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후자에 기울여 있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철학 사상들이 나오게 된 사회적 배경을 읽고, 우리 한반도와 지금 2005년을 철학의 역사로부터 도출해낼 수 있는 힘인 것 같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웠던 아테네 시민들에게 소피스테스들은 인간을 만물의 척도로 보고, 이것을 근거로 하여, 법과 관습의 요구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시민 개개인의 권리를 내세웠다. 여기에 대하여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테스들의 주장에 대하여 완강하게 저항하였다. 당시 아테네인들은 빈둥거리며 나태하고 수다스럽고 탐욕적이 되었고, 중요한 한 가지가 결핍되어 있었다. 즉 사람들이 도덕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었다. 옛 것 자리에 완전히 새로운 것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때에 소피스테스들과는 달리 아테네에서 태어나고 자랐던 소크라테스가 시민들에 대한 도덕교육을 주장하며 등장하였다. 나는 이것이 현 우리나라의 사회적인 분위기가 비슷하다고 본다. 우리와 먼 땅덩어리고 또한 먼 옛날인 고대 아테네와 기원후 2005년인 한반도와 엮는다는 것이 단순히 억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중에게 포장하는 것이 중요시 되는 현대사회에서 소크라테스의 절대적 진리관이 갖는 의의는 소중하고 크다고 생각한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웠던 아테네 시민들에게 소피스테스들은 인간을 만물의 척도로 보고, 이것을 근거로 하여, 법과 관습의 요구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시민 개개인의 권리를 내세웠다. 여기에 대하여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테스들의 주장에 대하여 완강하게 저항하였다. 당시 아테네인들은 빈둥거리며 나태하고 수다스럽고 탐욕적이 되었고, 중요한 한 가지가 결핍되어 있었다. 즉 사람들이 도덕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이었다. 옛 것 자리에 완전히 새로운 것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때에 소피스테스들과는 달리 아테네에서 태어나고 자랐던 소크라테스가 시민들에 대한 도덕교육을 주장하며 등장하였다. 나는 이것이 현 우리나라의 사회적인 분위기가 비슷하다고 본다. 우리와 먼 땅덩어리고 또한 먼 옛날인 고대 아테네와 기원후 2005년인 한반도와 엮는다는 것이 단순히 억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중에게 포장하는 것이 중요시 되는 현대사회에서 소크라테스의 절대적 진리관이 갖는 의의는 소중하고 크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