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류독감 [鳥類毒感, pathogenic avian influenza]
Ⅱ. 조류독감 발생원인
1. 조류독감의 원인체
2. 양계장과 양돈장의 사육환경 현실과 구조적 문제점
3. 또 하나의 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철새
4. 변종 바이러스 위협
Ⅲ. 조류독감 증상
1. 동물에게 나타나는 주요 증상
2. 사람에게 나타나는 주요 증상
Ⅳ. 조류독감 현황
1. 조류에서의 유행 사례
2. 국내 조류독감 발생현황
3. 조류독감 발생 국가와 최초 확인 시점 ( 2003년 ~2004년 집계)
4. 조류독감 발생일지 (2003년 ~2004년 현황)
5. 해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현황(03년~05년 11월 1일 현재)
6. 동남아사아 발생 확산
7. 아시아에 이은 유럽 확산
Ⅴ. 조류독감 경로
1. 조류 독감의 주요경로
2. 더욱 자세한 세계 조류 독감의 경로
Ⅵ. 치료법 및 예방법
1. 치료법
2. 예방법
3. 식품의 안정성
Ⅶ. 조류 독감 감염사례
1. 국외 조류 독감 발생 사례
2. 국내 사례
Ⅷ. WHO의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대책
※ 참고사이트
Ⅱ. 조류독감 발생원인
1. 조류독감의 원인체
2. 양계장과 양돈장의 사육환경 현실과 구조적 문제점
3. 또 하나의 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철새
4. 변종 바이러스 위협
Ⅲ. 조류독감 증상
1. 동물에게 나타나는 주요 증상
2. 사람에게 나타나는 주요 증상
Ⅳ. 조류독감 현황
1. 조류에서의 유행 사례
2. 국내 조류독감 발생현황
3. 조류독감 발생 국가와 최초 확인 시점 ( 2003년 ~2004년 집계)
4. 조류독감 발생일지 (2003년 ~2004년 현황)
5. 해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현황(03년~05년 11월 1일 현재)
6. 동남아사아 발생 확산
7. 아시아에 이은 유럽 확산
Ⅴ. 조류독감 경로
1. 조류 독감의 주요경로
2. 더욱 자세한 세계 조류 독감의 경로
Ⅵ. 치료법 및 예방법
1. 치료법
2. 예방법
3. 식품의 안정성
Ⅶ. 조류 독감 감염사례
1. 국외 조류 독감 발생 사례
2. 국내 사례
Ⅷ. WHO의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대책
※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없었다
* 2월의 H7N7 유행 이후 83명의 환자가 추가로 확진되었으며 79례에서 결막염 증세를 보 였고, 13명은 가벼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을 보였다
* 2명의 농장 종업원의 가족 3명이 호흡기 증상을 보여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가능성을 보였으며 감염된 가금류 도축을 통해 전파가 차단되었다
<조류독감 발생시기>
3) 캐나다 조류독감 A/H7형 인체 감염 사례 (2004년 4월 5일)
캐나다 서남부의 British Columbia주에서 3월 13일 ~14일에 살처분에 참여했던 사람에게서 조류 인플루엔자 H7에 의한 첫 인체감염 사례가 발생하였다. 3월 13일 살처분 도중 부주의로 인해 눈을 통해 감염되었고, 3월 16일에는 결막염과 비루 증상을 보였다.
인플루엔자 A바이러스에 강한 효과를 보이는 항바이러스제제인 oseltamavir의 처치를 3월 18일에 시작하였다. 3월 30일에 캐나다 보건부는 이번 사례를 H7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짓고, 3월 31일 WHO에 이 사실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완전히 회복된 상황이다.
4월 2일에 WHO는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캐나다 서남부의 British Columbia주의 양계 종사자가 2번째로 감염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 농장 종사자는 감염된 조류와 접촉한 후 3월 25일에 결막염이 발생하였다. 그는 3월 25일 항바이러스제제를 투여 받은 후, 증상이 사라졌다. 캐나다 보건부에서 제공한 역학적 정보에 따라서 WHO는 오늘(2004년 4월 5일) 캐나다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를 0.1에서 0.2로 상향 조정했다.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는 각 지역의 역학적 상황을 기준으로 결정되는데 0.2단계는 신종 인플루엔자의 인체감염이 1건 이상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아시아에서는 H5N1형이라는 또 다른 인플루엔자에 의해 34명이 감염됐고, 그 중 23명이 사망하였다. 현재 아시아에서의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는 0.2로 변함이 없다.
1999년 WHO에서 발전한 ‘WHO Influenza 대유행 대비 계획’에서 대유행 대비 단계가 이미 구체화 되었다.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가 0.2로 상향되면, 관련국은 감염된 조류에 노출된 사람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한 특별한 연구를 실시하고, 위험군에게 보호구를 착용하며, 항바이러스제제 사용과 예방백신 주사 접종을 권한다.
