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도의 정의 및 경기종목
2. 역도의 체급 및 참가선수
3. 역도의 경기방법
4. 역도에서의 반칙
5. 시설 및 용구
6. 복 장
2. 역도의 체급 및 참가선수
3. 역도의 경기방법
4. 역도에서의 반칙
5. 시설 및 용구
6. 복 장
본문내용
3. 역도의 경기방법
선수는 용상과 인상의 2종목을 하여 그 합계 중량으로 순위를 정함
선수는 각 종목에 대하여 3회 시기를 할 수 있음
용상과 인상 중 어느 한 종목에 실패하였을 때는 실격
경기자는 제 2의 시기에 5kg 이상, 제 3시기에서는 2.5kg이상을 증가하지 않으면 안됨
만일 제 2시기에 있어서 2.5kg밖에 증가하지 못하였을 때는 그것을 마지막 시기로 봄
시기에 실패하였을 때 중량을 변경할 수 있으나 가벼운 중량으로는 변경할 수 없음
선수는 호명된 뒤 시기를 하기까지 5분간의 시간이 주어짐
후킹이라는 기술은 허용됨
모든 경기는 경기대 위에서 실시되어야 함
4. 역도에서의 반칙
어깨 높이의 최종 위치에 이르기까지 바가 몸통에 닿는 경우
팔의 윗부분이나 팔꿈치가 무릎이나 허벅지에 닿는 경우
팔꿈치를 뒤집기 전에 바를 가슴위에 놓는 행위
유리하게 하기위해 바를 고의적으로 진동시키는 행위
(젹(jerk)을 시작하기 전에는 완전히 부동상태가 되어야 함)
선수는 용상과 인상의 2종목을 하여 그 합계 중량으로 순위를 정함
선수는 각 종목에 대하여 3회 시기를 할 수 있음
용상과 인상 중 어느 한 종목에 실패하였을 때는 실격
경기자는 제 2의 시기에 5kg 이상, 제 3시기에서는 2.5kg이상을 증가하지 않으면 안됨
만일 제 2시기에 있어서 2.5kg밖에 증가하지 못하였을 때는 그것을 마지막 시기로 봄
시기에 실패하였을 때 중량을 변경할 수 있으나 가벼운 중량으로는 변경할 수 없음
선수는 호명된 뒤 시기를 하기까지 5분간의 시간이 주어짐
후킹이라는 기술은 허용됨
모든 경기는 경기대 위에서 실시되어야 함
4. 역도에서의 반칙
어깨 높이의 최종 위치에 이르기까지 바가 몸통에 닿는 경우
팔의 윗부분이나 팔꿈치가 무릎이나 허벅지에 닿는 경우
팔꿈치를 뒤집기 전에 바를 가슴위에 놓는 행위
유리하게 하기위해 바를 고의적으로 진동시키는 행위
(젹(jerk)을 시작하기 전에는 완전히 부동상태가 되어야 함)
추천자료
사회복지시설평가의 현실과 개선방안 (장애인 시설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시설]장애인복지와 장애인복지시설의 특징, 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
[시설재배학]시설재배 농가 현장방문과 경영진단 - 고추 시설재배 농장
시설장의 역할과 자신이 시설장이 되었을 경우 어떠한 시설장이 되고 싶은지 정리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확산, 평생교육기관(평생교육시설)의 정의...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운영(무료 및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
시설보호사업 - 아동보호시설의 종류 및 현황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질과 역할과 보육시설 운영 및 관리
보육시설측면에서 부모 측면에서 협력의 필요성을 생각해보고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
보육시설 종사자 -시설장의 역할과 자질,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기타 종사자의 역할, 보육...
장애인시설이 지역사회에 건립되려할 때마다 지역사회에서 반대하는 님비현상이 있는데 장애...
아동복지시설의 유형별 특징을 조사하고 각 시설별 장단점 및 보완할 점을 논하시오
일반적으로 한국 사회복지조직은 님비시설로 여겨진다. 사회복지 시설이 님비시설로 여겨지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