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J. Piaget (1896~1980)
1) 사회적 상호작용
2) 과학교육과 지식의 종류
3) 보존개념
4) 평형화
5)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2. J. Bruner(1915~)
1) 발견학습
2) 학습의 준비도
3)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3. L. Vygotsky (1896~1934)
1) 자발적 개념과 과학적 개념
2) 근접발달지대
3) 교사의 역할 : 단계별지지(scaffolding)
4)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1) 사회적 상호작용
2) 과학교육과 지식의 종류
3) 보존개념
4) 평형화
5)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2. J. Bruner(1915~)
1) 발견학습
2) 학습의 준비도
3)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3. L. Vygotsky (1896~1934)
1) 자발적 개념과 과학적 개념
2) 근접발달지대
3) 교사의 역할 : 단계별지지(scaffolding)
4)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본문내용
구 수준으로 전이할 수 있다. 유아는 근접발달지대의 이동과 함께 과학교육에 대한 학습능력은 보다 복합적인 개념과 기술을 더하게 된다.
3) 교사의 역할 : 단계별지지(scaffolding)
근접발달지대 내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계별지지(scaffolding)는 Wood, Bruner, Ross(1976)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교사가 유아의 학습을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인지적인 지지의 특성과 종류를 나타내는 단계별 지지는 교사와 유아간의 공동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호간의 따뜻하고 즐거운 협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교사의 이상적이며 적극적 역할에 대해 은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Bruner(1985)는 교사가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유아의 반응에 따라 필요할 때만 도움을 주어야 하며, Rogoff(1990)는 대체적으로 유아는 성인의 도움을 따라야 하며 문제해결과 과업완성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즉, 교사는 과학활동이 새로운 것일 때 많은 도움을 주고 유아의 능력이 증가할수록 도움을 줄여 점차적으로 유아가 과학활동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됨으로써 유아의 자율성독립성책임감을 길러 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유아의 과학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적절하게 단계별 지지를 설정해 주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다.
4)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첫째, 유아의 발달단계에 국한하여 과학내용을 한정하지 않았다. 즉, 유아의 인지 수준에 따라서 과학교육을 일찍 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유아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과학적 개념을 이해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유아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세부지식을 중요시했다. 이 입장에 따르면 교사는 유아가 관심을 갖는 세부영역의 주제나 지식을 심도있게 쌓아 그 지식을 다른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힘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셋째, Vygotsky의 이론은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을 지지해 주고 있다. 교사는 근접발달지대 내에서 단계별 지지를 통하여 과학학습을 이끌어나가며 또래간 상호작용을 통한 협동학습을 중요시한다. Piaget의 입장보다 교사역할을 더욱 적극적으로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Vygotsky 이론에 의하면 교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심을 길러주기 위하여 유아의 사회문화 환경을 활용한 과학시설 등의 견학을 통하여 과학개념을 촉진시켜 줄 필요가 있다.
3) 교사의 역할 : 단계별지지(scaffolding)
근접발달지대 내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계별지지(scaffolding)는 Wood, Bruner, Ross(1976)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교사가 유아의 학습을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인지적인 지지의 특성과 종류를 나타내는 단계별 지지는 교사와 유아간의 공동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호간의 따뜻하고 즐거운 협동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교사의 이상적이며 적극적 역할에 대해 은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Bruner(1985)는 교사가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유아의 반응에 따라 필요할 때만 도움을 주어야 하며, Rogoff(1990)는 대체적으로 유아는 성인의 도움을 따라야 하며 문제해결과 과업완성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즉, 교사는 과학활동이 새로운 것일 때 많은 도움을 주고 유아의 능력이 증가할수록 도움을 줄여 점차적으로 유아가 과학활동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됨으로써 유아의 자율성독립성책임감을 길러 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유아의 과학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적절하게 단계별 지지를 설정해 주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다.
4) 유아과학교육에의 시사점
첫째, 유아의 발달단계에 국한하여 과학내용을 한정하지 않았다. 즉, 유아의 인지 수준에 따라서 과학교육을 일찍 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유아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과학적 개념을 이해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둘째, 유아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의 세부지식을 중요시했다. 이 입장에 따르면 교사는 유아가 관심을 갖는 세부영역의 주제나 지식을 심도있게 쌓아 그 지식을 다른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즉,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뿐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힘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셋째, Vygotsky의 이론은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을 지지해 주고 있다. 교사는 근접발달지대 내에서 단계별 지지를 통하여 과학학습을 이끌어나가며 또래간 상호작용을 통한 협동학습을 중요시한다. Piaget의 입장보다 교사역할을 더욱 적극적으로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Vygotsky 이론에 의하면 교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심을 길러주기 위하여 유아의 사회문화 환경을 활용한 과학시설 등의 견학을 통하여 과학개념을 촉진시켜 줄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유아사회교육E형)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고찰
(유아사회교육B형)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가정학과 유아교육과정 공통3]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과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
[아동과학지도] 유아과학교육의 다양한 교수방법 네가지 중에서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바람직...
[유아교육사 보육] 심리학과 교육사상 -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의 기본개념...
[아동과학지도] 아동이 어떻게 과학을 학습해 나가는지 유아과학교육 이론을 비탕으로 사례를...
[아동과학지도] 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해 보세요 - ...
유아의 행복감에 따른 문제행동, 정서지능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아동수학지도] 과거의 수학교육과 최근의 수학교육의 장단점 비교 - 유아수학교육의 동향이 ...
[2018 교육과정]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을 유아교육에 실제로 적용한다면...
4차 산업이 이슈가 되고 있는 최근 유아수학교육의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수학교육의 내용 중...
유아음악교육)음악개념중심의 표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수학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