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과 노동, 삶의 질(4편의 주요 논문 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과 노동, 삶의 질(4편의 주요 논문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경계에 선 노동자는 말할 수 있는가? _ 김현미

2 / 합법을 가장한 위법의 논리 : 농협의 사내 부부 우선 해고와 의도적 차별 _ 조순경

3 / 노동 시장 유연화 명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 _ 전명숙

4 / 대졸 여성의 노동 경험과 직업의식 신화 _ 조정아

본문내용

력적인 대안으로 여기도록 이끌어 가는가?
- 소외된 노동에 대한 분노는 어떻게 해서 결혼(중산층 전업 주부식 삶)에 대한 선택으로 바뀌는가?
② 결혼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갖게 하는 두 이데올로기
- “결혼은 당연한 것이다”, “생계 책임은 여성의 몫이 아니다”
● 노동 현장에서의 성차별
1. 여성의 성차별적 노동 경험이 퇴직으로 이어지는 것은
- 다른 여성에 대한 성차별 대우를 정당화한다.
- 사회적으로 성차별 이데올로기를 확대 재생산하는 악순환을 가져온다(ex. 여성은 직업의식이 없다).
2. 노동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집단적 활동이 필요하다.
☞ 그밖에 다른 대안은?
● 토의주제
1. 아줌마 노동자가 비정규직, 저임금, 고위험 작업의 3D 업종에 몰리는 현상에서,
- 나쁜 일자리가 40-50대 여성들에게 돌아가게 하는 우리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까요?(ex. 아줌마의 몸에 대한 인식)
- 또한 노동 시장의 고임금 회피 전략으로 기혼 여성의 노동력이 싼 값에 소비되는 만큼 남성 노동력이 소외되고 있다면, 이것을 젠더 불평등으로 볼 수 있을까요?
2. “내년부터 한 달에 90만 원 이하의 임금을 받으며 1살 이하의 신생아를 보육하고 있는 저임금 여성 근로자에게 한 달에 35만 원의 육아수당 지급” - 필요하고 적합한 정책이라고 생각하시나요? (ex. 여성 차별 임금의 개선이 더 근본적이지 않을까요?)
3. 성차별적 노동 현장으로 곧 나아갈 대졸 학력의 여성으로서 자신의 잠재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선택의 기준과 전략이 있다면, 그것을 나눠보는 것은 어떨까요?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6.12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