이 충성스럽지 못하고 미덥지 못하면 일이 다 진실성이 없다.
106. ⑤
한자의 활용과 쓰임
然(연) 그러하다
107. ②
한자 성어의 이해
‘見危授命’은 ‘조국애’를 뜻함
108. ④
한자 성어의 풀이
必生則死 : 반드시 살기를 각오하면 죽는다.
109. ①
② 硯 : 石
③ 老 : 빠짐
④ 乘 :
⑤ 死 :
110. ⑤
① 鼻祖(비조)
② 硯石(연석)
③ 悲哀(비애)
④ 梅花(매화)
111. ③
①② : 대등관계
④⑤ : 수식관계
112. ④
①②③⑤ : 대등관계
④ : 대립관계
113. ⑤
①②③④ : 대등관계
⑤ : 수식관계
114. ④
見利思義 ⇒ 利 → 見 → 義 → 思
115. ⑤
116. ②
耳目口鼻 : 귀눈입코
117. ⑤
118. ②
┌(락) 즐겁다
樂 ─┤(악) 풍류
└(요) 좋아하다
1. ‘崇禮門’의 또 다른 이름을 한자로 쓰시오. (동북, 동명)
2. 다음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숙명여중, 여의도)
嚴冬□去 : 추운 겨울이 이미 지나다.
3. 다음에서 기본 구조에 해당하는 한자를 차례대로 쓰시오. (이수, 하계)
百花滿開
4. ‘數’의 음 세 가지를 쓰시오. (수서, 양동)
5. 다음 한자 성어에 공통으로 들어갈 글자를 쓰라. (동덕여중, 서라벌)
頂門( )針聞( )知十千篇( )律
6. 다음 한자들의 공통적인 부수를 쓰시오. (성내, 아현)
財, 貨, 買, 賣
7. 다음 분장에서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일신여중, 아현)
온갖 꽃들이 가득(활짝) 피었다. → 百花( )開
8. 다음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서일, 신서)
子欲養□親不待 :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기다리지 않는다.
9. 다음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도곡, 건대사대부속)
書
名 □ 家
室
10.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서운, 신상)
鄕歌는 한자를 사용하여 표 한 노래이다.
11.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차례대로 쓰시오. (잠신, 천일)
이번 회의의 주제가 ‘사춘기 靑少年의 갈등에 대한 處方’이라 그 런지 부모님들의 關心 이 많았다.
12.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서문여중, 신목)
百行□源, 五倫□首也
13. ‘必死□生’에서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대치, 서연)
14.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보성, 영도)
仁은 人心□요, 義는 人路□라. 인은 사람의 마음이요,
의는 사람의 길이다.
15. 다음 문장을 읽고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라. (잠실, 신서)
讀書有三到니 心到 眼到 口到라. 三到之中에
( )이 最急이니라. 〈童蒙須知〉
1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을 풀이하라. (방이, 연희여중)
兄弟는 同受父母遺體니 與我로 如一身이라. 〈격몽요결〉
17. 다음 ( )안에 알맞은 글자를 본문에서 찾아 써라. (대청, 경성)
信者는 人之大寶也라. 聖人이 以兵食可去나 而信不可去라.
故로 自古로 國家將亡에 ( )義先亡이니라. 〈우암집〉
18.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방산, 자양)
1592년에 왜군이 일으킨 전란을 임진왜란이라고 한다.
19. 다음 □안에 들어갈 숫자를 차례대로 한자로 쓰시오. (정신여중, 창일)
□干과 □支가 합쳐져 □갑자가 되며, 이를 줄여서 六甲이라고도 한다.
20. ‘父母在’를 주어와 서술어로 나누어 쓰시오. (방배, 중계)
주어 서술어
( ) ( )
21.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대원, 서울여중)
孝□百行之源, 信□人之大寶也
22. 육십갑자의 순서로 보아, ( ) 안에 들어갈 간지를 한자로 쓰시오.
(반포, 정의여중)
甲子, 乙丑, ( ), 丁卯, 戊辰
23. ( )안을 알맞게 채우시오. (중동, 신상)
則
(즉) 곧 : 必死則生
( ) 법 : 法則
24. ‘事皆無實’에서 가장 나중에 풀이하는 글자를 찾아 쓰시오.
(명일여중, 장훈)
25. 다음 문장의 □□□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대명, 공릉)
예부터 임금과 스승과 부모의 은혜는 같다고하여 ‘□□□一體’
라고 하였다.
2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관계 있는 한자어를 찾아 쓰시오.
(봉은, 장충)
㉠ 松竹梅 ㉡ 信望愛
㉢ 耳目口鼻㉣ 喜怒哀樂
㉤ 文房四友㉥ 生老病死
마임연기를 하는 배우는 소리 없는 몸짓과 얼굴 표정으로 사람 들의 기본적인 감정을 표현한다.
어려움 속에서도 쉽게 변하지 않는 지조와 절개로 자신의 의지를 지킨 사람을 우리는 존경한다.
사람이 태어나서 늙고 병들어 죽기까지의 과정을 人生이라 한다.
27. 다음 문장을 풀이하시오. (청담, 환일)
非禮勿視, 非禮勿聽
28. ‘배워서 그것을 안다.’라는 뜻이 되도록 다음 문장을 완성하시오.
(보인, 장충여중)
學□知之
주관식 기출문제
1. 南大門
2. 已
3. 花 開
4. 수, 삭, 촉
5. 一
6. 貝
7. 滿
8. 而
9.
10. 漢字
11. 청소년, 처방, 관심
12. 之
13. 則
14. 也
15. 心到
16. 나와 더불어 한 몸과 같다.
17. 信
18. 壬辰
19. 十, 十二, 六十
20. 주어 : 父母, 서술어 : 在
21. 者
22. 丙寅
23. 칙
24. 無
25. 君師父
26. ㉣, ㉠, ㉥
27.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라.
28. 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