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면죄부
1) 면죄부 판매의 배경과 의미의 변화
2) 면죄부 판매에의 폐단
2. 루터의 종교개혁
1) 루터의 생애(수도사가 된 루터)
2) 루터의 새로운 깨달음
3) 루터의 면죄부에 대한 반대(95개조 반박문)
4) 파문과 저항
5) 루터의 종교개혁 원리
Ⅲ. 결론
Ⅱ. 본론
1. 면죄부
1) 면죄부 판매의 배경과 의미의 변화
2) 면죄부 판매에의 폐단
2. 루터의 종교개혁
1) 루터의 생애(수도사가 된 루터)
2) 루터의 새로운 깨달음
3) 루터의 면죄부에 대한 반대(95개조 반박문)
4) 파문과 저항
5) 루터의 종교개혁 원리
Ⅲ. 결론
본문내용
과 전 대학인이 보는 가운데 불태워버렸다. 화가난 교황은 1521년 1월 초에 루터를 파문하고 독일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칼 5세에게 루터를 처형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루터는 독일 제후들, 귀족들, 성직자들과 신학자들 뿐 아니라 일반 민중의 후원과 특히 선제후 프레데릭의 보호를 받고 있었기에 처형이 쉽지 않았다.
루터는 프리데릭의 보호로 바르트부르그 성에 숨어 지내게 되었다. 루터가 그 곳에서 지내는 동안 비텐베르그에서는 과격한 종교개혁 운동으로 인해 도시가 무질서와 혼란에 빠졌다. 그래서 선제후 프레데릭의 요청으로 루터는 은둔생활을 청산하고 1522년 3월 1일 그의 집이 있고 대학이 있는 종교개혁의 진원지인 비텐베르그로 귀환하게 되었다. 루터는 불같은 설교로 비텐베르그의 소란을 진압하였고 그 후로 루터는 점진적이고 온건한 방법으로 종교개혁을 진행시켰다.
5) 루터의 종교개혁 원리
① 오직 믿음으로
인간이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이 구원과정은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이 구원을 제공하시지만 인간은 나름대로 기여해야 한다. 인간은 구원의 메시지를 듣고 믿어야 한다. 인간이 믿음에 이른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먼저 그에게 이런 믿음을 주시기로 작정하셨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인간이 신앙마저도 구원의 절대적 은총의 증거이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구원은 신앙과 선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나 루터는 달랐다. 루터는 인간은 오직 신앙에 의해서만 구원을 받는 것이지만 행함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공식을 갖고 있었다. 루터는 그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선행이 선한 사람을 만들지 못하나, 선한 사람은 선한 일을 행한다. 그리고 악한 행위가 악한 사람을 만들지 못하나, 악한 사람은 악한 일을 행한다. 루터에 의하면 아무 선행도 불신자를 도와서 의롭게 하거나 구원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신앙 외에는 아무 것도 사람을 선하게 만들지 목하며 불신 외에는 아무 것도 사람을 악하게 만들지 못한다.
②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처음에 루터도 로마교회와 마찬가지로 구원은 인간의 문제이므로 그 해결책 역시 인간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루터가 깨닫게 된 해답은, 구원은 인간의 손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손에 있다는 것이었다.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업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구원사업에 아무것도 기여하지 못한다.(“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로마서 7:25)
루터는 로마서를 읽고 “누가 믿거나 누가 믿지 않을 것인지, 그리고 누가 죄에서 풀려나거나 누가 풀려나지 못할 것인지는 오직 하나님의 영원한 섭리이다.”라고 했으며 “우리가 경건하게 되는 것은 전혀 우리의 수중에서 취해져 오직 하나님의 수중에 있게 하기 위하여”라고 하였다.
③ 오직 그리스도의 십자가 공로로
인간은 어떠한 공로로도 하나님의 용서를 얻지 못한다. 그것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만이 가능한 것이다. 루터는 사제의 중보기도나 사제가 인간과 하나님 사이를 중재한다는 사제의 모든 중보권을 부인했다.
루터는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 그들의 공적을 자랑하고 인간의 행위로 칭의 칭의 : 성경에서 ‘칭의’라는 단어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의를 따라 사람을 의롭다고 선포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사람이 자신의 행위로 하나님의 의롭다하심을 얻으려는 것을 말한다.
를 얻으려는 중세의 행위경건을 반박했다. 그는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안에서 참된 신학과 하나님의 인식이 있다고 여기며 “오직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라고 말하였다.