WHO는 캐나다로부터 British Columbia주에서 발생한 H7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보고를 받았다.
H7 조류 인플루엔자의 대유행 대비 단계가 상향함에 따라 WHO는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하고, 진단 및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시행할 것이다.
4) 베트남(2004년 09월 09일)
WHO는 베트남에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는 인플루엔자 A H5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사망에 대해 비공식적인 보고를 받았다. 사망자는 남아로 추정되며, Hanoi에서 입원 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가적인 정보를 위해 공식적인 보고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인간에서의 인플루엔자 A H5 subtype 검출은 H5N1 strain의 조류 독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가금류에서의 H5N1 바이러스 유행이 진행 중일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H5 subtype 중에서는 유일하게 H5N1 strain이 인간에서의 감염을 일으킨 보고들이 있다.
올해 8월부터, 베트남에서는 4건의 H5 subtype에 의한 감염이 보고 되었다. 이 감염 건들은 아시아의 몇몇 국가에서 H5N1 유행이 진행 중인 와중에 발생하였다.
올해를 통틀어, 베트남과 태국에서 총 39 건의 조류 독감 바이러스 감염증이 보고 되었고, 그 중 28건은 치명적이었다.
2. 국내 사례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검사 결과 1차적으로 조류 인플루엔자(A/H5N1형)로 판명된 것이 첫 사례이다. 이번에 국내 발생한 가금인플루엔자의 혈청형은 고병원성인 H5N1형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발생지역 주민한테서 이상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후 12월 15일 인근 오리농장에도 조류 독감 발생 확인
※ 2001년 5월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오리가공육에서 동종 바이러스 검출
◎ 충북 음성 소재 농장에서 12월 5일~11일 간 19천 수의 닭 폐사.
◎ 국내 첫 발견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감염 예방을 위해 발생농가 반경 10내 지역의 농가 종사자, 살처분자, 현장조사요원 등 위험군에 대해 즉각적이고 대대적인 역학조사와 예방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인체 감염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음
◎ 잠정적으로 현재까지 완료된 위험군 지역의 역학조사와 병의원 일일감시 및 일일관찰
결과로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의한 사람의 감염을 의심할 만한 특이 사항은 나타나지 않았
다.
Ⅷ. WHO의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대책
* H7N7 사례가 발견된 국가는 사람과 닭, 칠면조, 돼지 등 감염 가능한 동물에 대한 인플
루엔자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조류인플루엔자(H7N7)에 대한 진단을 강화해야 함을 강조한 다
* H7N7에 감염된 가금류와 접촉한 농부들에게 항바이러스제(oseltamivir)의 예방적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
* H7N7에 감염된 가금류와 접촉한 사람은 호흡기 증상 및 증후에 대한 감시를 철저히 해
야하고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의사의 진찰과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 WHO global influenza surveillance network는 H7N7에 대한 진단키트를 개발하였다.
※ 참고사이트
국립수의과학검역원 http://www.nvrqs.go.kr/index.asp
주대한민국홍콩총영사관
농림부 http://www.maf.go.kr/index.jsp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http://www.okbangyok.org/
조류인플루엔자 http:// dis.cdc.go.kr
자유아시아방송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 2월의 H7N7 유행 이후 83명의 환자가 추가로 확진되었으며 79례에서 결막염 증세를 보 였고, 13명은 가벼운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을 보였다
* 2명의 농장 종업원의 가족 3명이 호흡기 증상을 보여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가능성을 보였으며 감염된 가금류 도축을 통해 전파가 차단되었다
<조류독감 발생시기>
3) 캐나다 조류독감 A/H7형 인체 감염 사례 (2004년 4월 5일)
캐나다 서남부의 British Columbia주에서 3월 13일 ~14일에 살처분에 참여했던 사람에게서 조류 인플루엔자 H7에 의한 첫 인체감염 사례가 발생하였다. 3월 13일 살처분 도중 부주의로 인해 눈을 통해 감염되었고, 3월 16일에는 결막염과 비루 증상을 보였다.
인플루엔자 A바이러스에 강한 효과를 보이는 항바이러스제제인 oseltamavir의 처치를 3월 18일에 시작하였다. 3월 30일에 캐나다 보건부는 이번 사례를 H7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짓고, 3월 31일 WHO에 이 사실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완전히 회복된 상황이다.
