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두께는 약 2-3㎛이며, 투과성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엽록체의 구조는 엽록소를 함유하고 있는 부분인 grana와 엽록소가 없는 부분인 stroma로 구분되는데, 각각 광반응과 암반응을 담당하고 있다.
엽록체는 주로 녹색잎의 엽육세포에 들어 있으며, 어린 가지의 수피와 어린 과일에도 들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엽록소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본식물의 경우에는 엽록소 a(청록색)와 엽록소 b(황록색)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대개의 식물에서는 a와 b가 약 3:1의 비로 존재하고 있다. 다른 엽록소들은 극소량씩 함유되어 있거나 특정 식물에만 존재하고 있다.
정량분석 - 흡광도를 이용하여 물질의 양을 조사
정성분석 - 흡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350㎚에서 750㎚까지의 값을 조사
이렇게 분석방법을 2가지로 나뉜다.
흡광스펙트럼이란?
빨강색으로 갈수록 파장은 길어지고 파랑색으로 갈수록 파장은 짧아진다.
(파장이란 : 파동이 매질을 이동할때 마루와 마루 혹은 골과 골 사이의 간격. 파동의 길이)
흡수 스펙트럼은 이 파장에 따른 식물의 빛의 흡수율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잘보면 M자 비슷하게 되있는 것을 관측할 수가 있다.
다음 작용스펙트럼은 식물의 세포내 기관 즉 엽록체의 빛의 파장에 따른 광합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식으로는 흡수하는 빛이 많을수록 광합성은 많이 일어난다?
따라서 흡수스펙트럼과 작용스펙트럼의 그래프에서 흡수스펙트럼의 X값은 빛의 파장 Y값은 흡수율
작용스펙트럼의 X값은 빛의 파장 Y값은 광합성율
흡수율과 광합성율은 비례하기에 둘의 그래프는 일치한다고 보는 것이다.
★ 결과
Chl a 함량 (㎍/g) = (12.72×A663 - 2.58×A645) × 50
Chl b 함량 (㎍/g) = (22.88×A645 - 4.67×A663) × 50
Total Chl 함량 (㎍/g)) = (8.05×A663 + 20.3×A645) × 50
라는 식이 있다. Total Chl 함량에서 A663은 Chl a를 사용하고, A645는 Chl b를 사용한다.
우리 조의 결과를 보면,
Chl a : A427 = 0.111
A645 = 0.026
A663 = 0.072
Chl b : A453 = 0.097
A645 = 0.056
A663 = 0.051 이다.
따라서 Chl a 함량을 구하면,
Chl a = (12.72×0.072 - 2.58×0.026) × 50
= 42.438
Chl b = (22.88×0.056 - 4.67×0.051) × 50
= 52.155
Total Chl = (8.05×0.072 + 20.3×0.056) × 50
= 85.82
Chl a + Chl b = Total Chl 이지만
42.43 + 52.15 = 94.58 이렇게 나온다.
근데 85.82과 94.58은 약 10의 차이가 난다.
약간의 오차는 나는 값으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오차가 생기는 이유?
1) 스펙트럼 주위의 표면을 제대로 닥아주지 않아서...
2) TLC 과정에서, 엽록소를 제대로 모으지 않아서...
3) 피펩 사용 미숙...
엽록체는 주로 녹색잎의 엽육세포에 들어 있으며, 어린 가지의 수피와 어린 과일에도 들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엽록소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본식물의 경우에는 엽록소 a(청록색)와 엽록소 b(황록색)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대개의 식물에서는 a와 b가 약 3:1의 비로 존재하고 있다. 다른 엽록소들은 극소량씩 함유되어 있거나 특정 식물에만 존재하고 있다.
정량분석 - 흡광도를 이용하여 물질의 양을 조사
정성분석 - 흡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350㎚에서 750㎚까지의 값을 조사
이렇게 분석방법을 2가지로 나뉜다.
흡광스펙트럼이란?
빨강색으로 갈수록 파장은 길어지고 파랑색으로 갈수록 파장은 짧아진다.
(파장이란 : 파동이 매질을 이동할때 마루와 마루 혹은 골과 골 사이의 간격. 파동의 길이)
흡수 스펙트럼은 이 파장에 따른 식물의 빛의 흡수율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잘보면 M자 비슷하게 되있는 것을 관측할 수가 있다.
다음 작용스펙트럼은 식물의 세포내 기관 즉 엽록체의 빛의 파장에 따른 광합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식으로는 흡수하는 빛이 많을수록 광합성은 많이 일어난다?
따라서 흡수스펙트럼과 작용스펙트럼의 그래프에서 흡수스펙트럼의 X값은 빛의 파장 Y값은 흡수율
작용스펙트럼의 X값은 빛의 파장 Y값은 광합성율
흡수율과 광합성율은 비례하기에 둘의 그래프는 일치한다고 보는 것이다.
★ 결과
Chl a 함량 (㎍/g) = (12.72×A663 - 2.58×A645) × 50
Chl b 함량 (㎍/g) = (22.88×A645 - 4.67×A663) × 50
Total Chl 함량 (㎍/g)) = (8.05×A663 + 20.3×A645) × 50
라는 식이 있다. Total Chl 함량에서 A663은 Chl a를 사용하고, A645는 Chl b를 사용한다.
우리 조의 결과를 보면,
Chl a : A427 = 0.111
A645 = 0.026
A663 = 0.072
Chl b : A453 = 0.097
A645 = 0.056
A663 = 0.051 이다.
따라서 Chl a 함량을 구하면,
Chl a = (12.72×0.072 - 2.58×0.026) × 50
= 42.438
Chl b = (22.88×0.056 - 4.67×0.051) × 50
= 52.155
Total Chl = (8.05×0.072 + 20.3×0.056) × 50
= 85.82
Chl a + Chl b = Total Chl 이지만
42.43 + 52.15 = 94.58 이렇게 나온다.
근데 85.82과 94.58은 약 10의 차이가 난다.
약간의 오차는 나는 값으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오차가 생기는 이유?
1) 스펙트럼 주위의 표면을 제대로 닥아주지 않아서...
2) TLC 과정에서, 엽록소를 제대로 모으지 않아서...
3) 피펩 사용 미숙...
추천자료
(18종문학분석-수필) 산정무한
주파수대 파장분석
기기분석
페미니즘 영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개같은 날의 오후, 해피엔드
무향실험(무향실 안에 들어가서 진공청소기의 소음을 측정하고 분석해 )
주변국의 전력체계 및 기술발전 추이 분석
베이스 밴드와 브로드밴드의 전송기법 분석
존 스튜어트 밀 분석
[소리][소리의 성질][소리의 속성][소리의 발생][소리의 요소][소리의 인식원리][소리의 잔향...
[OLED Display 공학] AMOLED실험, Energy transfer현상의 심층적 분석실험
[무선 랜][무선LAN][랜]무선 랜(무선LAN)의 개요, 구성요소, 무선 랜(무선LAN)의 표준화규격,...
(A+) 인재경영 삼성전자의 인적자원관리 분석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나무 독후감 및 분석>> 나무 독후감,나무 독서감상문,나무 줄거리,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