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검토의 필요성
Ⅱ. 설화의 교육적 의의
Ⅲ. ‘화왕계’의 문학적 가치
Ⅳ. ‘화왕계’ 지도 방법 검토
- 참고문헌 -
- 부록 -
♣4-2국어. 말하기․듣기․쓰기. 넷째마당
♣4-2 국어. 교사용 지도서. 참고자료(243쪽)
♣삼국사기 원문
Ⅱ. 설화의 교육적 의의
Ⅲ. ‘화왕계’의 문학적 가치
Ⅳ. ‘화왕계’ 지도 방법 검토
- 참고문헌 -
- 부록 -
♣4-2국어. 말하기․듣기․쓰기. 넷째마당
♣4-2 국어. 교사용 지도서. 참고자료(243쪽)
♣삼국사기 원문
본문내용
之海面 沐春雨以去垢 快淸風而自適 其名曰薔薇 聞王之令德 期薦枕於香 王其容我乎
又有一丈夫 布衣韋帶 戴白持杖 龍鍾而步 而來曰 僕在京城之外 居大道之旁 下臨蒼茫之野景 上倚嵯峨之山色 其名曰白頭翁. 竊謂左右供給雖足 膏梁以充腸 茶酒以淸神 巾衍儲藏 須有良藥以補氣 惡石以 毒. 故曰雖有絲麻 無棄管 . 凡百君子 無不代 不識 王亦有意乎
或曰 二者之來 何取何捨
花王曰 丈夫之言 亦有道理 而佳人難得 將如之何 丈夫進而言曰 吾謂王聰明識理義 故來焉耳 今則非也. 凡爲君者 鮮不親近邪 疎遠正直. 是以孟軻不遇以終身 馮唐郞潛而皓首 自古如此 吾其奈何 花王曰 吾過矣. 吾過矣
於是 王愁然作色曰 子之寓言 誠有深志, 請書之 以爲王者之戒 遂擢聰以高秩
신문대왕이 한 여름에 높고 밝은 방에 거처하면서 설총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오늘은 오랫동안 내리던 비가 처음으로 그치고 향기로운 바람이 살랑살랑 부니 비록 좋은 반찬과 애처로운 음악이 있더라도 고상한 말과 좋은 웃음거리로써 울적한 회포를 푸는 것만 같지 못하다. 그대는 틀림없이 기이한 이야기를 들은 것이 있을 것이니 나를 위해서 이야기 해주지 않겠는가?"
설총이 말하기를 "예, 신이 들으니 옛날 화왕이 처음 전래하였을 때 이를 향기로운 정원에 심고 비취색 장막을 둘러 보호하자 봄 내내 그 색깔의 고움을 발산하니 온갖 꽃을 능가하여 홀로 빼어났습니다. 이에 가까운 곳과 먼 곳에서 아름답고 고운 꽃들이 달려와 찾아 뵙고 오직 자기가 뒤질까 걱정하지 않는 자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한 아리따운 사람이 나타났는데 붉은 얼굴에 옥같이 하얀 이빨에, 얼굴을 곱게 단장하고 예쁜 옷을 입고 하늘거리며 와서 천천히 다가서며 말하였습니다. '첩은 눈처럼 흰 모래를 밟고 거울처럼 맑은 바다를 대하면서 봄비에 목욕을 하여 때를 벗기고 맑은 바람을 쏘이며 스스로 즐기는 장미인데, 왕의 아름다운 덕을 듣고 향기로운 휘장 속에서 잠자리를 모실까 하오니 왕께서는 저를 받아 주시겠습니까?'
