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족의 개념
2. 호족의 대두 배경
3. 호족의 유형
1) 落鄕貴族 出身의 豪族
2) 君鎭勢力 出身의 豪族
3)海上勢力 출신의 호족
4)村主 출신의 호족
4. 豪族과 社會變動
1)견훤의 호족세력과의 관계
2)궁예계 호족세력의 성격
3)왕건계 호족세력의 성격
Ⅲ. 결론
Ⅱ. 본론
1. 호족의 개념
2. 호족의 대두 배경
3. 호족의 유형
1) 落鄕貴族 出身의 豪族
2) 君鎭勢力 出身의 豪族
3)海上勢力 출신의 호족
4)村主 출신의 호족
4. 豪族과 社會變動
1)견훤의 호족세력과의 관계
2)궁예계 호족세력의 성격
3)왕건계 호족세력의 성격
Ⅲ. 결론
본문내용
서 변경지역에서 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골품제도 밖에 위치하는 평범한 지방민으로서 신라의 중앙정치체제와 연결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회적 성격을 가진 왕건은 전형적인 지방인, 변경인으로서 신라의 사회체제나 정치제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따라서 그는 신라골품제사회를 해체시키고 새로운 사회 체제나 정치체제를 창출해내는 데 적합한 인물이었다.
왕건은 신라를 멸망시켜 병합시켜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는 신라에 대하여 親新羅政策을 취하였다. 그는 신라를 무력으로 멸망시키지 않고 귀부를 유도해냈다. 그의 친신라정책은 신라의 귀부를 목적으로 시도된 것으로서 당시 정세로 보아 적절한 것이었다.
왕건은 주로 패서지역, 근기지역, 그리고 서남해안지역의 호족들을 결집하였다. 패서, 근기, 서남해안지역은 지리적,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경주와 쉽게 연결되지 않는 변경지역이었다. 또한 이들 지역은 원신라지역이 아니라 비신라지역, 즉 고구려, 백제의 고토로서, 해상무역이 활발히 전개되거나 군진이 설치된 것이었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는 해상세력이나 군진세력 출신의 호족세력이 많았다. 따라서 이들 지역의 호족세력은 신라사회의 전통에 구속받은 바가 적었다. 이들 호족세력은 대체로 골품제도 밖에서 새롭게 성장한 평민, 지방민 출신이었다. 이들은 골품제도에의한 신분적 특권에 의해서가 아니라 온전히 자신의 경제적, 군사적 능력이나 지적 능력에 의해서 성장한 새로운 사회세력이었다. 요컨대 왕건의 호족세력은 비신라계의 지방민 출신이었다. 그런 만큼 이 지역의 호족세력은 골품제사회의 규범에서 벗어나 보다 개방적인 체질을 소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호족세력은 새로운 사회체제나 정치체제를 창출해낼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한편 패서, 근기, 서남해안지역은 농업분만 아니라 상업이 주요한 경제적 기반이었다. 농업, 상업경제에 기반을 둔 이들 지역의 호족세력들은 그들의 풍부한 경제력으로 막대한 군사력을 유지할 수 있었으므로, 수함국통일 전쟁에서 농민들에게 군비 부담을 상대적으로 가볍게 부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들 호족세력들은 陸軍力뿐만 아니라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렇게 농업, 상업 양면의 경제적 기반과 陸軍力, 海軍力을 동시에 보유한 호족세력이 후삼국 쟁패전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다고 믿어진다.
그런데 고려의 건국은 궁예의 호족세력에서 왕건의 호족세력으로 교체된 것이었다. 궁예세력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골품체제의 전통을 답습하는 데 머물렀던 반면 왕건세력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골품체제와는 다르거나 반대되는 사회체제와 정치체제를 창출하였다.
Ⅲ. 결론
처음부터 호족 세력들이 전면적으로 신라와 신라 중앙 정부를 부정했다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아마도 신라 부정의 정점은 호족 세력의 성장과 신라의 퇴락의 수준이 맞물리는 시점에서 호족 세력은 신라를 배제하고 독자적인 지배력을 유지해 나갔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호족은 연합 혹은 정복의 논리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고 보여 진다.
고려 초기 호족 세력은 강력한 왕권 강화의 의지 앞에 해체의 과정을 겪는다. 그들 앞에는 중앙과 지방이라는 두 가지의 기로가 놓여있었는데, 이는 더 이상 자신들의 선택을 바탕으로 국왕의 결정을 얻는 관계가 아니라 국왕의 결정에 자신들의 선택이 종속되어 버리는, 또한 자신의 정치적 입지와 성향이 국왕에 의해 계산되어 버리는 수준의 기로였다. 따라서 이들은 더 이상 전 시대 기준의 세력화를 도모할 수 없었고 고려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에 의해 재편되고 세력은 계열의 정도로 남게 되면서, 일부는 중앙에서 문벌이나 관료로 개편된 세력화를 시도하고 일부는 기존의 근거를 중심으로 지방 사회의 세력화를 시도하게 된다.