④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
루터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계시를 인간에게 전달하는 데는 오직 성서만이 권위를 가진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말씀하시고자 하는 모든 것은 성서에 있기 때문이다.
루터는 로마 카톨릭 교회가 성서보다 교회의 권위를 더 중요시하는 것을 배격하였다. 루터에 의하면 어느 누구도 성서를 공인할 수 없으며 성서가 자기 자신을 보증한다. 그렇기에 교회는 결코 하나님의 말씀 위에 있는 심판대가 아니라 단지, 그 밑에 있을 뿐이다. 교회가 성서를 공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성서가 교회를 공인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루터의 종교개혁을 중심으로 면죄부와 루터의 개혁 배경 및 내용을 알아보았다. 교회를 다니고 하나님을 믿고 있는 나이기에 이 내용을 조사하면서 많은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면죄부라는 종이에 이름을 적고 돈을 내면 죄가 면해진다는 어처구니없는 면죄부의 판매와 그것을 반박하며 종교개혁을 일으킨 루터... 조사하면서 상당히 재미있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을 읽으면 면죄부를 파는 로마 카톨릭 교회가 어떠한 근거를 내며 면죄부를 팔고 있는지 루터가 그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 하자면 이러하다.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는 성 베드로 성당의 증축 자금을 마련하고자 면죄부를 판매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면죄부를 사도록 하고자 그것을 사기면 하면 죄가 면해져 연옥에서 벌을 받지 않게 될 것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죄 뿐 아니라 이미 죽은 자들의 죄까지 면해 주는 면죄부를 사들인다. 이러한 교회의 타락상에 대해 반박하며 일어난 자가 루터이다.
루터는 자신이 성경을 연구하며 터득한 사실들을 설교하며 면죄부 판매의 잘 못된 점을 지적한다. 루터는 믿음만이 죄를 사할 수 있고, 예수 그리스도만을 통해서 우리의 죄가 씻김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믿음 없는 선행은, 면죄부라는 종이를 사는 것은 죄를 사할 수 없다고 한다.
이에 로마 카톨릭 교회는 자신들의 큰 수입원이었던 면죄부를 지적함에 화가 났고 루터를 화형시키려 한다. 이렇게 하여 루터와 로마 카톨릭 교회는 대립하게 되고 종교개혁이 이루어진다.
♣ 참고 문헌
민석홍, <<서양사 개론>>, 삼영사, 2005
김진웅, <<서양사 신론>>, 형설출판사, 2003
박무성, <<서양근대사 총론>>, 법문사, 1988
오연수, <<종교개혁사>>, 도서출판 한글, 2000
김기련, <<종교개혁사>>, 목원대학교 출판부, 2004
오금성 외, <<고등학교 세계사>>, 금성출판사, 2002
루터는 프리데릭의 보호로 바르트부르그 성에 숨어 지내게 되었다. 루터가 그 곳에서 지내는 동안 비텐베르그에서는 과격한 종교개혁 운동으로 인해 도시가 무질서와 혼란에 빠졌다. 그래서 선제후 프레데릭의 요청으로 루터는 은둔생활을 청산하고 1522년 3월 1일 그의 집이 있고 대학이 있는 종교개혁의 진원지인 비텐베르그로 귀환하게 되었다. 루터는 불같은 설교로 비텐베르그의 소란을 진압하였고 그 후로 루터는 점진적이고 온건한 방법으로 종교개혁을 진행시켰다.
5) 루터의 종교개혁 원리
① 오직 믿음으로
인간이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이 구원과정은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이 구원을 제공하시지만 인간은 나름대로 기여해야 한다. 인간은 구원의 메시지를 듣고 믿어야 한다. 인간이 믿음에 이른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먼저 그에게 이런 믿음을 주시기로 작정하셨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인간이 신앙마저도 구원의 절대적 은총의 증거이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구원은 신앙과 선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나 루터는 달랐다. 루터는 인간은 오직 신앙에 의해서만 구원을 받는 것이지만 행함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공식을 갖고 있었다. 루터는 그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선행이 선한 사람을 만들지 못하나, 선한 사람은 선한 일을 행한다. 그리고 악한 행위가 악한 사람을 만들지 못하나, 악한 사람은 악한 일을 행한다. 루터에 의하면 아무 선행도 불신자를 도와서 의롭게 하거나 구원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신앙 외에는 아무 것도 사람을 선하게 만들지 목하며 불신 외에는 아무 것도 사람을 악하게 만들지 못한다.
