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소수자는 새로운 도전에 대해서는 그들이 아닌 또 다른 지도자들에게 그 임무를 맡겨야 마땅하나 지난 날의 업적에 연연하여 자기들이 아니면 안 된다고 고집한다. 창조적 소수자가 실제로 그들의 창조성을 발휘할 기회는 한 번 정도밖에 주어지지 않으나 끝내 그들은 새로운 리더쉽에 그들의 위치를 물려줄 것을 거부한다.토인비는 문명의 해체기에는 동일한 도전이 되풀이해서 반복된다고 보았다. 이 반복되는 도전에 대해 사회는 패주와 재기를 거듭하나 결국 응답 없는 도전 혹은 불완전한 응답이 지속되면서 사회 전체는 약진감이 사라지고 지도자는 자포자기에, 대중은 불안감과 혼동감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됨으로써 결국 문명은 희석화되어 장기간 그 상태를 지속하거나 몰락해 몰락해 버리는 것이다. 토인비는 '시련에 선 문명'속에서 역사와 문명은 인간의 창조물이요 여기에는 언제나 인간의 선택의 자유와 책임이 전제되고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토인비가 그의 문명사관 전체를 통해서 언급한 문명의 생성소멸, 창조적 소수자와 지배적 소수자, 대중의 모방과 이탈, 사회체의 통일과 분열 등의 구분은 모두 그사회의 창조성의 발휘와 위축 여하에 달려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토인비가 그의 문명사관 전체를 통해서 언급한 문명의 생성소멸, 창조적 소수자와 지배적 소수자, 대중의 모방과 이탈, 사회체의 통일과 분열 등의 구분은 모두 그사회의 창조성의 발휘와 위축 여하에 달려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