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생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序

2. 周生傳의 敍事構造
2,1 作品의 槪要
2.2 敍事構造

3. 傳寄小說史的 意味
3.1. 現實的 性格의 强化
3.2. <李生窺墻傳>과의 비교

4. 結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인 俳桃의 두 명의 등장인물로 분산시켰으며, ‘기생’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켰다는 점에서 변모된 모습을 보인다.
다섯째, 기존 傳寄小說과 달리 삼각 愛情葛藤을 다루었기 때문에 갈등양상이 훨씬 복잡하고 갈등의 내용도 현실적이다.
여섯째, <李生窺墻傳>과 비교하여 構成骨格은 비슷하나 환생하여 재회하는 식의 傳奇的 모티브를 이용한 結末이 나타나지 않고, 悲劇的 結末을 맺는다.
일곱째, 浪漫的 문제해결 방식을 사용한 것과 悲劇的인 結末은 아직 傳寄小說의 요소가 남아있다.
여덟째, 이 小說은 過渡期的 小說이며 소설사 적인 맥락에서 傳寄小說에서 한글小說로 넘어가는 媒介的 位置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김기동 「韓國 古典文學 100」서문당 1984
박일용 「朝鮮時代 愛情小說」집문당 2000
이복규 「初期 國文 國文本 小說」박이정 1998
정환국 <17世紀 愛情流 漢文小說 硏究>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0
김은희 <周生傳 硏究> 덕성여대 논문집 제 28집 1997
*목 차
1. 序
2. 周生傳의 敍事構造
2,1 作品의 槪要
2.2 敍事構造
3. 傳寄小說史的 意味
3.1. 現實的 性格의 强化
3.2. <李生窺墻傳>과의 비교
4. 結
* 참고 문헌 *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0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