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덕과 교수의 학습 지도
1. 수업의 중점에 따른 분류
1) 사고형 자료 = 인지화 자료
2) 감동형 자료 = 심정화 자료
3) 행동형 자료
2. 자료의 형태에 따른 분류
1) 읽기 자료
2) 시각 자료
3) 청각 자료
4) 시청각 자료
Ⅱ. 이상적인 도덕적 교과서
1. 다가치(多價値) 사회에서 가치 판단력 신장을 위한 교과서
2. 정서적인 품성을 함양시키는 교과서
3. 학습자의 경험 세계와 연계를 가지는 교과서
4.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교과서
Ⅲ. 제 7차 교육좌정의 도덕과 교과서 체제와 활용
1. 초등학교
1) 도덕 교과서
2) 생활의 길잡이
2.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서
1) 편찬 방향
2) 활용상의 유의점
1. 수업의 중점에 따른 분류
1) 사고형 자료 = 인지화 자료
2) 감동형 자료 = 심정화 자료
3) 행동형 자료
2. 자료의 형태에 따른 분류
1) 읽기 자료
2) 시각 자료
3) 청각 자료
4) 시청각 자료
Ⅱ. 이상적인 도덕적 교과서
1. 다가치(多價値) 사회에서 가치 판단력 신장을 위한 교과서
2. 정서적인 품성을 함양시키는 교과서
3. 학습자의 경험 세계와 연계를 가지는 교과서
4.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교과서
Ⅲ. 제 7차 교육좌정의 도덕과 교과서 체제와 활용
1. 초등학교
1) 도덕 교과서
2) 생활의 길잡이
2.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서
1) 편찬 방향
2) 활용상의 유의점
본문내용
의 공부를 위하여’, 소단원 앞의 ‘생각할 문제’, 소단원 끝부분의 ‘연구 및 실천 과제;를 대폭 개선
③ 학생들의 실천 및 활동에 대해서 기록할 수 있는 난을 교과서에 포함, 즉 교과서 자체를 자료집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
④ 교과서 내에 가정과 연계하여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난을 마련
2) 활용상의 유의점
(1) ‘이 단원의 공부를 위하여’는 대단원이 도입글로서, 단원을 배우기 전에 단원의 취지와 목적을 다루었고, 특히 학습 과제 및 기대되는 학습 성과에 가장 역점을 두고 제시
(2) ‘본문’은 교과서의 주된 내용으로,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지적 내용과 정의 내용으로 구성, 특히 새 교과서는 본문 진술 내용을 양적으로 축소, 실감 있는 사례 중심으로 구성, 감동을 줄 수 있는 사례들을 추가로 많이 준비하도록 함
(3) ‘명언’ 또는 ‘명구’는 제재 수준에서 1개씩 제시하였는데, 학생들에게 좌우명이 될 수 있도록 암기시킴은 물론, 학습 내용을 보충 심화 확대시키는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자체 조사 및 관련되는 명언 명구 수집도 하게 함
(4) ‘사진’ 또는 ‘삽화’는 본문의 내용을 보완하고 시각적 효과를 통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된 것
(5) ‘함께 하기;는 새 교과서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부분으로, 교과서를 하나의 학습 자료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
(6) ‘동서양 고전 탐구’는 교과서에서 다루는 도덕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높이고 교양의 범위를 넓히기 이한 구성, 학생 수준에 맞게 새로 편찬한 책을 자발적으로 읽도록 권장하면 됨
③ 학생들의 실천 및 활동에 대해서 기록할 수 있는 난을 교과서에 포함, 즉 교과서 자체를 자료집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
④ 교과서 내에 가정과 연계하여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난을 마련
2) 활용상의 유의점
(1) ‘이 단원의 공부를 위하여’는 대단원이 도입글로서, 단원을 배우기 전에 단원의 취지와 목적을 다루었고, 특히 학습 과제 및 기대되는 학습 성과에 가장 역점을 두고 제시
(2) ‘본문’은 교과서의 주된 내용으로,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지적 내용과 정의 내용으로 구성, 특히 새 교과서는 본문 진술 내용을 양적으로 축소, 실감 있는 사례 중심으로 구성, 감동을 줄 수 있는 사례들을 추가로 많이 준비하도록 함
(3) ‘명언’ 또는 ‘명구’는 제재 수준에서 1개씩 제시하였는데, 학생들에게 좌우명이 될 수 있도록 암기시킴은 물론, 학습 내용을 보충 심화 확대시키는 효과를 거두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자체 조사 및 관련되는 명언 명구 수집도 하게 함
(4) ‘사진’ 또는 ‘삽화’는 본문의 내용을 보완하고 시각적 효과를 통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된 것
(5) ‘함께 하기;는 새 교과서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부분으로, 교과서를 하나의 학습 자료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
(6) ‘동서양 고전 탐구’는 교과서에서 다루는 도덕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높이고 교양의 범위를 넓히기 이한 구성, 학생 수준에 맞게 새로 편찬한 책을 자발적으로 읽도록 권장하면 됨
추천자료
[제7차교육과정] 사회과
7차교육과정과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컴퓨터 교과에 대한 7차교육과정 수행평가 5문항
7차교육과정
7차교육과정에 대한 소개
7차교육과정
과학과 7차교육과정
7차교육과정의 국어과 수행평가와 이해
국어과 7차교육과정 분석
[제7차교육과정][농어촌교육]제7차교육과정의 특징과 농어촌교육의 현실, 제7차교육과정의 농...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교육과정변천과 역할,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지도원칙, 초등...
중학교(중등) 과학교육(과학과) 교육실태, 중학교(중등) 과학교육(과학과) 심화보충학습과 교...
[영재교육]영재의 개념, 영재의 선별, 영재교육과정의 현황,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영재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