나말여초의 호족 세력은 각자의 정치적 지향점을 가지고 세력화의 장정에 뛰어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그들은 사회 전반의 조건에 의하여 연합 혹은 정복의 과정에 개입되어 최초의 정치적 지향점 역시 변화, 좌절, 성취 등의 부침에 접어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침이 곧 나말여초의 사회변동이었다. 그들 호족 세력은 나말여초의 사회 변동을 주도한 세력이었다. 호족 세력의 존재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입장에 따라서는 상대적이기는 하나 퇴락한 신라를 꺾고 새로운 고려를 세우는 그 일선에 호족이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 『신라말 고려초 호족연구』 정청주 한국사연구
* 『한국사특강』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출판부
왕건은 신라를 멸망시켜 병합시켜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는 신라에 대하여 親新羅政策을 취하였다. 그는 신라를 무력으로 멸망시키지 않고 귀부를 유도해냈다. 그의 친신라정책은 신라의 귀부를 목적으로 시도된 것으로서 당시 정세로 보아 적절한 것이었다.
왕건은 주로 패서지역, 근기지역, 그리고 서남해안지역의 호족들을 결집하였다. 패서, 근기, 서남해안지역은 지리적,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경주와 쉽게 연결되지 않는 변경지역이었다. 또한 이들 지역은 원신라지역이 아니라 비신라지역, 즉 고구려, 백제의 고토로서, 해상무역이 활발히 전개되거나 군진이 설치된 것이었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는 해상세력이나 군진세력 출신의 호족세력이 많았다. 따라서 이들 지역의 호족세력은 신라사회의 전통에 구속받은 바가 적었다. 이들 호족세력은 대체로 골품제도 밖에서 새롭게 성장한 평민, 지방민 출신이었다. 이들은 골품제도에의한 신분적 특권에 의해서가 아니라 온전히 자신의 경제적, 군사적 능력이나 지적 능력에 의해서 성장한 새로운 사회세력이었다. 요컨대 왕건의 호족세력은 비신라계의 지방민 출신이었다. 그런 만큼 이 지역의 호족세력은 골품제사회의 규범에서 벗어나 보다 개방적인 체질을 소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호족세력은 새로운 사회체제나 정치체제를 창출해낼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한편 패서, 근기, 서남해안지역은 농업분만 아니라 상업이 주요한 경제적 기반이었다. 농업, 상업경제에 기반을 둔 이들 지역의 호족세력들은 그들의 풍부한 경제력으로 막대한 군사력을 유지할 수 있었으므로, 수함국통일 전쟁에서 농민들에게 군비 부담을 상대적으로 가볍게 부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들 호족세력들은 陸軍力뿐만 아니라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렇게 농업, 상업 양면의 경제적 기반과 陸軍力, 海軍力을 동시에 보유한 호족세력이 후삼국 쟁패전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다고 믿어진다.
그런데 고려의 건국은 궁예의 호족세력에서 왕건의 호족세력으로 교체된 것이었다. 궁예세력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골품체제의 전통을 답습하는 데 머물렀던 반면 왕건세력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골품체제와는 다르거나 반대되는 사회체제와 정치체제를 창출하였다.
Ⅲ. 결론
처음부터 호족 세력들이 전면적으로 신라와 신라 중앙 정부를 부정했다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아마도 신라 부정의 정점은 호족 세력의 성장과 신라의 퇴락의 수준이 맞물리는 시점에서 호족 세력은 신라를 배제하고 독자적인 지배력을 유지해 나갔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호족은 연합 혹은 정복의 논리로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고 보여 진다.
고려 초기 호족 세력은 강력한 왕권 강화의 의지 앞에 해체의 과정을 겪는다. 그들 앞에는 중앙과 지방이라는 두 가지의 기로가 놓여있었는데, 이는 더 이상 자신들의 선택을 바탕으로 국왕의 결정을 얻는 관계가 아니라 국왕의 결정에 자신들의 선택이 종속되어 버리는, 또한 자신의 정치적 입지와 성향이 국왕에 의해 계산되어 버리는 수준의 기로였다. 따라서 이들은 더 이상 전 시대 기준의 세력화를 도모할 수 없었고 고려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에 의해 재편되고 세력은 계열의 정도로 남게 되면서, 일부는 중앙에서 문벌이나 관료로 개편된 세력화를 시도하고 일부는 기존의 근거를 중심으로 지방 사회의 세력화를 시도하게 된다.
나말여초의 호족 세력은 각자의 정치적 지향점을 가지고 세력화의 장정에 뛰어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그들은 사회 전반의 조건에 의하여 연합 혹은 정복의 과정에 개입되어 최초의 정치적 지향점 역시 변화, 좌절, 성취 등의 부침에 접어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침이 곧 나말여초의 사회변동이었다. 그들 호족 세력은 나말여초의 사회 변동을 주도한 세력이었다. 호족 세력의 존재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입장에 따라서는 상대적이기는 하나 퇴락한 신라를 꺾고 새로운 고려를 세우는 그 일선에 호족이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 『신라말 고려초 호족연구』 정청주 한국사연구
* 『한국사특강』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