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본성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1. 과학의 기원과 발달
2. 과학의 정의

Ⅲ. 과학 지식
1. 과학 지식의 구성요소
2. 과학 지식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Ⅳ. 과학의 사회성
1. 과학의 내적 사회성
2. 과학의 외적 사회성

Ⅴ. 결론

본문내용

도 개인적인 책임만 지는 것이 상례였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대규모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외부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그 결과 과학자들은 국가나 사회의 통제하에 놓인 고용인이 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가장 많은 연구비를 지원하는 곳은 국방부이고, 국방부의 재정적 지원을 통하여 국가는 과학 연구의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대로 과학도 국가나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국가와 과학자들의 관계가 점점 밀접해짐에 따라 과학자가 국가 정책의 수립이나 제도의 개혁에 참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고, 직접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최근 개발에 따른 환경 파괴 문제가 자주 대두되고 있는데, 개발을 주장하는 정부에서는 환경 전문가의 견해를 앞세워 환경에 심각한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대로 보존을 주장하는 환경 단체도 환경 전문가를 앞세워 국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려고 한다.
Aikenhead와 Ryan(1993)은 학생들의 STS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기 위한 VOSTS 검사 도구에서 과학의 외적 사회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① 과학과 기술에 미치는 사회의 영향
정부(government)
산업(industry)
군(military)
윤리(ethics)
교육 기관(educational institution)
특수 이익 단체(special interest group)
과학자에 미치는 공공의 영향(public influence on scientist)
② 사회에 미치는 과학과 기술의 영향
과학자와 기술자의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technologist)
사회적 결정에의 기여(contribution to social decision)
사회적 문제의 유발(creation of social problem)
사회적·실제적 문제의 해결(resolution of social and practical problems)
경제적 복지에의 기여(contribution to economic well-being)
군사력에의 기여(contribution to military power)
사회적 사고에의 기여(contribution to social thinking)
Ⅴ. 결론
지금까지 과학의 본질 및 특성과 과학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관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과학을 과거의 전통적인 인식론인 경험주의와 실증주의로 바라보는 것과 현대적인 인식론으로 바라보는 것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이해는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구성원들이 과학의 본성과 역할 등에 대해 어떠한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는가는 과학을 이용하고 있는 사회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까지도 사회전반에 팽배해 있던 과학은 모든 종류의 학문들 중에서 가장 발달되고 합리적인 학문이라는 인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과학과 과학적 기술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 즉, 인간생활의 다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는 현실적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현대의 과학은 인간의 사고 활동을 포함한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에 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로 인해서 사회의 여러 면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첨단과학의 획기적인 발달과 과학적 기술의 혁신적인 개발은 그 영향과 변화를 가속심화시켰으며, 그에 따라서 오늘날의 사회는 첨단과학기술 사회로 일컬어지고 있다. 과학과 과학적 기술의 발달은 물질적 풍요로움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미적, 도덕적, 정의적 가치의 개발은 물론 심지어는 정치적 변화까지 보장한다는 생각을 낳았다. 이러한 사회 현상 때문에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과학과 과학적 기술의 긍정적인 측면만을 맹신하는 경향을 보이게 됐다. 이러한 맹목적 신념을 과학 철학자들은 과학주의(scientism)라고 불렀다. 과학주의는 과학적 인식을 최고의 인식의 방법으로 삼는 인식론적 입장으로 과학이야말로 인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주의이다. 과학주의는 단지 철학적 견해에 바탕을 둔 독단적인 주장이 아니라 사회적, 윤리적 가치에 대한 견해의 표현으로 과학과 과학적 기술의 본성에 대한 오해에 기인하여 과학의 특성을 잘못 인식하는 근원이 됐다.
그러나 과학의 발달과 과학적 기술의 개발이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과학과 과학적 기술은 인간본연의 생활을 침해하고 속박하며 인간을 소외시키는 문제를 수반하기도 한다. 특히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과학과 과학적 기술은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그 스스로 허구적 정체를 드러내게 되었다. 과학 지식은 반드시 절대적 진리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과학적 기술의 발달이 인류에게 물질의 풍요로움을 가져다주거나 복지를 향상시키는 유일한 방법도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한 과학적 방법만이 과학 지식을 얻기 위한 유일한 합리적 방법은 아니며 인간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지식이 형성되고 검증되는 방법을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하려는 경향은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결국 이러한 과학주의에 의해 현재는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가 없어져 버렸다고 말할 수 도 있다.
미래의 사회에서는 과거의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양날을 가진 칼과 같은 과학의 필요성이 더욱더 증대될 것이다. 과학을 이용하고 과학 활동을 하는 주체로서 현대의 사회 구성원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과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필요가 있다. 현대의 과학사학자들과 과학철학자들도 과학적 연구 및 탐구 방법이 지니는 특성이 과학사와 메타과학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바탕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과학, 기술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과학과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일상생활에서 과학과 기술을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일 것이다.
Ⅵ. 참고 문헌
1)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2) 조희형과 박승재(1994). 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6.0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2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