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통의 진단적 접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양의학적 흉통의 분류
2. 한의학적 흉통의 분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깊은)호흡이나 기침시 심해진다
심혈관계 흉통 또는 식도인성 흉통
흉막성 또는 흉벽성 심통
↓ yes ↘ no
고정된 압통점이 있는지 확인하고(눌러봄) 물어
본다.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러나, 간단한 심전도가 필수적이며 이를 먼저 권하는 것이 옳다.)
↓ ↓
↓yes ↘ no ↓ 연하곤란 및 심전도나
흉벽성 심통으로서
골절 및 근육의 염좌
나 파열을 확인한다.
흉막성 심통으로서
호흡기계 제질환을
의심해본다.
↓ 흉부 X-ray 상 문제가
↓no 없다면 식도성 흉통으로
기타 질환들(TOS나 신 경성 흉통 등)을 의심해본다.
↓ 진단이 가능하다

만약에 심전도상에 문제가 있거나 흉부 X-ray상에 대동맥 확장등이 보이면 심장성 제 질환을 의심하여, 각 의심되는 질환에 맞게 질문해본다. 그러나 이는 로컬에선 의미가 크지 않을 듯 하다.
Ⅳ. 참고문헌
1. Merck Research Laboratories, 머크 매뉴얼, 한우리, 2002.
2. 허준, 동의보감, 법인문화사, 2002.
3. 김광진, 김영규, 김창주, 박사훈, 한희철, 인체생리학, 정문각, 2002.
4. Barbara bates, 건강 진단법, 고려의학, 1994.

키워드

흉통,   진단,   방법

추천자료

  • 가격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5.1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