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줄거리
1-2. 제목의 이유
1-3. ‘선과 악’의 사회적 개념
2. 캐스팅(금자,백한상,그 외 주변인물)
3. 금자의 심리변화
4. 영화적 장치(색채 대비)
5. 영화의 한계/문제점
6. 결론
7. 참고문헌
1-1. 줄거리
1-2. 제목의 이유
1-3. ‘선과 악’의 사회적 개념
2. 캐스팅(금자,백한상,그 외 주변인물)
3. 금자의 심리변화
4. 영화적 장치(색채 대비)
5. 영화의 한계/문제점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 영화의 한계
이 영화를 만들고 나서 감독은 복수를 통한 속죄를 나타내고 싶다고는 했지만, 결국에는 복수를 통한 속죄는 이루어지지 않고(금자는 백선생을 죽이지 못한다. 그리고 원모의 환영에게도 용서받지 못한다.) 인간적인 좌절을 겪게 된다. 복수를 통한 속죄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이 불가능한 말이기 때문이다. 백선생이 어려서 당한 학대가 금자씨 세계의 백선생이라는 인물을 낳았고, 그 인물이 범죄를 저지름으로서 금자 같은 인물이 또 탄생하게 된 것이다. 복수는 속죄의 의식이 아니라 또 다른 복수를 낳을 따름이다. 이런 문제점은 감독이 영화를 만들 때 복잡한 문학적 구성이나 철학적 난제를 정해놓고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보기에 신선하고 재미있고 수준있는 영화를 만들어 놓고는 기자들에게 제시해 주기 위해 어려운 문구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보인다. 감독은 사실 하나의 해석을 전해주기 보다는 자신은 그저 즐겁게 영화를 만들고 그 해석은 여러 독자들이 맡아서 다양하게 해석해 주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감독은 기자들이 하도 쓸 거리를 달라고 졸라대기 때문에 인터뷰용으로 쓸 대답을 만들어 낼 수 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
또 하나의 한계는 영화의 끊어짐이다. 전도사가 금자의 손을 잡으며 “우리 다시 시작하자.”라고 하는 부분이나, 감방 동료인 김양희가 “너 나 사랑했던 거 아니지?” 라고 하는 부분, 전도사가 백선생에게 금자의 사진을 건내는 부분 등은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지 않아서 영화가 틈새를 가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을 감독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싶었던 부분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역시 편하게 영화를 보고자 하는 관객이나 상상력이 부족한 일반 관객은 영화를 보며 불편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 결론
하지만 이 영화는 캐릭터들이 선과 악으로 정형화되는 일반 문학의 틀에서 벗어나 있다. 이 영화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선과 악의 개념이 지극히 모호하다. 금자는 감방에 있을 때는 친절하다는 용어로 표방되는 선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출소 후에는 복수를 향해 달려가는 악의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게 되고, 선과 악이 금자라는 한 인간 안에 모호하게 함께 존재함을 알려주게 된다.(웃으면서 우는 표정, 제니와 놀아줄 때의 모습과 권총 시험용으로 강아지를 날려버리는 모습 등.) 또한 경찰에서 강도로 바뀌고, 평범한 주부에서 바람피운 남편과 여자를 잡아먹는 등의 주변인물의 모습도 한 인간의 내면에 들어있는 여러 가지 측면을 다양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이는 선 또는 악이라는 사회적 기준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이다. 지금까지의 소설들과는 다르게 지극히 현실적인, 인간적인 인물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학계보다는 좀 더 현실에 가까운 문학을 만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하나의 정해진 세계관이 아닌 다양한 세계관을 가진 인간을 만나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의 세계관과 악의 세계관이 하나의 인간 안에 모호하게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 참고문헌
박찬욱. 박찬욱의 몽타쥬. 마음산책. 2005.
박찬욱의 오마쥬. 마음산책. 2005.
박찬욱 외. 내 인생의 영화. 씨네21. 2005.
정명훈. 영화보다 재미있는 영화 투자의 법칙. 을유 문화사. 2005.
황세연 각색. 친절한 금자씨. 랜덤하우스. 2005.
르네 지라르. 희생양. 민음사. 1998.
안네마리 피퍼. 선과 악- 그 하나의 뿌리를 찾아서. 2002.
