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후삼국과 고려의 건국 >
< 고려 전기의 정치와 사회 >
< 거란과의 전쟁과 송과의 관계 >
< 고려 전기의 정치와 사회 >
< 거란과의 전쟁과 송과의 관계 >
본문내용
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활구
4. 신분 계급 구조
1) 양인; 노비나 부곡민을 제외한 모든 주민, 교육과 관직의 기회를 줌, 양인과 노비 사이 의 통혼을 금하여 노비 세습제 유지함
2) 음서제도; 5품 이상의 관리의 친속에게 한해 자동으로 관리가 될 수 있는 특권 부여 → 문벌가문의 형성
3) 기타
(1) 남반; 궁궐 잡무 담당
(2) 기술관료; 잡과를 통해 출세
(3) 군반씨족; 직업군인
(4) 지방의 향리층
4) 성씨집단의 확산; 양인이 공민으로서 출세하려면 성씨가 있어야 함 → 공민층이 넓어짐
5) 백정; 농민 중에서 특정한 직역을 갖지 않은 사람
6) 향, 소, 부곡, 장, 처, 진, 관, 역 주민들; 농사일, 수공업, 뱃사공, 숙박업 등에 종사, 어 간, 염간, 목자간, 봉화간 등에 종사 → 신량역천 계층, 공민으로서의 권리 행사 할 수 없음
7) 노비; 고려사회의 최하층, 매매, 상속, 양여의 대상, 공민의 자격이 없는 비자유민, 노비 끼리 결혼하고 부모 중 한편이 노비인 경우 그 자손도 노비가 됨
(1) 노(남자), 비(여자)
(2) 공노비; 국가에 소속, 60세가 넘으면 역 면제
① 공역노비; 관청 소속
② 외거노비; 따로 독립해서 농사를 지어 조를 바침
(3) 사노비; 개인이 소유
(4) 사원노비; 사찰에서 소유
8) 기타; 화척, 재인, 양수척, 기생 → 거란족이나 여진족 출신이 많았음(전쟁포로나 투항 해온 사람들)
< 거란과의 전쟁과 송과의 관계 >
1. 거란과의 전쟁(993~1019)
1) 거란과의 제1차 전쟁(성종 12. 993)
(1) 소손녕이 수십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 서희 → 압록강까지 영토로 만드는데 성공
2) 거란과의 제2차, 제3차 전쟁(현종 원년; 1010, 현종 9년; 1018)
(1) 제2차 전쟁; 거란이 강동 6주를 요구하며 침입, 현종의 입조 조건으로 물러갔으나 현 종은 거란에 입조하지 않음
(2) 제3차 전쟁; 소배압이 10만 거란군을 이끌고 침입, 강감찬 귀주대첩 승리
2. 송과의 문화교류와 국위선양
1) 송과의 문화교류
(1) 국신사; 송과 대등한 국가의 사신으로 극진히 대우
(2) 벽란도와 항주를 연결하는 해상로가 주요 교통로임
(3) 수출; 금, 은, 동, 인삼 등의 원료품과 금은세공품, 종이, 책, 붓, 먹 등의 문방구와 부 채, 화문석 등
(4) 수입; 비단, 책, 자기, 약재, 향료, 악기 등
2) 국위선양
(1) 김제, 박인량, 김근의 시문을 모아 <소화집>을 간행함
(2) 의천; 혜인사에 화엄경각을 짓고, 불교 전파
3) 거란, 여진, 일본과의 물자교류
(1) 거란, 여진; 식량, 문방구, 동, 철 등을 주고 은이나 모피, 말 등을 가져옴
(2) 일본; 감귤, 진주, 수은, 칼, 말 등을 가지고 와서 문방구, 서적, 식량을 가져감
⇒ 여진과 일본은 항상 식량부족으로 우리나라에서 수입해갔으며 이는 우리의 농업 자급자 족 정도가 높았다는 것을 말해줌
4) 아라비아 상인과의 물자교류; ‘코리아’라고 부름
(1) 수입; 수은, 향료, 약품 등
(2) 수출; 은, 비단 등
4. 신분 계급 구조
1) 양인; 노비나 부곡민을 제외한 모든 주민, 교육과 관직의 기회를 줌, 양인과 노비 사이 의 통혼을 금하여 노비 세습제 유지함
2) 음서제도; 5품 이상의 관리의 친속에게 한해 자동으로 관리가 될 수 있는 특권 부여 → 문벌가문의 형성