또 한 대장부가 있어 베옷을 입고 가죽 띠를 둘렀으며, 흰 모자를 쓰고 지팡이를 짚고 노쇠하여 비틀거리며 굽어진 허리로 걸어와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저는 서울 성 밖의 큰 길 가에 살면서 아래로는 넓은 들 경치를 바라보고, 위로는 뾰죽히 높다란 산에 기대어 사는 백두옹이라 합니다. 생각하옵건대 좌우에서 공급하는 것이 비록 풍족하여 기름진 음식으로 배를 채우고 차와 술로 정신을 맑게 하고 옷장에 옷을 가득 저장을 하고 있더라도 반드시 좋은 약으로 기운을 북돋우고 아픈 침으로 독을 없애야 합니다. 그러므로 비록 실을 만드는 삼이 있더라도 띠를 버릴 수 없다고 합니다. 무릇 모든 군자는 어느 세대나 없지 않으니 모르겠습니다만 왕께서도 그러한 뜻이 있으신지요?'
그때 어느 사람이 말하기를 '두 사람이 왔는데 누구를 취하고 누구를 버리겠습니까?' 하였습니다.
화왕이 말하기를 '장부의 말에도 합당한 것이 있으나 아름다운 사람은 얻기 어려운 것이니 이를 어떻게 함이 좋을까?' 하니 장부가 다가가 말하였습니다. '저는 왕께서 총명하셔서 이치와 옳은 것을 알 것으로 생각하여서 왔는데 이제 보니 그것이 아닙니다. 무릇 임금된 자가 사특하고 아첨하는 자를 친근히 하고 정직한 사람을 멀리하지 않음이 드뭅니다. 이런 까닭에 맹가가 불우하게 몸을 마쳤고, 풍당은 낮은 낭중 벼슬에 묶여 늙었습니다. 옛부터 이러하니 저인들 이를 어찌하겠습니까?' 화왕이 말하기를 '내가 잘못 하였구나! 내가 잘못 하였구나!' 하였답니다."
이에 왕이 슬픈 얼굴빛을 지으며 말하기를 "그대의 우화의 말 속에는 실로 깊은 뜻이 있으니, 청컨대 이를 글로 써서 임금된 자의 교훈으로 삼도록 하라." 하고 드디어 설총을 발탁하여 높은 벼슬을 주었다.
又有一丈夫 布衣韋帶 戴白持杖 龍鍾而步 而來曰 僕在京城之外 居大道之旁 下臨蒼茫之野景 上倚嵯峨之山色 其名曰白頭翁. 竊謂左右供給雖足 膏梁以充腸 茶酒以淸神 巾衍儲藏 須有良藥以補氣 惡石以 毒. 故曰雖有絲麻 無棄管 . 凡百君子 無不代 不識 王亦有意乎
或曰 二者之來 何取何捨
花王曰 丈夫之言 亦有道理 而佳人難得 將如之何 丈夫進而言曰 吾謂王聰明識理義 故來焉耳 今則非也. 凡爲君者 鮮不親近邪 疎遠正直. 是以孟軻不遇以終身 馮唐郞潛而皓首 自古如此 吾其奈何 花王曰 吾過矣. 吾過矣
於是 王愁然作色曰 子之寓言 誠有深志, 請書之 以爲王者之戒 遂擢聰以高秩
신문대왕이 한 여름에 높고 밝은 방에 거처하면서 설총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오늘은 오랫동안 내리던 비가 처음으로 그치고 향기로운 바람이 살랑살랑 부니 비록 좋은 반찬과 애처로운 음악이 있더라도 고상한 말과 좋은 웃음거리로써 울적한 회포를 푸는 것만 같지 못하다. 그대는 틀림없이 기이한 이야기를 들은 것이 있을 것이니 나를 위해서 이야기 해주지 않겠는가?"
설총이 말하기를 "예, 신이 들으니 옛날 화왕이 처음 전래하였을 때 이를 향기로운 정원에 심고 비취색 장막을 둘러 보호하자 봄 내내 그 색깔의 고움을 발산하니 온갖 꽃을 능가하여 홀로 빼어났습니다. 이에 가까운 곳과 먼 곳에서 아름답고 고운 꽃들이 달려와 찾아 뵙고 오직 자기가 뒤질까 걱정하지 않는 자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한 아리따운 사람이 나타났는데 붉은 얼굴에 옥같이 하얀 이빨에, 얼굴을 곱게 단장하고 예쁜 옷을 입고 하늘거리며 와서 천천히 다가서며 말하였습니다. '첩은 눈처럼 흰 모래를 밟고 거울처럼 맑은 바다를 대하면서 봄비에 목욕을 하여 때를 벗기고 맑은 바람을 쏘이며 스스로 즐기는 장미인데, 왕의 아름다운 덕을 듣고 향기로운 휘장 속에서 잠자리를 모실까 하오니 왕께서는 저를 받아 주시겠습니까?'