4월 2일에 WHO는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캐나다 서남부의 British Columbia주의 양계 종사자가 2번째로 감염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 농장 종사자는 감염된 조류와 접촉한 후 3월 25일에 결막염이 발생하였다. 그는 3월 25일 항바이러스제제를 투여 받은 후, 증상이 사라졌다. 캐나다 보건부에서 제공한 역학적 정보에 따라서 WHO는 오늘(2004년 4월 5일) 캐나다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를 0.1에서 0.2로 상향 조정했다.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는 각 지역의 역학적 상황을 기준으로 결정되는데 0.2단계는 신종 인플루엔자의 인체감염이 1건 이상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아시아에서는 H5N1형이라는 또 다른 인플루엔자에 의해 34명이 감염됐고, 그 중 23명이 사망하였다. 현재 아시아에서의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는 0.2로 변함이 없다.
1999년 WHO에서 발전한 ‘WHO Influenza 대유행 대비 계획’에서 대유행 대비 단계가 이미 구체화 되었다. 대유행 대비 및 대응 단계가 0.2로 상향되면, 관련국은 감염된 조류에 노출된 사람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한 특별한 연구를 실시하고, 위험군에게 보호구를 착용하며, 항바이러스제제 사용과 예방백신 주사 접종을 권한다.
WHO는 캐나다로부터 British Columbia주에서 발생한 H7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보고를 받았다.
H7 조류 인플루엔자의 대유행 대비 단계가 상향함에 따라 WHO는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하고, 진단 및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시행할 것이다.
4) 베트남(2004년 09월 09일)
WHO는 베트남에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는 인플루엔자 A H5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사망에 대해 비공식적인 보고를 받았다. 사망자는 남아로 추정되며, Hanoi에서 입원 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가적인 정보를 위해 공식적인 보고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인간에서의 인플루엔자 A H5 subtype 검출은 H5N1 strain의 조류 독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가금류에서의 H5N1 바이러스 유행이 진행 중일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H5 subtype 중에서는 유일하게 H5N1 strain이 인간에서의 감염을 일으킨 보고들이 있다.
올해 8월부터, 베트남에서는 4건의 H5 subtype에 의한 감염이 보고 되었다. 이 감염 건들은 아시아의 몇몇 국가에서 H5N1 유행이 진행 중인 와중에 발생하였다.
올해를 통틀어, 베트남과 태국에서 총 39 건의 조류 독감 바이러스 감염증이 보고 되었고, 그 중 28건은 치명적이었다.
2. 국내 사례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검사 결과 1차적으로 조류 인플루엔자(A/H5N1형)로 판명된 것이 첫 사례이다. 이번에 국내 발생한 가금인플루엔자의 혈청형은 고병원성인 H5N1형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발생지역 주민한테서 이상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이후 12월 15일 인근 오리농장에도 조류 독감 발생 확인
※ 2001년 5월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오리가공육에서 동종 바이러스 검출
◎ 충북 음성 소재 농장에서 12월 5일~11일 간 19천 수의 닭 폐사.
◎ 국내 첫 발견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인체감염 예방을 위해 발생농가 반경 10내 지역의 농가 종사자, 살처분자, 현장조사요원 등 위험군에 대해 즉각적이고 대대적인 역학조사와 예방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인체 감염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음
◎ 잠정적으로 현재까지 완료된 위험군 지역의 역학조사와 병의원 일일감시 및 일일관찰
결과로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의한 사람의 감염을 의심할 만한 특이 사항은 나타나지 않았
다.
Ⅷ. WHO의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대책
* H7N7 사례가 발견된 국가는 사람과 닭, 칠면조, 돼지 등 감염 가능한 동물에 대한 인플
루엔자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조류인플루엔자(H7N7)에 대한 진단을 강화해야 함을 강조한 다
* H7N7에 감염된 가금류와 접촉한 농부들에게 항바이러스제(oseltamivir)의 예방적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
* H7N7에 감염된 가금류와 접촉한 사람은 호흡기 증상 및 증후에 대한 감시를 철저히 해
야하고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의사의 진찰과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 WHO global influenza surveillance network는 H7N7에 대한 진단키트를 개발하였다.
※ 참고사이트
국립수의과학검역원 http://www.nvrqs.go.kr/index.asp
주대한민국홍콩총영사관
농림부 http://www.maf.go.kr/index.jsp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http://www.okbangyok.org/
조류인플루엔자 http:// dis.cdc.go.kr
자유아시아방송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추천자료
프레스코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그린피스
고마운 미생물
신종플루(SIV - 돼지인플루엔자: Swine Influenza Virus) 발생현황과 치료예방 및 대응방안
[신종플루]신종인플루엔자의 현황과 대응방안 -신종플루 증상과 예방, 신종인플루엔자로 인한...
신종플루에 관한 완전 정리
CJ CI 의 도입 의미
[신종플루]신종플루의 현황과 대응방안-신종플루로 인한 사회병리현상, 신종플루증상, 치료, ...
[미생물학]인플루엔자
로하스
비비큐 BBQ 기업분석과 BBQ SWOT분석 및 BBQ 새로운 전략제안및 나의견해정리 레포트
싱가폴(싱가포르) 호텔환경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