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과학교육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유아과학교육의 의의
1. 유아과학교육의 정의
1) 과학
2) 유아과학교육
3) 현대 유아 과학교육의 정의
2. 유아의 중요성
3. 유아과학교육의 필요성(Lorton과 Walley)

Ⅱ. 유아발달과 과학

Ⅲ. 과학영역과 환경구성
1. 실내 환경구성
2. 실외 환경구성
3. 유아과학활동의 자료와 도구

Ⅳ. 과학영역의 발달에 따른 연령별 놀이지도
1. 연령별 신체, 사회성, 정서, 언어, 인지발달
2. 연령별 놀이지도

Ⅴ. 유아 과학교육의 내용
1. 유아 과학 교육의 목표(Roche 1964)
2. 유아 과학 교육의 내용(Leeper와 동료들)
3. 우리 나라 제 6차 유치원 교육 탐구 생활 영역의 내용

Ⅵ. 과학영역의 응용
1. 문학적 접근을 통한 유아 과학 교육
2. 구성주의와 유아 과학 교육
3. 외국 유아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본문내용

각하 니?')
(2)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사물에 행위를 가하기
('너는 ----을 할 수 있니?')
(3) 어떠한 방법에 의해 원하는 결과가 일어났는지 인식하기
('너는 ----어떻게 했니?')
(4) 결과의 원인을 설명하기
('나는 ----가 왜 일어났는지 궁금해?')
위의 질문은 생각과 관찰을 상호교환하고 어린이의 실험적 태도를 촉진하도록 하므로 사물과 더불어 하는 놀이의 질도 강화될 수 있다.
원리 Ⅲ : 물리적 지식활동을 할 때 발달의 모든 측면을 통합한다.
물리적 지식에 관계된 활동을 함으로써 어린이는 그들의 고정된 생각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사고를 확장한다. 사물을 분류, 비교하고, 반응에 대한 예측을 통해 논리적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전체적 인 발달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다양한 물리적 활동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한다.
라. 활동 이후
활동하는 동안 어린이들은 물체를 가지고 무엇인가 바쁘게 활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 주도적인 언어화와 토의는 축소되어야 하며 짧아져야한다. 그러나 활동 후 어린이는 그들이 무엇을 했나, 무엇을 발견했나, 원하는 결과를 어떻게 얻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활동 후 혹은 간식 시간에 토의하는 것이다. 토의에 유용한 질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빨대를 한 개 대신 두 개를 가지고 불 때 무슨 일이 일어났지?
(2) 빨대를 반듯하게 가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했지?
(3) 진자를 묶었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났지?
(4) 다음 번에는 무엇을 해보고 싶었니?
토의에서 중요한 것은 어린이들이 그들이 했던 일, 관찰했던 것, 다른 어린이가 발견한 것, 그들이 느낀 것에 대해 솔직하게 생각해 보는 것 - 성인이 듣기를 원하는 옳은 대답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 임을 또 다시 강조해둔다.
어떻게 반응했는가에 대한 어린이 자신의 주도성을 인식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3. 외국 유아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1) ESS(Elementary Science Study)
1960년대 교육개발센터에서 개발한 것이다. ESS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아동 중심의 활동이 될 것을 강조하여 활동의 선정이나 전개 과정에서 아동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하도록 한다. 따라서, 활동 전개의 기본 방향은 교사가 제안하더라도 구체적인 화롱의 전개 과정은 유아가 주도적으로 이끌어 간다.
2) SAPA(Science-A-Process Approach)
이 프로그램은 미국 과학진흥협회에서 개발한 것으로 과학의 내용보다 과정 기술의 활용과 발달을 강조한다.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은 오히려 다양한 과정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후, 수정된 SAPA II는 교사가 활동을 전개하는데 있어서 보다 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할 것을 강조하였다.
3) SCIS(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피아제 이론에 기초하여 개발한 유치원에서 6학년까지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12가지의 단원에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데, 각활동은 주개념과 하위개념 그리고 과학의 과정 기술이 통합되도록 되어 있다.
각 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교수 단계를 3단계로 제시하였는데, 이를 학습주기라고 부른다. 학습 주기의 단계는 탐색, 창안, 발견으로 이루어졌으나, 이후 SCIS II라는 이름으로 개정되면서 학습 주기의 개념도 달라져서 탐색, 개념, 적용으로 수정되었다.
4) Nuffield Science 5-13
영국의 Nuffield 재단 등에서 개발한 것으로 만 5세부터 13세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하는 경험과 연관지어 개념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활동을 전개할 것을 강조한다.
총 10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맑은 날에 볼 수 있는 것들 ·겨울 날 ·소리에 귀기울이기
·움직임 ·사물을 비교하기 ·사물 관찰하기 ·음식 만들기
·비오는 날 ·사물 관리하기
5) 물리적 지식 활동(Physical Knowledge Activity)
물리적 지식 활동은 Kamii와 DeVries가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하여 유아기에 적합한 과학 활동들을 구안하여 직접 실험 학교에서 적용해 본 것이다. Kamii와 DeVries는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자연 현상들에 관한 물리적 지식은 유아들이 직접 그 사물을 조작하고 다루어 봄으로써 나타나는 반응을 즉각적으로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된다고 하였다.
물리적 지식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사물의 움직임에 관한 활동 : 밀리, 굴리기, 미끄럼, 기울이기, 던지기, 떨어뜨리기, 불 기, 빨기, 흔들기, 빙빙 돌리기, 균형, 차기, 뛰어 오르기
·사물의 변화에 관한 활동 : 물에 녹이기, 물에 넣고 끓이기, 기름에 튀기기, 오븐에 굽 기, 얼음 얼리기
·사물의 특성에 관한 활동 : 물에 뜨는 것과 가라앉는 것, 확대경으로 보기, 메아리 만들 기, 체로 알갱이 쳐보기, 그림자 놀이
·기타 물리적 지식 학습을 위한 활동 : 거울놀이, 페인팅, 찍기, 악기 만들기, 자르기, 찢 기, 붙이기, 균형
참고문헌
유아과학교육 박정민 유연화 저 창지사(1999)
(생활과 환경중심의) 유아과학교육 신은수외 (1999)
유아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 이 경우 장혜순 조부경 김정준 저 창지사(1999)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 유아과학교육 정경원 저 학문사
(놀이를 통한 )과학학습 학지사 박윤배외(역)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이경우 이정환 창지사 (1989)
유아과학교육 김미경 양서원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김경미 저 창지사 (1997)
유아를 위한 과학활동 자료집 이은혜(1995)
인터넷자료
유아넷 http://www.yuanet.com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논문 http://www.yoochiwon.com/seoul/edu_child
아이들컴 http://www.aidul.com/default.asp
어린이 생활지도 연구원 http://www.yonsei.ac.kr/child/
김경미의 유아교육 http://sb.dpc.ac.kr/~kmkim/
  • 가격2,8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6.05.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