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영토 마케팅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들레영토 마케팅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들레 영토는?

2. 환경분석
1) 3C
2) SWOT 분석

3. STP

4. 4P

5. 마케팅 전략

6. 민토의 성과

7. 생각해 볼 문제 - 시사점 및 향후 발전 전략

본문내용

의 다양함으로 어필을 했지만 과연 이러한 전략으로 40대와 50대에게 접근하여 그들에게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차세대 20대와 30대에게도 통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더구나 저출산으로 점점 젊은이의 숫자가 줄고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민들레 영토’가 제공하는 서비스만으로는 향후 전망이 그리 밝은 편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 현재 민토의 취약점
▶ 주고객층이 20,30대에 국한되어 있고
인지도에서도 유명 커피 전문점에 비해 떨어진다는 문제점 발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로열티를 높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 발전 전략
a. 브랜드 인지도
-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PPL 을 쓴다. 예를 들어 논스톱에 등장하는 대학들
이 민토에서 토의를 하고 데이트를 하고 영화도 보고 등등 그런 모습을 보여준다. 영화
속의 장면으로 나와도 좋겠다
- 민토의 홈페이지를 본격적인 대중화와 인지도 상승을 위해 활성화 한다.먼저 홈페이
지에 대학생 세미나 스터디 자료실을 운영. 해피 캠퍼스 같은 스타일의 컨텐츠를 확보
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대학생들이 홈페이지를 접속하고 자료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민토의 인지도를 높인다.
b. 브랜드 로열티
- 민토카드 : 고객에게 제공되는 민토카드는 마일리지 카드로서 적립도 되고 할인 혜택도 줌으로써 재구매를 통한 로열티를 높인다.
- 민토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 : 각층의 테마가 있는 문화 공간을 특성화한다.
→ 민토 대학로점에서 영화 시사회 장소로 제공, 어떤 지점에서는 예술영화를 정기적
으로 상영하고, 각 대학의 연극 동아리의 공연장으로 쓰일 수 있게 한다. 전국으로
의 민토의 인지도 창출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c. 제품 품질
민토가 제공하는 음식은 양식위주의 메뉴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소비자가 느끼는 민토의
개선점으로 음식의 질 향상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는 방법으로 고객이 원하는 음식에 대한 메뉴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new 메new’ 페스티발
: 고객이 직접 만든 창의적인 음식경연대회를 개최하여 고객들이 직접 맛을 보고 상을 수여하는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수상작을 정식 메뉴로 채택한다. 정기적으로 이러한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고객이 참여할 수 있고, 고객이 원하는 음식도 새로이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d. 브랜드 연상화
민토가 컨셉으로 잡고 있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이다. 민토란 브랜드를 들으면 ‘어머니의
사랑’이란 추상적 개념이 느껴질 수 있게 하기위한 프로모션 전략을 수립한다.
- 브랜드 연상화를 높이기 위해 어버이날 또는 어머니날 이벤트로서 당일 부모님과 함께 방문했을 경우 효도 쿠폰을 제공하고 어머니의 사랑을 느낄 수 있게끔 무한 서비스를 한다. 이를 통해 볼 수 있는 효과는 어머니 세대들까지 민토를 인식하게 하여 연령대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겠다.
e. 제3의 브랜드 자산
- 민토 베이커리
: 넓은 공간을 요하는 민토가 수익성을 낼 수 있을 정도의 거점위치를 선정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제약으로 전국적인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수
도권과 주요도시에만 위치한 민토를 전국적인 브랜드로 인지시키기 위한 유통전략으로
서 ‘민토 베이커리’를 서브브랜드로 만들어서 전국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고, 인지도를
모브랜드인 민들레 영토로 연계시킨다.
(2)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하여~!
국산 브랜드인 두타, 미샤 등 중소기업 규모 사업체의 해외진출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민들레 영토’도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중국 북경점은 오픈 할 예정이다. 하지만 ‘민들레 영토’는 아직 국내에서도 확실한 브랜드 로열티는 물론 ‘두타’나 ‘미샤’만큼의 국내에서 브랜드 인지도조차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해외시장으로의 진출하려는 지금은 시점이 적절치 않다는 생각이다. 해외시장에 진출한다면 해외에서 사업을 벌이기 위한 자본을 아직 국내에서도 미흡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진 ‘민들레 영토’가 제대로 지원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다. 또한 진출하려는 시장도 정서가 비슷한 아시아의 경우는 어느 정도의 호응을 점칠 수 있겠지만, 개인주의가 팽배해 있는 서양문화에서 과연 얼마만큼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자본을 들여가면서까지 지금 꼭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려는 것은 용기 있지만, 무모한 도전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무에서 유를 창조한 지소장의 과거 업적을 생각해 보았을 때, 해외시장진출은 이루어 질 것이고 이를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 main concept
- 어머니의 사랑 = 고객에 대한 사랑
어머니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다 퍼주는 최고의 서비스로 승부한다.
■ 발전 전략
a. 차별화 전략 - 지역 문화를 반영한 별로 메뉴 및 인테리어의 차별화
예) * 메뉴 - 민토에서 제공되는 무료서비스인 빵과 컵라면을 지역별로 차별화
→ 뉴욕 : 핫도그, 북경 : 만두
- 세트메뉴 출시
→ 뉴욕 : 민토웰빙세트(비즈니스맨들을 위한 패스트푸드로서 건강도
고려하여 구성된 점심식사용 메뉴),
북경 : 민토 차 세트(차 문화가 발달한 시장 환경을 고려하여 제일 즐겨
마시는 3종류의 전통차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
* 인테리어 - 자신들과는 다른 문화에 대한 동경심이 있는 경향을 이용
→ 서양 : 오리엔탈 분위기
동양 : 유럽 스타일 분위기
b. 표준화 전략 - 최고의 서비스와 새로운 문화공간의 제공
* ‘어머니’같은 지점장
: 어머니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느껴지게 하기 위하여 지점장을 우리의 어머니
처럼 푸근함이 느껴지는 사람으로 채용한다.
* 다양한 차의 종류
: ‘이 세상의 모든 차는 다 맛있다’라는 motto아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게끔 동양과
서양의 차를 다양하게 제공한다.
* 민토 체험단
: 거주 한국인으로 구성된 민토 체험단을 선정하여 진출 초기에 많은 서비스를 제공함으
로써 구전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한다.
* 쿠폰의 활성화
: 진출 초기 초대권과 같은 쿠폰을 제공함으로써 첫 방문을 유도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5.15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