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정보화 시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21세기는 "정보화 사회"

2. 과학기술의 발달

3. 구체적인 정보화란 무엇인가?
3-1. 통신(Communicaton)의 발달
3-2. 전송속도의 발달 (통신의 발달)

4. 통신범위의 확대


5. 미래의 생활변화


6. 무엇이 변하는가?


7. 미래는 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


8. 미래를 위한 준비


9. 리포트를 쓰면서 느낀점


10. 관련사이트 및 참고문헌·자료

본문내용

713)
296,413
정보화인력
(전년대비증감)
344,704
(22,551)
361,939
(17,235)
383,655
(21,716)
418,184
(34,529)
453,730
(35,546)
490,028
(36,298)
145,325

922,165
(84,112)
956,825
(34,660)
1,004,156
(47,331)
1,103,058
(98,902)
1,220,892
(117,834)
1,363,903
(143,011)
441,738
자료: KISDI(1997) 정보통신산업발전종합계획
- 정보통신기기와 소프트웨어 산업은 활발하게 인력을 흡수하여 인력수요가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함
※ 정보통신서비스 산업의 경우에는 인력수요가 지금에 비해 크게 둔화되어 인력수요의 순증가는 없을 것으로 전망
- 2002년까지 정보통신기기 부문에서 약 15만4천명, 소프트웨어 부문에서 약 14만4천명의 인력 신규수요 창출이 전망됨
- IMF 구제금융에 따른 긴축정책과 정리해고의 영향을 받아 '98년과 '99년에는 고용규모 증가세의 대폭 둔화가 예상됨
※ 특히, 정보통신서비스 산업의 위축이 두드러져 '98년과 '99년 연속으로 고용규모가 감소
- 정보통신산업 전체적으로 2000년 이후부터나 인력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전망
<정보통신산업의 산업별 인력수요 전망: 기업 부문> (단위 : 명)
연도
정보통신서비스
정보통신기기
소프트웨어
전체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7,308
-2,284
-3,360
1,410
1,886
1,448
44,008
11,508
13,827
36,149
42,290
49,993
10,246
8,200
15,148
26,813
38,111
55,273
61,561
17,425
25,615
64,373
82,288
106,713
합계
('98-2002)
-899
153,767
143,545
296,413
자료: KISDI(1997) 정보통신산업발전종합계획
- 학사급 이상의 인력이 차지하는 부분이 9만2천여명으로 상대적으로 큰 편이며, 이는 정보통신분야의 중심인력이 중고급의 전문인력임을 뜻함
- 고졸인력 수요의 상당부분은 정보통신기기 분야의 생산인력이며 전문대졸 인력의 수요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정보통신산업의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단위: 명)
구분
고졸
전문대졸
학사
석사
박사
합계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41,337
10,554
14,353
37,801
46,402
57,451
6,761
2,302
3,573
7,932
10,242
13,468
11,967
4,080
6,808
16,360
22,381
31,080
1,434
471
845
2,176
3,107
4,481
61
17
36
103
155
233
61,561
17,425
25,615
64,373
82,288
106,713
누 계
('98~2002)
166,561
37,518
80,710
11,080
544
296,413
자료: KISDI(1997) 정보통신산업발전종합계획
다. 정보통신기술, 정보화와 여타 산업에의 파급효과
ㅇ정보통신산업은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반의 구축과 산업정보화를 통하여 그 자신은 물론 다른 모든 산업에서 생산 및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경쟁력 강화에 기여
- 미국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통한 정보화 촉진과 이에 따른 타 산업의 파급효과 결과 세계 제일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이른바 New Economy를 구가하게 됨
7. 미래는 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
(1) 과학의 발달은 신체장애의 많은 부분을 보완하여 준다.
- 전자동 휠체어 (신체장애의 보완)
- 인공 팔 / 다리 ( " )
- 눈으로 움직이는 컴퓨터 (컴퓨터 사용의 편리성 강화)
- 말로 움직이는 컴퓨터 / 말로 대답하는 컴퓨터( " )
(2) 신체의 장애가 더 이상 사회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되지 않는다.
- 육체노동의 감소 ( 자동화기계 / 로봇등이 위험하고 어려운 일을 대신 )
- 사회 시설의 획기적 개선
8. 미래를 위한 준비
1) 변화의 흐름
- 모든 것들이 한꺼번에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 과거 원시사회에서 현재의 문명사회가 되기까지 수천년 이상이 소요되었음.
- 현재의 변화의 속도는 과거에 비하여 급속히 빨라지고 있다.
9. 리포트를 쓰면서 느낀점.
ㅇ최근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구조조정과 기업 및 정부의 경영혁신을 통하여 다시 도약하기 위해서 정보화는 가장 효과적인 국가경영의 수단임
ㅇ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화 요소별로 균형적인 발전이 필수적이며 이에 적합한 정보통신산업으로부터의 공급지원이 중요
- 관련 산업기반이 미약한 정보화의 추진은 정보통신설비의 효과적인 운영 및 유지보수, 지속적인 추진력 확보 등에 있어 난관에 봉착
※ 과거 아날로그 이동통신에 대한 기술력이 없는 상태에서 시스템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음
- 정보통신산업은 정보화 추진을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21세기의 주력산업으로 발전해야 함
- 우리가 정보화를 위해 쓸 수 있는 자원의 제한성을 고려하여 자원의 풀(resource pool)을 최대한 활용하여 최대의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경제경영학적 인식이 중요.
ㅇ정보화의 균형발전 및 정보통신 산업과의 유기적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보화의 모든 요소에 대한 전문성과 정보통신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고루 갖추고 있는 전문부처가 필요하며 강력한 리더쉽과 추진력이 절실히 요구됨
관련사이트 및 참고 문헌
21세기는 "정보화 사회" http://pusanmilal.or.kr/M5/a3.htm
3. 구체적인 정보화란 무엇인가? 3-1. 통신(Communicaton)의 발달 2)통신의발달 http://tic.etri.re.kr/20C/20/6_1_1_0.html
6-1. 우리나라의 정보산업의 발달상황 참고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 부처의 조직개편방안 및 IMF 체제 극복을 위한 정보통신정책," 새정치국민회의 정보통신특별위원회, 「IMF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 정책 세미나」, '98. 1. 9에서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발표자료

키워드

경영,   경제,   사회,   분석,   기업,   전략,   사례,   정보화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5.2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