3) 기타
(1) 남반; 궁궐 잡무 담당
(2) 기술관료; 잡과를 통해 출세
(3) 군반씨족; 직업군인
(4) 지방의 향리층
4) 성씨집단의 확산; 양인이 공민으로서 출세하려면 성씨가 있어야 함 → 공민층이 넓어짐
5) 백정; 농민 중에서 특정한 직역을 갖지 않은 사람
6) 향, 소, 부곡, 장, 처, 진, 관, 역 주민들; 농사일, 수공업, 뱃사공, 숙박업 등에 종사, 어 간, 염간, 목자간, 봉화간 등에 종사 → 신량역천 계층, 공민으로서의 권리 행사 할 수 없음
7) 노비; 고려사회의 최하층, 매매, 상속, 양여의 대상, 공민의 자격이 없는 비자유민, 노비 끼리 결혼하고 부모 중 한편이 노비인 경우 그 자손도 노비가 됨
(1) 노(남자), 비(여자)
(2) 공노비; 국가에 소속, 60세가 넘으면 역 면제
① 공역노비; 관청 소속
② 외거노비; 따로 독립해서 농사를 지어 조를 바침
(3) 사노비; 개인이 소유
(4) 사원노비; 사찰에서 소유
8) 기타; 화척, 재인, 양수척, 기생 → 거란족이나 여진족 출신이 많았음(전쟁포로나 투항 해온 사람들)
< 거란과의 전쟁과 송과의 관계 >
1. 거란과의 전쟁(993~1019)
1) 거란과의 제1차 전쟁(성종 12. 993)
(1) 소손녕이 수십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 서희 → 압록강까지 영토로 만드는데 성공
2) 거란과의 제2차, 제3차 전쟁(현종 원년; 1010, 현종 9년; 1018)
(1) 제2차 전쟁; 거란이 강동 6주를 요구하며 침입, 현종의 입조 조건으로 물러갔으나 현 종은 거란에 입조하지 않음
(2) 제3차 전쟁; 소배압이 10만 거란군을 이끌고 침입, 강감찬 귀주대첩 승리
2. 송과의 문화교류와 국위선양
1) 송과의 문화교류
(1) 국신사; 송과 대등한 국가의 사신으로 극진히 대우
(2) 벽란도와 항주를 연결하는 해상로가 주요 교통로임
(3) 수출; 금, 은, 동, 인삼 등의 원료품과 금은세공품, 종이, 책, 붓, 먹 등의 문방구와 부 채, 화문석 등
(4) 수입; 비단, 책, 자기, 약재, 향료, 악기 등
2) 국위선양
(1) 김제, 박인량, 김근의 시문을 모아 <소화집>을 간행함
(2) 의천; 혜인사에 화엄경각을 짓고, 불교 전파
3) 거란, 여진, 일본과의 물자교류
(1) 거란, 여진; 식량, 문방구, 동, 철 등을 주고 은이나 모피, 말 등을 가져옴
(2) 일본; 감귤, 진주, 수은, 칼, 말 등을 가지고 와서 문방구, 서적, 식량을 가져감
⇒ 여진과 일본은 항상 식량부족으로 우리나라에서 수입해갔으며 이는 우리의 농업 자급자 족 정도가 높았다는 것을 말해줌
4) 아라비아 상인과의 물자교류; ‘코리아’라고 부름
(1) 수입; 수은, 향료, 약품 등
(2) 수출; 은, 비단 등
추천자료
신라말의 교종과 선종에 대한 고찰
약술과 논술
역사는 과거와현재의끊임없는 대화
드라마 태조왕건 분석, 드라마 기획의도, 배역, 인물간의 갈등
(수험자료) 국사 핵심요약 정리 서브노트
대전의 역사
[경주][경주답사][경주기행문][답사][기행문]경주 답사 기행문(경주와 신라 개관, 경주의 연...
(이익공 3D작업)경주 답사 기행문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배경
[시대구분][시대구분의 의의][시대구분의 내용][시대구분의 문제점][시대구분의 과제][역사][...
[한국고대][고대국가][고대사회][고대신화][고대도서관][한국고대국가][한국고대사회][한국고...
한국도서관사
9급 공무원 시험대비 국사핵심요약정리 (01~84) - 한국사 핵심정리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