씨네 21 홈페이지. http://www.cine21.com/
필름 2.0 홈페이지. http://www.film2.co.kr/
● 영화의 한계
이 영화를 만들고 나서 감독은 복수를 통한 속죄를 나타내고 싶다고는 했지만, 결국에는 복수를 통한 속죄는 이루어지지 않고(금자는 백선생을 죽이지 못한다. 그리고 원모의 환영에게도 용서받지 못한다.) 인간적인 좌절을 겪게 된다. 복수를 통한 속죄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이 불가능한 말이기 때문이다. 백선생이 어려서 당한 학대가 금자씨 세계의 백선생이라는 인물을 낳았고, 그 인물이 범죄를 저지름으로서 금자 같은 인물이 또 탄생하게 된 것이다. 복수는 속죄의 의식이 아니라 또 다른 복수를 낳을 따름이다. 이런 문제점은 감독이 영화를 만들 때 복잡한 문학적 구성이나 철학적 난제를 정해놓고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보기에 신선하고 재미있고 수준있는 영화를 만들어 놓고는 기자들에게 제시해 주기 위해 어려운 문구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보인다. 감독은 사실 하나의 해석을 전해주기 보다는 자신은 그저 즐겁게 영화를 만들고 그 해석은 여러 독자들이 맡아서 다양하게 해석해 주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감독은 기자들이 하도 쓸 거리를 달라고 졸라대기 때문에 인터뷰용으로 쓸 대답을 만들어 낼 수 밖에 없었다고 말한다. )
또 하나의 한계는 영화의 끊어짐이다. 전도사가 금자의 손을 잡으며 “우리 다시 시작하자.”라고 하는 부분이나, 감방 동료인 김양희가 “너 나 사랑했던 거 아니지?” 라고 하는 부분, 전도사가 백선생에게 금자의 사진을 건내는 부분 등은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지 않아서 영화가 틈새를 가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을 감독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싶었던 부분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역시 편하게 영화를 보고자 하는 관객이나 상상력이 부족한 일반 관객은 영화를 보며 불편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 결론
하지만 이 영화는 캐릭터들이 선과 악으로 정형화되는 일반 문학의 틀에서 벗어나 있다. 이 영화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선과 악의 개념이 지극히 모호하다. 금자는 감방에 있을 때는 친절하다는 용어로 표방되는 선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출소 후에는 복수를 향해 달려가는 악의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더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게 되고, 선과 악이 금자라는 한 인간 안에 모호하게 함께 존재함을 알려주게 된다.(웃으면서 우는 표정, 제니와 놀아줄 때의 모습과 권총 시험용으로 강아지를 날려버리는 모습 등.) 또한 경찰에서 강도로 바뀌고, 평범한 주부에서 바람피운 남편과 여자를 잡아먹는 등의 주변인물의 모습도 한 인간의 내면에 들어있는 여러 가지 측면을 다양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이는 선 또는 악이라는 사회적 기준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이다. 지금까지의 소설들과는 다르게 지극히 현실적인, 인간적인 인물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학계보다는 좀 더 현실에 가까운 문학을 만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하나의 정해진 세계관이 아닌 다양한 세계관을 가진 인간을 만나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의 세계관과 악의 세계관이 하나의 인간 안에 모호하게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 참고문헌
박찬욱. 박찬욱의 몽타쥬. 마음산책. 2005.
박찬욱의 오마쥬. 마음산책. 2005.
박찬욱 외. 내 인생의 영화. 씨네21. 2005.
정명훈. 영화보다 재미있는 영화 투자의 법칙. 을유 문화사. 2005.
황세연 각색. 친절한 금자씨. 랜덤하우스. 2005.
르네 지라르. 희생양. 민음사. 1998.
안네마리 피퍼. 선과 악- 그 하나의 뿌리를 찾아서. 2002.
씨네 21 홈페이지. http://www.cine21.com/
필름 2.0 홈페이지. http://www.film2.co.kr/
추천자료
햄릿(선택에 관련된 선과 악의 양면성)을 읽고 줄거리와 감상문
한국의 성문화와 이중성
순자의 성-악 윤리
맥베스의 욕망으로 인한 악의 구현 : 셰익스피어, 『맥베스』
Hamlet, Laertes, Fortinbras의 인간형 비교와 인물들을 통해 드러나는 셰익스피어의 시대
[모비딕] 에이허브 과연 그는 모든 인간의 내면에 존재 하는가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나라)의 선포와 인간성,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나라)의 구속경륜과 신...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나라)의 개념과 인간성,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나라)의 부활과 이해, ...
불교 및 에반게리온의 세계관과 니체의 영원회귀 (니체의 영원회귀가 가진 잔인과 희망의 이...
[눈먼자들의 도시] 눈먼자들의도시 서평 - 인간본성의 진실과 실체에 대한 고찰
생태환경 - 소금의 역사와 인간과의 관계
[독후감, 서평] 인간 내면의 선에 대한 믿음에 관하여 - 『천사 레빈(Angel Levine)』을 읽고...
악의 진부성-예루살렘의 아이히만
[독후감] 에리히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 - 자유의 이중성에 관하여