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명들의 세계
2. 과거와 현재의 문명
3. 보편 문명? 근대화와 서구화
4. 서구의 쇠퇴 : 세력, 문화, 토착화
5. 경제와 인구, 도전하는 문명
6. 세계 정치의 문화적 재편
7. 핵심국, 동심원, 문명의 질서
2. 과거와 현재의 문명
3. 보편 문명? 근대화와 서구화
4. 서구의 쇠퇴 : 세력, 문화, 토착화
5. 경제와 인구, 도전하는 문명
6. 세계 정치의 문화적 재편
7. 핵심국, 동심원, 문명의 질서
본문내용
럽 의 북방, 서방, 남방 경계선은 바다에 의해 확정되어 있는데 남방 경계선은 뚜렷 한 차이점을 가진 문화의 경계선과도 일치. 그렇다면 유럽의 동쪽 경계선은 어디?
여기에 문명 패러다임이 설득력 있는 방안을 제시. 서구 크리스트교가 끝나고 이 슬람교와 정교가 시작되는 곳이 경계임.
(3) 러시아의 가까운 외국
그루지야, 몰도바, 아르메니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4) 대중국과 공영권
냉전이 끝나면서 중국은 중화문명의 핵심국이 되는 것과 동아시아 지역의 패권을 찾는다는 두 가지 목표를 세움. '대중국'이라는 개념은 급속히 성장하는 문화적, 경제적 현실이며 이제는 정치적 현실의 성격까지 띠기 시작함. 증대하는 경제력과
동질적 중국 문화라는 바탕 위에서 홍콩, 대만, 싱가포르와 중국 본토의 결속도 갈수록 깊어짐.
(5) 이슬람 : 중심 없는 의식
국민국가가 정치적 참여의 정점에 있었던 서구와 달리 부족주의와 이슬람이 아랍 사회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 이슬람 전역에서 추종과 헌신의 초점은 거대 신앙, 부족과 움마(이슬람 사회)였으며, 국민 국가는 두드러진 역할을 하지 못함. 그러나 이슬람의 결집 지향하는 이슬람 의식 운동은 두 가지 역설에 직면.
여기에 문명 패러다임이 설득력 있는 방안을 제시. 서구 크리스트교가 끝나고 이 슬람교와 정교가 시작되는 곳이 경계임.
(3) 러시아의 가까운 외국
그루지야, 몰도바, 아르메니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4) 대중국과 공영권
냉전이 끝나면서 중국은 중화문명의 핵심국이 되는 것과 동아시아 지역의 패권을 찾는다는 두 가지 목표를 세움. '대중국'이라는 개념은 급속히 성장하는 문화적, 경제적 현실이며 이제는 정치적 현실의 성격까지 띠기 시작함. 증대하는 경제력과
동질적 중국 문화라는 바탕 위에서 홍콩, 대만, 싱가포르와 중국 본토의 결속도 갈수록 깊어짐.
(5) 이슬람 : 중심 없는 의식
국민국가가 정치적 참여의 정점에 있었던 서구와 달리 부족주의와 이슬람이 아랍 사회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 이슬람 전역에서 추종과 헌신의 초점은 거대 신앙, 부족과 움마(이슬람 사회)였으며, 국민 국가는 두드러진 역할을 하지 못함. 그러나 이슬람의 결집 지향하는 이슬람 의식 운동은 두 가지 역설에 직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