②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처음에 루터도 로마교회와 마찬가지로 구원은 인간의 문제이므로 그 해결책 역시 인간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루터가 깨닫게 된 해답은, 구원은 인간의 손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손에 있다는 것이었다.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업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구원사업에 아무것도 기여하지 못한다.(“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로마서 7:25)
루터는 로마서를 읽고 “누가 믿거나 누가 믿지 않을 것인지, 그리고 누가 죄에서 풀려나거나 누가 풀려나지 못할 것인지는 오직 하나님의 영원한 섭리이다.”라고 했으며 “우리가 경건하게 되는 것은 전혀 우리의 수중에서 취해져 오직 하나님의 수중에 있게 하기 위하여”라고 하였다.
③ 오직 그리스도의 십자가 공로로
인간은 어떠한 공로로도 하나님의 용서를 얻지 못한다. 그것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만이 가능한 것이다. 루터는 사제의 중보기도나 사제가 인간과 하나님 사이를 중재한다는 사제의 모든 중보권을 부인했다.
루터는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 그들의 공적을 자랑하고 인간의 행위로 칭의 칭의 : 성경에서 ‘칭의’라는 단어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의를 따라 사람을 의롭다고 선포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사람이 자신의 행위로 하나님의 의롭다하심을 얻으려는 것을 말한다.
를 얻으려는 중세의 행위경건을 반박했다. 그는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 안에서 참된 신학과 하나님의 인식이 있다고 여기며 “오직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라고 말하였다.
④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
루터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계시를 인간에게 전달하는 데는 오직 성서만이 권위를 가진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말씀하시고자 하는 모든 것은 성서에 있기 때문이다.
루터는 로마 카톨릭 교회가 성서보다 교회의 권위를 더 중요시하는 것을 배격하였다. 루터에 의하면 어느 누구도 성서를 공인할 수 없으며 성서가 자기 자신을 보증한다. 그렇기에 교회는 결코 하나님의 말씀 위에 있는 심판대가 아니라 단지, 그 밑에 있을 뿐이다. 교회가 성서를 공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성서가 교회를 공인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루터의 종교개혁을 중심으로 면죄부와 루터의 개혁 배경 및 내용을 알아보았다. 교회를 다니고 하나님을 믿고 있는 나이기에 이 내용을 조사하면서 많은 흥미를 느낄 수 있었다. 면죄부라는 종이에 이름을 적고 돈을 내면 죄가 면해진다는 어처구니없는 면죄부의 판매와 그것을 반박하며 종교개혁을 일으킨 루터... 조사하면서 상당히 재미있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을 읽으면 면죄부를 파는 로마 카톨릭 교회가 어떠한 근거를 내며 면죄부를 팔고 있는지 루터가 그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 하자면 이러하다.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는 성 베드로 성당의 증축 자금을 마련하고자 면죄부를 판매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면죄부를 사도록 하고자 그것을 사기면 하면 죄가 면해져 연옥에서 벌을 받지 않게 될 것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죄 뿐 아니라 이미 죽은 자들의 죄까지 면해 주는 면죄부를 사들인다. 이러한 교회의 타락상에 대해 반박하며 일어난 자가 루터이다.
루터는 자신이 성경을 연구하며 터득한 사실들을 설교하며 면죄부 판매의 잘 못된 점을 지적한다. 루터는 믿음만이 죄를 사할 수 있고, 예수 그리스도만을 통해서 우리의 죄가 씻김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믿음 없는 선행은, 면죄부라는 종이를 사는 것은 죄를 사할 수 없다고 한다.
이에 로마 카톨릭 교회는 자신들의 큰 수입원이었던 면죄부를 지적함에 화가 났고 루터를 화형시키려 한다. 이렇게 하여 루터와 로마 카톨릭 교회는 대립하게 되고 종교개혁이 이루어진다.
♣ 참고 문헌
민석홍, <<서양사 개론>>, 삼영사, 2005
김진웅, <<서양사 신론>>, 형설출판사, 2003
박무성, <<서양근대사 총론>>, 법문사, 1988
오연수, <<종교개혁사>>, 도서출판 한글, 2000
김기련, <<종교개혁사>>, 목원대학교 출판부, 2004
오금성 외, <<고등학교 세계사>>, 금성출판사,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