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현재 사회문화교과서의 문제점
1. 민족문화 자체에 대한 내용의 빈약함
2. 민족문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관점의 편협성
3. ‘민족문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
4. ‘민족문화의 계승과 발전’ 부분
5. 탐구활동의 부적절함
III. 대안 및 새로운 교과서 제안
IV. 결론
II. 현재 사회문화교과서의 문제점
1. 민족문화 자체에 대한 내용의 빈약함
2. 민족문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관점의 편협성
3. ‘민족문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
4. ‘민족문화의 계승과 발전’ 부분
5. 탐구활동의 부적절함
III. 대안 및 새로운 교과서 제안
IV. 결론
본문내용
해 노동요를 제시하기보단 벼농사 문화가 한 장소에 정착해 대가족 문화를 형성했다는 사례를 드는 것이 한국의 벼농사 문화 이해에 더 도움이 됨.
② 놀이문화의 사례로 든 탐구 활동은 매우 적절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듯 함.
⇒ 학생들 스스로 한국의 놀이 문화의 특성을 찾아보도록 하는 과제가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특히 학생들에게 친숙한 게임 사례를 들면 학생이 쉽게 한국의 놀이 문화 특성을 이해.
③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안동 방문은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이라기보다는 전통 문화의 상업화와 더 관련이 깊은데, 이렇게 세계화 시대에 문화가 ‘상품화’되어 각국의 관광사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대적 맥락이 학생들에게 교육되지 않음.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문화의 상품화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다른 사례를 찾아보는 것이 더 적절.
III. 대안 및 새로운 교과서 제안
대안은 각 교과서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최대한 제거하고 장점을 수용하며, 조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표4> 부분별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
내용
부적당
적당
민족문화에 대한 교과서 내용의 절대량 부족
중앙교육, 법문사
천재교육, 대한교과서
다양한 민족 문화 소개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 세계화 등에 관한 개념 정의 부족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의 계승, 발전부분의 설명과 내용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에 대한 탐구활동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의 계승, 발전에 대한 탐구활동
중앙교육, 천재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IV. 결론
7차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민주시민 육성과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목표에 알맞게 교과서 내용을 구성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지루하지 않게 그 주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잘 알 수 있었다.
기존 교과서는 출판사에 따라서 집필진이 팀워크에 따라서 집필한 경우도 있었으나 일부 교과서는 집필진의 전공영역에 따라 단원별로 집필한 경우가 있어 전체 교과서의 일관성이 다소 결여되어 있었다. 그 결과 전통문화에 대한 단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초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기존 교과서들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과서를 만들어 본 결과,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고하게 하는 것이 지방화(localization)를 통한 세계화(globalization)를 지향하는 세방화(glocalization)하는 길이며, 이것이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세계화의 경쟁 속에서 민주시민 육성과 창의성 신장으로 생존할 수 있는 중요한 방편이 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목 차
I. 서론
II. 현재 사회문화교과서의 문제점
1. 민족문화 자체에 대한 내용의 빈약함
2. 민족문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관점의 편협성
3. ‘민족문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
4. ‘민족문화의 계승과 발전’ 부분
5. 탐구활동의 부적절함
III. 대안 및 새로운 교과서 제안
IV. 결론
② 놀이문화의 사례로 든 탐구 활동은 매우 적절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듯 함.
⇒ 학생들 스스로 한국의 놀이 문화의 특성을 찾아보도록 하는 과제가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특히 학생들에게 친숙한 게임 사례를 들면 학생이 쉽게 한국의 놀이 문화 특성을 이해.
③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안동 방문은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이라기보다는 전통 문화의 상업화와 더 관련이 깊은데, 이렇게 세계화 시대에 문화가 ‘상품화’되어 각국의 관광사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대적 맥락이 학생들에게 교육되지 않음.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문화의 상품화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다른 사례를 찾아보는 것이 더 적절.
III. 대안 및 새로운 교과서 제안
대안은 각 교과서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최대한 제거하고 장점을 수용하며, 조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표4> 부분별 교과서의 장점과 단점
내용
부적당
적당
민족문화에 대한 교과서 내용의 절대량 부족
중앙교육, 법문사
천재교육, 대한교과서
다양한 민족 문화 소개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 세계화 등에 관한 개념 정의 부족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의 계승, 발전부분의 설명과 내용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에 대한 탐구활동
중앙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천재교육
민족문화의 계승, 발전에 대한 탐구활동
중앙교육, 천재교육
법문사, 대한교과서
IV. 결론
7차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민주시민 육성과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목표에 알맞게 교과서 내용을 구성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지루하지 않게 그 주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잘 알 수 있었다.
기존 교과서는 출판사에 따라서 집필진이 팀워크에 따라서 집필한 경우도 있었으나 일부 교과서는 집필진의 전공영역에 따라 단원별로 집필한 경우가 있어 전체 교과서의 일관성이 다소 결여되어 있었다. 그 결과 전통문화에 대한 단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고 초점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기존 교과서들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과서를 만들어 본 결과,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고하게 하는 것이 지방화(localization)를 통한 세계화(globalization)를 지향하는 세방화(glocalization)하는 길이며, 이것이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에게 세계화의 경쟁 속에서 민주시민 육성과 창의성 신장으로 생존할 수 있는 중요한 방편이 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목 차
I. 서론
II. 현재 사회문화교과서의 문제점
1. 민족문화 자체에 대한 내용의 빈약함
2. 민족문화의 특징을 설명하는 관점의 편협성
3. ‘민족문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
4. ‘민족문화의 계승과 발전’ 부분
5. 탐구활동의 부적절함
III. 대안 및 새로운 교과서 제안
IV. 결론
키워드
추천자료
공연문화의 마케팅전략 및 사업분석 &#8211; 매직커스를 중심으로
부천시 문화산업 클러스터(Cluster)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추진전략
[사회과학-페미니즘] 정치, 문화, 사회면에서 본 페미니즘
[현대사회와 매스컴] 스타시스템의 역사, 현황, 문제점 및 대안
독거노인문제 및 복지정책에 관해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시오.
한국 경제위기의 인식과 노동운동위기 및 대안세계화의 과제
지역축제의성공사례를통한강릉단오제의발전방안
지방분권과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모형]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이념, 통일교육과 문화이해정보교...
식민지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화론 등장배경, 내재적발전론 비교, 의의 및 한계
초등학교 5,6학년 사회과의 단원별 내용 분석 및 활용
다문화 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미일미술(한국미국일본 미술)과 미술교육, 미술교과서, 한미일미술(한국미국일본 미술)과 ...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전통생활문화의 주제와 관련 있는 곳을 찾아 직접 답사하고,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