또 한 대장부가 있어 베옷을 입고 가죽 띠를 둘렀으며, 흰 모자를 쓰고 지팡이를 짚고 노쇠하여 비틀거리며 굽어진 허리로 걸어와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저는 서울 성 밖의 큰 길 가에 살면서 아래로는 넓은 들 경치를 바라보고, 위로는 뾰죽히 높다란 산에 기대어 사는 백두옹이라 합니다. 생각하옵건대 좌우에서 공급하는 것이 비록 풍족하여 기름진 음식으로 배를 채우고 차와 술로 정신을 맑게 하고 옷장에 옷을 가득 저장을 하고 있더라도 반드시 좋은 약으로 기운을 북돋우고 아픈 침으로 독을 없애야 합니다. 그러므로 비록 실을 만드는 삼이 있더라도 띠를 버릴 수 없다고 합니다. 무릇 모든 군자는 어느 세대나 없지 않으니 모르겠습니다만 왕께서도 그러한 뜻이 있으신지요?'
그때 어느 사람이 말하기를 '두 사람이 왔는데 누구를 취하고 누구를 버리겠습니까?' 하였습니다.
화왕이 말하기를 '장부의 말에도 합당한 것이 있으나 아름다운 사람은 얻기 어려운 것이니 이를 어떻게 함이 좋을까?' 하니 장부가 다가가 말하였습니다. '저는 왕께서 총명하셔서 이치와 옳은 것을 알 것으로 생각하여서 왔는데 이제 보니 그것이 아닙니다. 무릇 임금된 자가 사특하고 아첨하는 자를 친근히 하고 정직한 사람을 멀리하지 않음이 드뭅니다. 이런 까닭에 맹가가 불우하게 몸을 마쳤고, 풍당은 낮은 낭중 벼슬에 묶여 늙었습니다. 옛부터 이러하니 저인들 이를 어찌하겠습니까?' 화왕이 말하기를 '내가 잘못 하였구나! 내가 잘못 하였구나!' 하였답니다."
이에 왕이 슬픈 얼굴빛을 지으며 말하기를 "그대의 우화의 말 속에는 실로 깊은 뜻이 있으니, 청컨대 이를 글로 써서 임금된 자의 교훈으로 삼도록 하라." 하고 드디어 설총을 발탁하여 높은 벼슬을 주었다.
추천자료
국어 지도안 (7학년(중1) 국어 1학기 1. 문학의 즐거움)
국어 지도안 (6 . 문학과 독자(중학교 국어 1-2))
국어 지도안 (중학교1-1 국어 1. 문학의 즐거움(2)아버지의 유물)
[국어수업지도안] 국어 지도안 - 문학의 수용과 창작
[국어 임용고시]교학사 문학 (상)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국어 임용고시]교학사 문학 (하)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국어과 교육II - 문학 교육
국어 교과 교재 - 국어 교육에서의 문법과 문학
중등(중학교) 국어교육(국어과)의 문학중심 읽기지도와 작문지도, 중등(중학교) 국어교육(국...
[초등학교 국어교육]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말하기교육과 글쓰기교육, 초등학교 국어과(...
【국어교과서 수록】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국어 7학년 2학기 단원2 문학의 아름다움
교과서 분석 중1-1 국어 3단원 (문학과 의사소통) [학습목표 분석 및 평가][텍스트 분석 및 ...
[국어과교육]5-6학년 문학 영역의 내용과 교과서와의 연관 (문학 영역의 내용체계, 5학년 6학...
<중학교 국어과 본시수업안-학습지도안> 1. 문학의 즐거움 <강아지 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